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0:21:43

프로그나토돈

프로그나토돈
Prognathod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Tyrrell_mosasaur.jpg
<colcolor=#000> 학명 Prognathodon
Dollo, 1889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뱀목(Squamata)
상과 †모사사우루스상과(Mosasauroidea)
†모사사우루스과(Mosasauridae)
아과 †모사사우루스아과(Mosasaurinae)
†프로그나토돈속(Prognathodon)
[ 펼치기 · 접기 ]
* †프로그나토돈 솔바이(P. solvayi)모식종
Dollo, 1889
  • †프로그나토돈 섹토리우스?(P. sectorius?)
    Cope, 1871
  • †프로그나토돈 콤프레시덴스?(P. compressidens?)
    Gaudry, 1892
  • †프로그나토돈 모사사우로이데스?(P. mosasauroides?)
    Gaudry 1892
  • †프로그나토돈 오베르토니?(P. overtoni?)
    Williston, 1897
  • †프로그나토돈 루투기니(P. lutugini)
    Yakovlev, 1901
  • †프로그나토돈 라팍스?(P. rapax?)
    Hay, 1902
  • †프로그나토돈 기간테우스(P. giganteus)
    Dollo, 1904
  • †프로그나토돈 와이파라엔시스?(P. waiparaensis?)
    Welles and Gregg, 1971
  • †프로그나토돈 쿠르리(P. currii)
    Christiansen and Bonde, 2002
  • †프로그나토돈 사투라토르?(P. saturator?)
    Dortangs et al., 2002
  • †프로그나토돈 키안다?(P. kianda?)
    Schulp et al., 2008
  • †프로그나토돈 하시미(P. hashimi)
    Kaddumi, 2009
  • †프로그나토돈 후다이(P. hudae)
    Kaddumi, 2009

파일:1280px-Prognath_waipar2DB.jpg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등장 매체

1. 개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모사사우루스과 파충류. 속명의 뜻은 '앞턱의 이빨'. 미국, 캐나다, 모로코, 벨기에, 뉴질랜드, 네덜란드, 이스라엘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2. 연구사

다른 모사사우루스류와는 다르게 이빨이 유독 두껍고 뭉툭한데, 흡사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플라코두스[1]의 이빨이나 같은 모사사우루스과인 글로비덴스의 이빨을 연상시키는 형태다. 이 이빨로 이용해 암모나이트조개 같은 딱딱한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을 노렸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외에도 바다거북이나 장경룡은 물론 다른 모사사우루스류 또한 사냥감으로 삼았을 것이다. 한마디로 자기 주위에 먹을만한 해양생물은 전부 잡아먹었으리라는 것.[2]

몸길이는 최대종인 프로그나토돈 사투라토르(P. saturator)의 경우 최대 12m로 추정되며, 가장 작은 종인 모식종은 5~6m 정도다.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2416768-1BBCD49A000005DC-357_634x492.jpg
2013년에는 꼬리지느러미의 흔적이 남은 아성체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플라테카르푸스에 이어서 두번째로 꼬리지느러미의 형태가 밝혀진 모사사우루스류가 되었다.

3. 등장 매체

파일:MV5BMDQ5MTlmZmUtMjQ5ZC00NDg2LWEyMmMtMjMzYzQ1ODg1MzFjXkEyXkFqcGdeQXVyNDcxMTk4Mzc@._V1_.jpg

다큐멘터리를 가장한 영화 March of the Dinosaurs에서 출현했다.여기서는 어두운 푸른색의 피부를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얼음이 깨져 호수에 빠진 에드몬토사우루스들 몇 마리와 을 헤엄쳐 건너는 파키리노사우루스 무리를 덮쳐서 사냥하는 나일악어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데이노수쿠스는 어디 가고 해양파충류가 강까지...[3] 꼬리가 바다뱀 꼬리 형태로 나온다.작중 프로그나토돈 등장 장면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전시 가능한 고생물로 나온다.

NHK공룡초세계(恐竜超世界)에 출연하는데, 속명에 대한 언급 없이 모사사우루스류로 나온다. 2부에서 주연급 암컷 '티나'가 상당히 강하게 나왔다. 크시팍티누스를 한 입에 반토막 내거나 얕은 바다에서 티라노사우루스를 끌어와 잡아먹는 등의 과장된 묘사가 많으며, 중간에 임신하게 된 후 다른 암컷들과 함께 새끼를 낳는다. 직후 크시팍티누스가 떼로 몰려들어 새끼들을 잡아먹지만, 암컷들이 합심해서 모두 몰아낸다. 참고로 모사사우루스류가 단체로 새끼를 낳았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

BBC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시즌 2에서도 출연하는데, 여기서도 그냥 모사사우루스류라고 나오며, 초목을 탄 잘목세스를 공격하려고 하지만 실패한다.

피드 앤 그로우: 피쉬에서는 보스 겸 선택 가능한 물고기로 등장한다.

[1] 장경룡이 포함된 '사우로프테리기아(Sauropterygia)'에 속하는 해양 파충류의 일종.[2] 최근에 알려진 바로는 글로비덴스와 프로그나토돈과 같은 이빨 형태가 조개를 먹기 위해서 특화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해양생물들을 가리지 않고 먹어치우기 위해서 이러한 형태가 되었다고 한다.[3] 이집트 켐 켐 층에서 담수 수장룡 '켐 켐 네시'의 화석이 발견되었고, 유럽의 담수 지역에 서식했던 판노니아사우루스도 있지만 프로그나토돈도 이런 습성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