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머리털자리 알파 α Com | 베타성 머리털자리 베타 β Com | 감마성 머리털자리 감마 γ Com | -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머리털자리 1 | 머리털자리 2 | 머리털자리 3 | 머리털자리 4 | |
머리털자리 5 | 머리털자리 7 | 머리털자리 8 | 머리털자리 61 | |
그 외 머리털자리에 속한 항성 | ||||
머리털자리 IN | HD 108874 | 머리털자리 RZ | 머리털자리 GP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머리털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Abell 1656 머리털자리 은하단 Coma Cluster | ||
| ||
관측 정보 | ||
별자리 | 머리털자리 | |
물리적 성질 | ||
소속 은하 | 1,000개 이상 | |
거리 | 약 3억 2100만 광년 약 99 메가파섹 | |
명칭 | ||
Abell 1656 |
1. 개요
머리털자리 은하단은 사자자리 은하단(Abell 1367)과 함께 Cfa2 초은하단을 이루는 두 거대한 은하단 중 하나이다.2. 상세
머리털자리 은하단은 머리털자리 북쪽 부분에서 1,000여 개의 은하를 거느리고 있는 은하단으로, 머리털자리 베타 근처에 NGC 4889와 NGC 4874를 중심으로 수많은 타원은하와 나선은하가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보인다. 거대 은하단이 다 그렇듯이 중심부는 전부 다 늙은 타원은하와 렌즈형은하로 채워져 있으며, 젊은 나선은하는 소수이고 대부분 외곽에 있거나 항성 생성이 거의 끝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00메가파섹으로 3억 광년 이상이며, 지름 또한 수천만 광년에 이른다.가장 밝은 은하는 중심 은하인 NGC 4889로 11.3등급이며, 이 밖에도 NGC 4874, NGC 4921, NGC 4839 등 십여 개의 11~13등급 은하들이 퍼져 있다. 또한 두 중심 은하 주변에는 15~16등급 중소형 타원 은하 수십 개가 흩뿌려져 있다.
이 은하단은 암흑 물질의 발견에 기여한 천체이기도 한데, 1933년 프리츠 츠비키(Fritz Zwicky, 1898~1975)가 이 은하단 중심부에서 구성 은하들이 질량에 비해 지나치게 빠르게 이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암흑물질에 대한 가능성을 처음으로 열었다.[1] 이 은하단은 약 90%가 암흑 물질로 채워져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