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dfdfdf,#202020> 고대 | ||
슬라브족 | |||
폴란족 | |||
중세 ~ 근세 | 폴란드 영지 | ||
폴란드 왕국 피아스트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몽골의 침입 | |||
폴란드-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 |||
근대 | 독일령 | 오스트리아령 | 러시아령 |
바르샤바 공국 | |||
,독일령, 포젠 | 크라쿠프 자유시 | ,러시아령, 폴란드 입헌왕국 프리비슬린스키 지방 | |
,오스트리아령, 크라쿠프 대공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 |||
폴란드 섭정왕국 | |||
제2공화국 | |||
현대 | 제2공화국 망명정부 | 나치 독일령 폴란드 지하국 | 소련령 |
제2공화국 임시정부 | |||
폴란드 인민공화국 | |||
제3공화국 |
[[러시아|]] 러시아-폴란드 관계 관련 문서 [[폴란드|]]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폴란드 분할 · 폴란드 입헌왕국 · 러시아령 폴란드 · 프리비슬린스키 · 독소 폴란드 점령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사건사고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 카틴 학살 · 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 · 1월 봉기 | |
외교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 러시아-폴란드 국경 · 폴란드군 vs 러시아군 | }}}}}}}}} |
프리비슬린스키 지방 Привислинский край(러시아어) Kraj Nadwiślański(폴란드어) 러시아 제국의 크라이(край) | |
국기 | 국장 |
1867년 ~ 1915년 | |
수도 | 바르샤바 |
국가원수 | 전러시아의 황제[1] |
언어 | 러시아어 |
성립 이전 | 폴란드 입헌왕국 |
멸망 이후 | 폴란드 섭정왕국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 지배 시기 당시의 폴란드.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의 영토로 분열되어 있었던 오늘날 폴란드의 동반부이다.뜻은 비스와강 근처의 주. 연해주(Приморский Край)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вислинский(비슬린스키)' 자체가 비스와 강을 뜻한다.
이 당시의 폴란드는 독자적인 민족 정체성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부인당하고 민족 말살 정책을 통한 강제적인 동화 정책을 겪었고[2], 이로 인해 러시아에 대한 증오가 극에 달해있던 상황이었다.
2. 역사
프리비슬린스키가 설치되었을 당시는 1832년 11월 봉기와 1863년 1월 봉기로 폴란드 입헌왕국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부여받은 자치권을 상실하고 일개 주로 격하되어 급속하게 러시아에 편입되어 가던 시기이다. 특히 1870년대부터는 사실상 러시아 제국군의 장군들이 통치하는 군정이 되었고 1880년대에는 폴란드어가 공용어 지위를 박탈당하고 사용이 금지되었다.당시 상황을 기억하던 폴란드 출신 물리학자인 마리 퀴리에 의하면, 학교 수업 중에 수시로 러시아 제국군 장교가 쳐들어와서 폴란드인 학생들의 러시아어 실력을 테스트하고 학생들의 러시아어 실력이 서툴면 교사들을 갈궜다고 한다.[3] 이같이 가혹한 민족 말살 정책은 당연히 폴란드인들의 분노를 샀다. 마리 친구의 오빠는 폴란드 독립 운동에 가담했다가 공개 총살당했고, 이에 분노한 마리와 그 친구들은 러시아 제국의 승전비를 볼 때마다 비석에다 침을 뱉기도 했으며,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당했을 때는 매우 기뻐했다.[4] 사실상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과 중국에게 했던 정책을 러시아가 그대로 했다고 봐도 된다.
이러한 러시아 제국의 폴란드 말살 정책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독일 제국이 폴란드 지역을 점령, 폴란드 섭정왕국이라는 괴뢰국을 세우면서 종료되었다. 러시아 제국 본토를 떠나 러시아령 폴란드로 이주하여 살던 러시아인은 독일 제국이 러시아령 폴란드를 점령하자 이를 피해 러시아 본토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미처 도망가지 못한 러시아인은 독일 제국 및 독일 제국 편에 붙은 토착 폴란드인에 의해 엄청난 탄압을 받았다. 오늘날 폴란드 내 정교회 신자들 및 러시아령 폴란드의 러시아인 실향민 후손들은 폴란드에 남아있는 러시아 제국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기도 한다.
[clearfix]
3. 관련 문서
- 바르샤바 공국
- 빈 회의
- 러시아령 폴란드
- 니콜라이 1세
- 알렉산드르 2세
- 폴란드 입헌왕국
- 일제의 민족말살통치: 한국어를 금지시키고 일본어를 강요했던 것에서 공통점이 있다. 폴란드의 반러와 비슷하게 한국도 반일 감정이 크고, 일본을 혐오하기도한다.
[1] 폴란드 국왕 겸임[2] 현재도 폴란드의 비아위스토크는 사실상 러시아계 국가로 여겨지는 벨라루스와의 접경지대(소련 해체 이전에는 소련과의 접경지대)에 있다는 것도 감안해도 폴란드의 다른 지역들에 비해 러시아 색채가 강한 편이다.[3] 출처는 이브 퀴리가 쓴 마리의 전기인 <마담 퀴리>로, 국내에는 2006년에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마리 퀴리 역시 10대 시절 이 일을 직접 겪었고, 러시아어가 유창했기에 무사히 넘어갔으나 나중에 민족성 훼손에 모멸감을 느끼고 울었다.[4] 러시아 제국은 1917년에 러시아 혁명으로 붕괴되었고, 폴란드는 이듬해인 1918년에 독립했으며, 마리 퀴리는 1934년까지 생존해있었기 때문에 자국의 원수인 러시아 제국의 패망과 조국 폴란드의 독립을 모두 지켜보았다. 여담으로 퀴리 부인이 1934년까지만 살아계셨던 것은 어쩌면 행운이었을 수도 있다. 당장 5년 뒤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