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1:08:34

우주원리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Cosmolog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 항성천문학
측광학 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밝은 청색 변광성 · 황새치자리 감마형 변광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초대질량 항성 · 쿼시 별 · 섬광성
항성 진화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황소자리 T형 별 · 주계열성 · 준거성 · 적색거성 · 헬륨 섬광 · 점근거성가지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 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전리수소영역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관측을 통한 우주원리의 입증3. 비판

1. 개요

Cosmological principle

우주원리는 거시적으로 본 우주의 밀도가 일정하고, 등방적일 것이라는 우주론의 가정이다. 우주원리의 개념을 처음 제시한 사람은 아이작 뉴턴으로 그는 당시 만유인력에 의해 우주가 붕괴하지 않는 이유를 무한히 넓고 균일하게 펼쳐져 있는 별들의 분포 때문으로 보았다. 1920년대 외부 은하의 발견으로 우주원리는 현대 천문학에서 보편적으로 다뤄지게 되었다.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 중 하나인 FLRW 계량은 우주원리에 기반하여 팽창하는 우주를 가장 간단한 형태로 설명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후 실제 관측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면서 FLRW 계량에 기반한 우주론은 암흑물질암흑에너지가 추가된 표준 우주 모형으로 발전한다.

2. 관측을 통한 우주원리의 입증

은하 수준, 혹은 그보다 작은 규모에서 봤을 때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밀도 분포가 기본적으로 불균일하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은하와 은하 밖 공간 사이의 차이는 말할 것도 없고 우주 공간상에서 은하들의 분포 양상을 말해주는 거미줄 같은 형태의 우주 거대 구조에서도 은하단과 거대공동 사이의 밀도 차이는 확연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우주 거대 구조의 자세한 패턴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의 스케일에서 은하 및 물질들의 분포를 그려보면 결국 우주의 밀도는 균일한 값으로 수렴하는 것이 확인된다. 우주 거대 구조의 패턴 또한 특정 방향에 대한 선호도가 없어 어느 각도로 보더라도 동등한 모습을 보인다.

우주배경복사의 관측 결과는 우주의 밀도가 매우 균일한 상태에서 출발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증명해주고 있다. 1970년대 이후로 계속 작성되고 있는 우주 지도에서도 은하의 분포가 거시규모에서 일정한 밀도에 수렴하는 것이 관측되면서 우주원리는 높은 설득력을 얻게 되었고, 빅뱅 우주론인플레이션 우주론의 직접적인 증거가 되었다.
파일:Planck_CMB.png
우주배경복사의 관측결과[1]

우주원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인정받고 있는데, 이를 가정하면 우주를 물리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훨씬 쉬워지기 때문이다. 우주원리가 참이라고 가정하면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우주의 어느 위치를 보더라도 다른 위치와 물리적으로 그 특징이 동등하다고 볼 수 있게 된다.

3. 비판

현재 표준 우주 모형에서 우주원리는 필수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우주원리에 위배되는 것 같은 관측 결과 또한 존재하고 있다. 거대퀘이사군이나 초거대 공동,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과 같은 구조는 그 크기만 수십억 광년을 넘어가고 있는데, 우주에 이 정도 크기의 특이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란이 존재한다.

또 다른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우주배경복사나 은하 분포 지도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는 최소한 관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는 우주가 균일하다는 사실일 뿐이라는 점이다. 관측 가능한 영역을 넘어서는 영역의 우주에 대해서까지 우주원리가 지켜질 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

악의 축 문서도 참조.


[1] 우주배경복사의 온도차이는 0.00001K 정도 수준. 색상은 그 0.00001K의 온도차를 반영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