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3:34:44

소마젤란은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마젤란은하
,
,
,
,
,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항성천문학
측광학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속성변광성 · 색등급도 · 별의 종족
항성계다중성계(쌍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청색 낙오성) · 성군
항성 진화주계열 이전 단계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황소자리 T형 별 · 원시 행성계 원반)
주계열성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주계열 이후
항성 분류준왜성(차가운 준왜성 · O형 준왜성 · B형 준왜성) · 탄소별(C형(CR 별 · CN 별 · CH 별) · S형 별) · 특이별(Am 별 · Am/Fm 별 · Ap/Bp 별 · CEMP 별 · HgMn 별 · 헬륨선 별(강한 헬륨선 별 · 약한 헬륨선 별) · 바륨 별 · 목동자리 람다 별 · 납 별 · 테크네튬 별) · Be 별(껍질 별 · B[e]별) · 헬륨 별(극헬륨 별) · 초대질량 항성(쿼시 별) · 섬광성
밀집성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갈색왜성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의 종류Y형 · T형 · L형
갈색왜성의 이후 진화
분류법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국부 시트 · 국부 체적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성간물질성운(전리수소영역 · 행성상성운 · 통합 플럭스 성운) · 초거품 · 패러데이 회전
우주론
기본 개념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NGC 천체 목록 201-300
New General Catalog 201-3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NGC 201 NGC 202 NGC 203 NGC 204 NGC 205 NGC 206 NGC 207 NGC 208 NGC 209 NGC 210
NGC 211 NGC 212 NGC 213 NGC 214 NGC 215 NGC 216 NGC 217 NGC 218 NGC 219 NGC 220
NGC 221 NGC 222 NGC 223 NGC 224 NGC 225 NGC 226 NGC 227 NGC 228 NGC 229 NGC 230
NGC 231 NGC 232 NGC 233 NGC 234 NGC 235 NGC 236 NGC 237 NGC 238 NGC 239 NGC 240
NGC 241 NGC 242 NGC 243 NGC 244 NGC 245 NGC 246 NGC 247 NGC 248 NGC 249 NGC 250
NGC 251 NGC 252 NGC 253 NGC 254 NGC 255 NGC 256 NGC 257 NGC 258 NGC 259 NGC 260
NGC 261 NGC 262 NGC 263 NGC 264 NGC 265 NGC 266 NGC 267 NGC 268 NGC 269 NGC 270
NGC 271 NGC 272 NGC 273 NGC 274 NGC 275 NGC 276 NGC 277 NGC 278 NGC 279 NGC 280
NGC 281 NGC 282 NGC 283 NGC 284 NGC 285 NGC 286 NGC 287 NGC 288 NGC 289 NGC 290
NGC 291 NGC 292 NGC 293 NGC 294 NGC 295 NGC 296 NGC 297 NGC 298 NGC 299 NGC 300
NGC 101-200 NGC 301-400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초록색 바탕은 불명인 천체.
}}}}}}}}} ||
NGC 천체
NGC 291
고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NGC 292
큰부리새자리와 물뱀자리의 불규칙은하
NGC 293
고래자리의 정상나선은하
소마젤란은하
Small Magellanic Cloud
파일:eso1714a.jpg [1][2]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0h 52m 44.8s
적위 -72° 49' 43"
별자리 큰부리새자리·물뱀자리[3]
겉보기 등급 2.7
물리적 성질
형태 Irr형 불규칙은하/SB(s)m형 막대나선은하
거리 62.44 kpc
203,700 광년
질량 79M
규모
지름 18,900광년[4]
겉보기 크기 5°20' × 3°5'[5]
명칭
Small Magellanic Cloud(SMC), NGC 292, PGC 3085, Nubecula Minor

1. 개요2. 상세
2.1. 역사
3. 소속 천체
3.1. 항성3.2. 성운3.3. 산개성단3.4. 구상성단

1. 개요

Small Magellanic Cloud (SMC)

소마젤란은하는 우리 은하 위성은하로, 제법 큰 위성은하들[6] 중에서는 궁수자리 왜소 타원은하, 대마젤란 은하 다음으로 세 번째로 가깝다.

2. 상세

소마젤란은하는 지구로부터 20만 3천 광년 떨어진 은하로 지름은 1만 8900광년이다. Sm(s) pec형 특이 막대나선은하로, 대부분 불규칙은하로 분류된다. 그러나 소마젤란은하는 중심 막대 구조가 존재하며, 이는 예전에 초소형 막대나선은하였지만 우리 은하대마젤란 은하와의 상호작용[7]으로 불규칙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기는 우리 은하나 대마젤란 은하와 같은 나선 은하들보다는 작고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수많은 왜소은하들 보다는 국부은하군 한정 중간 정도의 은하로, 비슷한 은하로는 NGC 6822, 안드로메다 은하의 위성은하인 M110, NGC 185 등이 있다. 수억 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 질량은 태양 질량의 70억 배에 달한다.

은하 중심에서 막대 구조의 흔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대마젤란 은하와의 상호작용으로 은하의 구조가 박살나기 전에는 막대나선은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과거에는 대마젤란 은하의 위성은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대마젤란 은하가 우리 은하와 약 10억~20억년 전부터 서로 상호작용하기 시작하면서 같이 우리은하와 상호작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은하 입장에선 꿩 먹고 알 먹고다. 다만, 다 먹고 난 시점에서는 형제동귀어진할 예정이다.

소마젤란은하와 대마젤란은하간의 충돌은 약 9억년 전부터 발생되었으나 약 2억 ~ 2억 5,000만년 전에 소마젤란은하가 대마젤란은하 의 원반을 관통해서 지나가는 대규모 충돌사건이 발생하면서 두 은하 모두 기존의 막대나선은하 구조에서 현재의 마젤란형 은하로 은하 구조가 변형되었다. 또한, 소마젤란은하의 경우 은하의 북쪽과 동쪽에서 스타버스트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상호작용 과정에서 원반의 상당량이 떨어져나가 대마젤란은하로 흡수[8]되어 은하의 규모가 비약적으로 감소하였다.

2023년 말에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놀랍게도 소마젤란은하는 사실 불규칙 은하 2개로 분리된 상태인데, 각 은하는 1만 6천 광년 떨어져 있다고 한다. 이 분리는 과거 9억 년 전부터 발생한 소마젤란은하와 대마젤란 은하와의 상호작용 때문에 일어났다고 추측한다. 이 논문은 이때까지 연구되어져 왔던 과거의 소마젤란은하와 대마젤란 은하, 그리고 우리은하간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들을 송두리째 뒤집히게 할 수도 있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후속 연구들로 과거에 발생되었던 소마젤란은하와 대마젤란 은하, 우리은하간의 상호작용을 더 정확하게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마젤란은하에도 여러 성운성단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에는 NGC 346과 같은 200광년이나 되는 비교적 큰 성운들도 존재한다. 대마젤란 은하의 타란툴라 성운에 비하면 매우 느린 속도로 별들이 만들어지며, 성간 물질이 대마젤란 은하보다 적다. R136a1과 같은 극도로 거대한 항성까지 만들어지지는 않지만, HD 5980 같은 매우 무거운 밝은 청색변광성이 몇 개 존재한다. 소마젤란은하에서도 여러 밝은 산개성단을 관측할 수 있으며, NGC 121, NGC 419 등 구상성단도 존재한다. 소마젤란은하에서는 많은 X선 쌍성이 발견되었으며, 펄서 또한 많이 발견되었다.

2.1. 역사

고대부터 호주 원주민 등 남반구 문명에서 알려져 왔으며,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 수피 또한 대마젤란 은하와 함께 언급했고, 대항해시대 때부터 서양인들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하여 대마젤란 은하와 함께 마젤란은하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요한 바이어, 존 허셜[9] 등도 이 은하를 관측했고, 20세기 초에 헨리에타 스완 레빗은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하여 최초로 이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도를 했다.

3. 소속 천체

3.1. 항성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소마젤란은하/항성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3.2. 성운

소마젤란은하에는 600 파섹 이상의 크기를 가진 3개의 초거품구조가 위치해 있으며 각각 대마젤란 은하 남쪽에 위치한 초거품은 37A 초거품, 북쪽에 위치한 초거품은 304A, 은하 남서쪽 멀리 떨어져 있는 초거품은 494A로 명명되었다.[10]

3.3. 산개성단

3.4. 구상성단


[1] 사진의 오른쪽과 맨 위쪽의 구상성단은 각각 NGC 104NGC 362로 모두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이다.[2] NGC 104의 바로 위에 있는 별 같은 천체는 NGC 121이라는 구상성단으로, 소마젤란은하의 구상성단이다.[3] 극히 일부이긴 하나 소마젤란은하의 유일한 WO형 볼프-레이에별인 AB8이 위치해있다.[4] 하지만 천체관측을 할 때 볼 수 있는 주요 천체가 있는 여역는 이보다 훨씬 작다.[5] 달의 시직경이 30'이다.[6] 최근에는 우리 은하 근처에서 목동자리 왜소은하를 비롯한 수백 광년 정도의 초소형의 붕괴된 왜소은하들이 여럿 발견되어 이러한 은하들의 잔해까지 포함시킬 시 소마젤란은하는 23번째로 가까운 은하가 된다.[7] 실제로 마젤란 은하와 우리 은하를 연결하는 마젤란 흐름과 소마젤란은하와 대마젤란 은하를 연결하는 마젤란 다리(Magellanic Bridge)가 존재하는 등 상호작용의 증거가 발견되었다.[8] 이 원반은 이후 대마젤란은하의 원반과 충돌하여 대마젤란은하의 폭발적 항성생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자세한 것은 대마젤란은하/성운 문서를 참고.[9] 윌리엄 허셜의 아들이다.[10] 이중 494A 초거품은 해당 지역에 전리수소영역이나 OB 성협이 발견되지 않았고, 은하 자체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어 밝혀진 것이 없다.[11] 위치가 초거품 494A 바로 위쪽에 위치해 있어 관련이 있을수도 있으나, 상술했듯이 알려진 것은 없다.[12] 추정[13]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