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05:03:47

프리드만 방정식

프리드먼 방정식에서 넘어옴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항성천문학
측광학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속성변광성 · 색등급도 · 별의 종족
항성계다중성계(쌍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청색 낙오성) · 성군
항성 진화주계열 이전 단계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황소자리 T형 별 · 원시 행성계 원반)
주계열성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주계열 이후
항성 분류준왜성(차가운 준왜성 · O형 준왜성 · B형 준왜성) · 탄소별(C형(CR 별 · CN 별 · CH 별) · S형 별) · 특이별(Am 별 · Am/Fm 별 · Ap/Bp 별 · CEMP 별 · HgMn 별 · 헬륨선 별(강한 헬륨선 별 · 약한 헬륨선 별) · 바륨 별 · 목동자리 람다 별 · 납 별 · 테크네튬 별) · Be 별(껍질 별 · B[e]별) · 헬륨 별(극헬륨 별) · 초대질량 항성(쿼시 별) · 섬광성
밀집성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갈색왜성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의 종류Y형 · T형 · L형
갈색왜성의 이후 진화
분류법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성간물질성운(전리수소영역 · 행성상성운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우주론
기본 개념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배경 지식3. 프리드만 방정식4. 유도

1. 개요

프리드만 방정식(Friedmann Equations)은 일반 상대성 이론을 기반으로 우주의 팽창과 진화 과정을 기술하는 두 개의 방정식으로, 알렉산드르 프리드만(Alexander Friedmann)이 1922년과 1924년에 발표한 연구에서 유도되었다. 이 방정식은 우주론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적 기초 중 하나로, 허블 상수, 밀도 매개변수, 그리고 우주의 곡률을 포함하여 우주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한다. 현대 우주론에서 ΛCDM 모델을 비롯한 다양한 우주론적 모델의 기초를 제공하며, 빅뱅 이론의 수학적 근거로 활용된다.

2. 배경 지식

프리드만 방정식은 우주가 등방성(Isotropic; 어느 방향으로 보아도 동일)과 균질성(Homogeneity; 어느 위치에서도 동일)을 가진다고 가정한다.[1] 또 우주는 밀도 [\math(\rho)]와 압력 [\math(p)]를 가지는 완전 유체라고 가정한다.

프리드만 방정식에는 척도 인자(scale factor) [\math(a (t))]가 등장한다. 척도 인자는 우주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로,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변하는 값이다. 원점을 기준으로 어떤 점의 위치벡터를 [\math(\mathbf{r}(t))]라고 하고 현재 우주의 나이 혹은 시간을 [\math(t_0)]라고 하면, 척도 인자는 [\math(a(t)\coloneqq \frac{\mathbf{r}(t)}{\mathbf{r}(t_0)})]로 정의된다. 즉, 현재 우주의 크기를 1이라고 할 때, 과거 혹은 미래의 우주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간단하게 허블 매개변수(Hubble parameter)[math(H(t))]를 유도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mathbf{v}(\mathbf{r},t) = \frac{d}{dt}\mathbf{r}(t) = \frac{da}{dt}\mathbf{r}(t_0) \equiv \dot{a}\mathbf{r}(t_0) = \frac{\dot{a}}{a}\mathbf{r} \equiv H(t)\mathbf{r})]

따라서 [\math(H(t) \equiv \frac{\dot{a}}{a})]이다. 특히, 허블 상수는 현재의 허블 매개변수 값에 해당한다. ([math(H_0 = H(t_0))])

3. 프리드만 방정식

프리드만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미분 방정식을 의미한다:
[math( \displaystyle \left( \frac{\dot{a}}{a} \right)^2 = \frac{8\pi G}{3}\rho - \frac{kc^2}{a^2} + \frac{\Lambda}{3} )]
[math( \displaystyle \frac{\ddot{a}}{a} = -\frac{4\pi G}{3} \left( \rho+\frac{3P}{c^2} \right) + \frac{\Lambda}{3} )]

첫 번째 미분 방정식은 좌변이 허블 매개변수와 같다. 이 식은 척도 인자의 도함수에 관한 식을 나타내므로 마치 뉴턴의 'F=ma'와 비슷하다고 하여 '운동 방정식'이라고도 불리며, 두 번째 방정식은 '가속 방정식'이라고도 한다.

4. 유도

비록 프리드만 방정식은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부터 유도된 식이지만, 뉴턴 역학을 이용해서도 유도해볼 수 있다.

[1] 여기서 주의할 점은, 등방성이 균질성을 내포하지 않으며, 반대로 균질성이 등방성을 내포하지도 않는다. 관측적으로 등방성은 확인할 수 있으나, 우주의 균질성은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지구의 위치가 우주에서 특별한 위치가 아니라는 코페르니쿠스 원리(Copernican Principle)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