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9:57

풍암저수지

풍암호수공원에서 넘어옴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태봉산
고개 너릿재 · 잣고개
하천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용산천 · 소태천 · 증심사천(동산천) · 동계천 · 서방천(두암천 · 용봉천(월산천 · 오치천) · 경양지천) · 운암천 · 극락천(광복천)) · 마륵천 · 서창천(세하천) · 황룡강(평림천 · 선암천 · 운수천 · 소촌천) · 대촌천(송암천 · 수춘천)
호수 경양방죽 · 광주호 · 노대저수지 · 쌍암저수지 · 양산제 · 용지 · 운천저수지 · 전평제 · 진월저수지 · 풍암저수지 · 하남저수지
기타 광주 분지 · 나주 평야
취소선은 사라진 곳 또는 대부분 복개된 하천, 기울임체는 상당 부분 복개된 하천을 의미한다. }}}}}}}}}

풍암저수지
楓岩貯水池
<nopad>
위치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준공 1956년
제방길이 190 m
제방높이 6 m
저수량 30만 t
만수면적 133,000 m²

1. 개요2. 공원
2.1. 풍암호수공원2.2. 장미원
3. 교통4. 환경5. 기타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에 있는 저수지이다. 1956년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축조되었다가, 1990년대에 풍암동이 개발되면서 공원의 필요성이 생기자 1999년에 공원화되었다. 주변을 따라 산책로와 도보교가 조성되어 있다.

2. 공원

'서구 8경' 중 하나인 풍암 호수공원과 부속 장미원, 식물원 등이 있다.

2.1. 풍암호수공원

정식 명칭은 풍암호수공원이지만 주민들은 간단히 풍암저수지나 그냥 저수지 등으로 부른다. 주변 주택 단지와 가까워 운동이나 산책을 하려는 주민들이 날씨나 시간대를 가리지 않고 많이 방문한다. 특히 가장 가까운 풍암동 호반중흥아파트를 기준으로 하면 많이 걸려도 5~6분 안에 도착할 정도니 그야말로 넘어지면 코 닿는 거리에 공원이 있다.

산책로를 따라 조경을 다양하게 해 놓아서 산책하면서 다양한 식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 나무만 해도 벚나무, 이팝나무, 배롱나무, 덩쿨장미, 영산홍, 철쭉, 동백나무, 포도나무, 등나무, 찔레 등이 서식하고 화초의 종류도 많아 봄~가을까진 연신 다양한 꽃들을 볼 수 있다. 대신 여름엔 풀 많은 곳답게 어쩔 수 없이 송충이 등이 여기저기서 보이기도 한다.

운천저수지와 마찬가지로 광주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사랑받는 곳이며, 주차장 시설도 잘 되어 있고 무료로 운영되고 있어 인근 지역주민 뿐만 아니라 멀리서 찾아와 산책하는 사람들도 많다. 단, 시내버스 노선은 많지 않아 대중교통 이용은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추후 광주 도시철도 2호선 풍암역이 인근에 들어서기 때문에 대중교통으로도 편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이용자가 줄긴 했으나 다시 늘고 있는 상황이다. 평소보다 더 많은 사람이 찾는 느낌인데, 운천저수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운천저수지는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하여 저수지의 물을 모두 빼고 산책로 대부분을 없애 공사가 끝날 때까지 호수를 볼 수 없게 되자 시민들이 운천저수지에서 가장 가까운 이곳을 찾는 것 같다. 이곳도 역시 2호선이 경유하는 곳이지만, 운천저수지와 다르게 호수 밑부분을 통과하는 게 아닌 옆을 통과하기 때문에 물을 빼고 저수지를 통제할 필요 없이 공사할 수 있어서 평소처럼 호수를 구경하고 산책할 수 있다.

2.2. 장미원

저수지 남쪽 끄트머리에 있다. 규모가 작은 것치고 장미를 많이 심어 놓아 볼거리가 있다. 다만 장미가 만개할 때는 벌도 많고 장사치도 많으니 조심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호수에 설치된 분수대가 볼거리를 제공한다.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출입이 금지되었다.
2022년 재개장

3. 교통

4. 환경

2010년대 중반쯤까지만 해도 청둥오리개리, 거위, 거북이, 자라, 잉어 등의 동물이 살고 있었으며, 가끔가다가 사람들이 주는 모이에 몰려있는 잉어떼를 사냥하는 맹금류(주로 종류)들도 볼 수 있었다. 최근엔 잉어의 개체수가 줄어들었는지 맹금류들이 개리청둥오리마저 사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맹금류들은 자주 날아오진 않는 것으로 보이며, 풍암동 인근에 거점을 두고있는 건 아닌 듯하다.

이외에 2019년까지만 해도 집오리 여러 마리와 거위 4마리가 호수에서 살고 있었으며[2], 왜가리물닭, 청둥오리 외의 야생오리, 물까치 등도 종종 보이긴 했지만, 2010년대 중후반~2020년으로 가면서 오리고 왜가리고 거위고 모두 사라진 상황.[3] 다만 새가 꽤 많은데도 불구하고 길고양이는 잘 안 보이는 편이다.[4] 가까운 아파트 단지 쪽에도 길고양이가 심심찮게 목격되는 걸 보면 어째서 여긴 이렇게 없는 지 의문.

과거엔 잉어나 붕어 같은 토종 어류들이 강세였으며, 최소 50cm는 넘던 커다란 비단잉어가물치 등 간간히 다양한 어종들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블루길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양서류, 파충류도 황소개구리붉은귀거북 두 종만 보이는 등 생태적 다양성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마저도 갈수록 수질오염과 함께 개체수가 줄어들고 물갈이 작업을 반복하면서 그냥 동물종 자체를 보기 힘들게 되었고, 그나마 보이는 게 청거북 아니면 소금쟁이 정도다. 최근에는 호숫가와 수면 쪽에서 뵈는 게 그냥 징그러운 녹조현상과 마름, 물배추, 부레옥잠, 부들, 수련연꽃 군락 정도이며 관리를 가면 갈수록 안 하는 티가 팍팍 나는 중이다. 그리고 심한 녹조 탓인지 물에서 풀 썩는 냄새가 상당히 심하게 날 때가 있다.

그래도 여러 번 답사한 결과 말조개 같이 과거 상주했던 생물종들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죽은지 얼마 안 된 사체로 발견되었지만 추가로 여름엔 고여있는 물이다보니 매우 쉽게 녹조현상이 생겨 냄새가 고약하게 나는데, 마땅한 대책은 없는 모양. 그래도 겨울에 가끔 물을 빼고 오염된 흙을 모두 긁어내는 작업을 가끔한다. 그 때문에 얼마 전부터 호수 중앙부에 녹조방지장비 몇 개를 설치하여 수질개선에 나서고 있다…지만 주민들은 거의 효과가 없다고 보는 모양이며 실제로도 그렇다. 근본적으로는 물이 유입되는 통로도 작은 편이고 딱히 물이 빠지지도 못해서 계속 고이는 게 원인인데, 연결된 수로 구조부터 작정하고 개선하지 않는 한 무리일 듯.[5] 하지만 그쪽으론 거의 포기한 걸로 보인다(…).

최근 풍암저수지의 수질정화작업에 쓰일 예산이 확보되어 작업이 진행 될 예정이다. 하지만 2020년 가을쯤에도 수질이 크게 나아진 건 없다. 못해도 2015~2016년 수준까지 복구되는 것도 한참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


풍암호수 수질개선안 마련…중앙공원 사업 본궤도?
중앙공원 1지구 공원 활용…"풍암호수 수질 개선 선행돼야"
'녹조 호수' 오명 풍암저수지, 도시 호수공원으로 거듭난다


[집중취재] 광주 중앙공원 풍암호수 수질개선 방안은?


풍암호수 수질개선 방안 확정 전인데 지하수 관정 개발?


광주 풍암호수 수질 개선 위해 농업용 저수지 폐지

5. 기타

2020년엔 어째서인지 특정 시민단체와 풍암호수공원 부지의 소유자 사이에서 갈등이 있는 걸로 보인다. 2020년 6월 무렵부터 서로 대립하는 듯한 내용의 현수막이 여기저기 걸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한 정황은 불명이다. 일부 주민들의 경우 공원을 아예 사유화해서 공공시설로 못 쓰게 한더던가, 공원 부지를 매립하고 다른 건물 같은 걸 세우려는 게 아니냐며 불안해하기도 했다. 일단 공원은 2021년 8월에도 정상적으로 있으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5
, 3.3.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장미원 (저수지 남쪽) 방면으로 간다면 풍암역이 가까우며, 생태연못 (저수지 북쪽) 방면으로 간다면 월드컵경기장역이 가깝다.[2] 2015년에는 머리가 칠면조처럼 생긴 오리 한 쌍과 흰 오리, 청둥오리, 청둥오리 암컷이랑 집오리 섞어놓은 것처럼 생긴 오리 몇 마리가 계속 거주하고 있었다. 하지만 머리가 칠면조처럼 생긴 오리 한 쌍이 가장 먼저 사라졌고 청둥오리도 서서히 안 보이기 시작했으며, 그나마 가장 오래 남아있었던 집오리들마저 거위들과 함께 2020년쯤엔 자취를 완전히 감춰버렸다. 딱히 시체 같은 것도 없는 것을 보면 그냥 관리하는 사람들이 치워버린 모양.[3] 물이 매우 더러워져서 물고기가 적어진 게 원인일 수도 있다.[4] 그나마 2015년쯤 사람들에게 애교 잘 피우던 길고양이가 한 마리 있긴 했고 몇몇이 이를 목격하기도 했지만, 얼마 안 가 이 녀석도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져버렸다.[5] 규모가 더 큰 데도 잘 유지되는 저수지나 호수들의 경우 못해도 수로를 통한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물이 고이기만 하다가 썩는 게 어느 정도 방지되는 부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