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22:44:41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주주
포드 가문지분 2%/의결권 40%뱅가드그룹지분 8.7%블랙록지분 7.3%스테이트 스트리트지분 4.2%
전/현직 주요 인물
헨리 포드설립자헨리 포드 2세윌리엄 클레이 포드 주니어의장짐 팔리CEO
계열사 및 사업부
<colbgcolor=#003179> 브랜드 <colbgcolor=#FFFFFF,#222222>포드링컨
없어진 브랜드 에드셀머큐리머쿠어메테오컨티넨탈포드슨프론테낙
고성능 브랜드 포드 레이싱
상용차 포드 프로
없어진 자회사 FPV포드 에어로스페이스SVOSVT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트롤러비스테온띵크 글로벌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 포드 연구 및 첨단 엔지니어링 센터독일 아헨던튼 기술 센터영국 에섹스포드 그린필드 연구소미국 캘리포니아포드 프루빙 그라운즈포드 자동차 연구 및 엔지니어링중국 난징
제조사 포드 오토산포드 캐나다포드 독일장링 포드창안 포드포드 아르헨티나포드 리오 호 자동차JMC 푸샨포드 멕시코포드 루마니아포드 남아프리카포드 스페인오토얼라이언스포드 태국포드 베트남
부품 제조사 모터크래프트
자동차 제조 공장 <colbgcolor=#003179> 북미 <colbgcolor=#003179> 캐나다 오크빌 조립 단지에섹스 엔진 공장윈저 엔진 공장
미국 시카고 조립 공장디어본 트럭 공장플랫 록 조립 공장캔자스 시티 조립 공장켄터키 트럭 공장루이빌 조립 공장미시간 조립 공장오하이오 조립 공장루즈 전기차 센터클리블랜드 엔진 플랜트 No. 1디어본 엔진 및 연료 탱크 공장리마 엔진 공장로슨빌 부품 공장스털링 액슬 공장디어본 설비 및 금형 공장우드헤븐 단조 공장버팔로 스탬핑 공장시카고 스탬핑 공장디어본 다각화 제조 공장디어본 스탬핑우드헤븐 스탬핑 공장리보니아 송전소샤론빌 송전소반 다이크 전기 파워트레인 센터
멕시코 쿠아우티틀란 스탬핑 및 조립 공장에르모시요 스탬핑 및 조립 공장치와와 엔진 공장이라푸아토 전기 파워트레인 센터
유럽 쾰른 차체 및 조립 공장독일자를루이 차체 및 조립 공장독일쾰른 엔진 공장독일쾰른 설비 및 금형 공장독일콜타코 쾰른 유한회사 공장독일쾰른 변속기 공장독일발렌시아 차체 및 조립 공장스페인발렌시아 엔진 공장스페인다게넘 엔진 공장영국헤일우드 변속기 공장영국크라이오바 조립 공장루마니아크라이오바 엔진 공장루마니아오토산 엔진 및 변속기 공장튀르키예오토산 엔진 및 변속기 공장튀르키예오토산 공장튀르키예
아시아 중국 포드 리오 호 자동차포드 리오 호 엔진 공장창안 포드 충칭 차량 운영 공장창안 포드 충칭자동차유한공사 엔진 공장창안 포드 충칭자동차유한공사 변속기 공장창안 포드 항저우 공장JMC 푸산 조립 공장JMC 샤오란 조립 공장JMC 샤오란 엔진 공장
태국 오토얼라이언스 태국(AAT) 공장 | 포드 태국 제조(FTM) 공장
베트남 포드 베트남 하이즈엉 조립 공장
인도 하난드 엔진 공장
남미 파체코 스탬핑 및 조립 공장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실버튼 조립 공장남아프리카 공화국스트루안데일 엔진 공장남아프리카 공화국
배터리 블루오벌 SK
합자회사 장링 포드49%창안 포드50%포드 리오 호 자동차70%오토얼라이언스50%포드 오토산41%포드 베트남75%자동차 연료 전지 협력폐지
리테일 포드 넥스트
차량 리스 포드 드라이브
자율 주행 래티튜드 AI
금융 포드 크레딧
해외 지사 포드 모터 아르헨티나포드 브라질포드 모터 컴퍼니 오브 캐나다포드 유럽(포드 영국트러스트포드포드 프랑스포드 독일포드 아일랜드포드 이탈리아포드 루마니아포드 스페인)| 포드 인디아포드 호주포드 뉴질랜드포드 모터 컴퍼니 필리핀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포드 모터 컴퍼니 오브 재팬포드 남부 아프리카
}}}}}}}}} ||

<colbgcolor=#003179><colcolor=#fff>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Premier Automotive Group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99년
해체일 2010년
모기업 포드 모터 컴퍼니

1. 개요2. 상세
2.1. 역대 회장
3. 당시 소속 브랜드
3.1. 소속 브랜드의 연혁


1. 개요

파일:PAG 본사.png
본사 건물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포드에서 고급차 브랜드 라인업 운영을 위해 만들었던 부서이자 기업이다.

2. 상세

1999년에 당시 포드의 회장이던 자크 나세르의 주도로 창설이 이루어졌다. 2004년 기준 포브스 지에 따르면 이 기업의 설립을 위해 약 170억 달러[1]를 소모했다는 언급이 있다.

2002년에 링컨과 머큐리는 포드 산하로 복귀하였으나, 링컨의 본사는 영국 런던 본사 소속의 독일 경영진들이 운영하는 북미 지역 사무소로 변경되었다. 북미 지역 사무소는 캘리포니아 주 어바인에 위치해 있었는데, 마쓰다의 북미 법인 본사 인근에 있었다고 한다.[2]

이외 브랜드들은 고유 시장과 판매망을 갖춘 탓에 각 브랜드들끼리의 시너지 효과는 적은 편이었다고 한다. 그로 인해 포드 측에서는 비용 절감이라도 이뤄보고자 과도한 자원 공용화를 시도했다.[3] 그 탓에 볼보는 과거 볼보 740, 볼보 940볼보 S70으로 성공적인 엔트리 부문 고급 브랜드로 성공했지만, 인수 이후 BMW메르세데스-벤츠에게 점유율을 상당히 뺏기기도 했다.

2006년 9월부터 포드의 회장이 앨런 멀앨리로 선출된 이후 'The Way Forward'라는 과감한 개혁 정책을 펼치면서 해체 기조를 보이기 시작하여 2007년부터 차례대로 분리되었다. 애스턴 마틴은 독립하였고, 재규어랜드로버인도타타자동차에, 볼보중국 지리자동차에 매각했다. 마쓰다는 독립 후 협력 관계만 유지했다. 그리고 2010년에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은 완전히 해체되었다.

국내 시장에서는 2001년볼보자동차코리아를 중심으로 PAG 코리아 판매법인을 설립해 운영했으나 2008년재규어랜드로버타타자동차에 매각되어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라는 법인으로 분리되었다. 여담으로 PAG 코리아는 아시아 최초 통합 PAG 내 딜러망이었다고 한다.

2.1. 역대 회장

3. 당시 소속 브랜드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파일:링컨 심볼.svg 파일:머큐리 최후기 로고.png 파일:Jaguar-Logo-2001-2012.png 파일:랜드로버 로고.svg 파일:애스턴마틴.png 파일:볼보 로고(1999-2013).svg 파일:마쓰다 로고(1997-2015).svg
링컨 머큐리 재규어 랜드로버 애스턴 마틴 볼보 마쓰다

3.1. 소속 브랜드의 연혁

소속 브랜드 연혁
링컨 1999년 - PAG 소속 편입
2002년 포드 산하로 복귀
2012년 - 프리미엄 브랜드로 승격
머큐리 1999년 - PAG 소속 편입
2002년 포드 산하로 복귀
2011년 - 브랜드 폐지
재규어 1989년 - 포드로 인수
1999년 - PAG 소속 편입
2008년 - 타타에 매각
랜드로버 2000년 - 포드로 인수 후 PAG로 편입
2006년 - 로버 브랜드 상표권 획득[4]
2008년 - 타타에 매각
애스턴 마틴 1987년~1991년 - 포드로 인수
1999년 - PAG 소속 편입
2007년 - 지분 92% 매각[5]
볼보 1999년 - 포드로 인수 후 PAG로 편입
2010년 - 지리에 매각
마쓰다 1996년 - 포드로 인수
1999년 - PAG 소속 편입
2010년 - PAG 해체
2015년 - 토요타와 기술협력 강화

[1] 원화가치 약 19조 2,271억원[2] 현재는 타코벨의 본사로 활용되고 있다.[3] 일례로 애스턴 마틴 등의 일부 고급 브랜드 차량의 품질은 포드 수준으로 질이 떨어졌으며, 재규어 X-타입포드 몬데오의 섀시를 공유한 탓에 엄청 까이기도 했었다.[4] 이로 인해 상하이자동차로버라는 이름 대신 로위로 이름을 고쳐 런칭해야만 했다.[5] 데이비드 리처드의 주도로 이루어진 투자 컨소시엄에 인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