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8:11:28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캐릭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파일:프리코네_LO.pn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상세
2.1. 목록
3. 분류
3.1. 공격3.2. 배치3.3. 속성3.4. 역할 / 롤3.5. 그 외
4. 강화
4.1. 장비4.2. Lv 강화4.3. 스킬 강화4.4. 재능 개화
4.4.1. 메모리 피스 수급처4.4.2. 6성 개화
4.5. 전용 장비4.6. EX 장비4.7. 롤 마스터리
5. 인연 랭크

1. 개요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의 등장 캐릭터에 대한 문서.

본 문서는 플레이어블 캐릭터에 대한 설명으로,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이 문서를 참조.

2. 상세

파일:프리코네캐릭터화면.jpg
'뽑기' 메뉴에서 획득한 캐릭터들을 '캐릭터' 메뉴에서 확인하고 육성할 수 있다.

기본적인 장비 및 스킬강화, 랭크 업과 재능개화 전부 여기서 이루어진다. 상단에 있는 버튼을 눌러 포지션 별로 열람하는 것도 가능하다. 태생 혹은 재능개화로 인한 3성 이상인 캐릭터들은 표시변경 메뉴에서 전투시 SD캐릭터/아이콘/일러스트를 각각 2성 이전과 3성 이후의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참고로 유니온 버스트 컷인 연출 및 대화씬용 그래픽 등은 2성 이전의 일러스트에 맞춰져있다.

2.1. 목록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길드 소속 멤버
<colbgcolor=#F96A9F> 미식전
트윙클 위시
라비린스
카르미나
리틀 리리컬
포레스티에
악마왕국군
(디아볼로스)
왕궁 기사단
(NIGHTMARE)
사렌디아 구호원
자경단 (카온)
목장
(엘리자베스 파크)
메르쿠리우스 재단
트와일라이트
캐러밴
루센트 학원
바이스플뤼겔
랜드솔 지부
성 테레사 여학원
(단짝부)
드래곤즈 네스트
뉴 제네레이션
리치몬드 상공회
길드관리협회[a]
레이지 레기온
얼터 메이든 파일:리리 속성 아이콘.png파일:수리리 속성 아이콘.png
리리
파일:크리아 속성 아이콘.png
크리아
파일:프레시아 속성 아이콘.png
프레시아
밴디 시스터즈 파일:야마토 속성 아이콘.png
야마토
파일:와카나 속성 아이콘.png
와카나
파일:후부키 속성 아이콘.png
후부키
지오 테오고니아[a]
지오 게헤나[a]
지오 니블헬[a]
알케스 연금당 파일:루이즈마리 아이콘.png
루이즈마리
파일:이로하 아이콘.png
이로하
파일:소노 아이콘.png
소노
???
기타 등장인물 }}}[a]: 길드가 아니기 때문에 게임 내 프로필에서는 ???으로 표기됨
CHN: 중국 서버 한정

}}}}}}

3. 분류

각 캐릭터들은 배치, 공격, 속성, 역할군에 따라 나뉘어진다. 이 외에 획득 방식에 따라 통상, 한정, 배포 등으로 나뉘어지기도 한다.

3.1. 공격

공격의 타입을 말하는 것으로 6주년에 5속성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프리코네의 유일한 속성 분류 시스템이었다. 물리마법의 두 분류로 이루어져 있다.

대체로 검이나 창 같이 근접무기를 쓰는 캐릭터들이 물리 공격군에 포함되어 있으나 미사토안나같이 근접무기를 들고 있지만 마법캐인 캐릭터들이 몇몇 있다.

수영복이나 신년 등 바리에이션 캐릭터는 원본 캐릭터와 인연 스텟 보너스를 공유하기 때문에[1] 원본 캐릭터의 공격타입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으나, 물리에서 마법으로 공격타입이 바뀐 오우카와 물리와 마법의 하이브리드 형 공격타입을 가진 마토모 등이 출시하면서 점점 바뀌어가는 추세. 딜러 중에서는 워지타가 최초로 물리에서 마법으로 공격타입이 전환되었다.

예외가 있다면 물공탱커에서 마공탱커로 바뀐 오에도 쿠우카와 마공캐이되 UB와 1 스킬이 물공, 마공의 영향을 합져서 받는 매지컬 토모정도.

3.2. 배치

캐릭터의 위치를 정하는 수치. 크게 전열 / 중열 / 후열로 나뉘어져 있다.

캐릭터들은 각자 고유한 위치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캐릭터 각자의 순서가 정해진다. 위치값이 짧은 캐릭터는 전열, 앞에 있고, 위치값이 큰 캐릭터는 후열, 즉 뒤에 있다는 것.

당연하겠지만 전열 캐릭터들은 앞에서 적의 공격을 맞아주니 탱커 캐릭터가 많을 것이고, 중열이나 후열은 적의 공격을 덜 받을 것이니 딜러나 버퍼 캐릭터가 많을 것이다. 물론 전중후열 배치는 대략적으로 나눠 놓은 것이기에 전열 딜러 캐릭터들도 많다.

6주년 속성 도입 전까지는 이 전중후열 배치로 캐릭터를 분류했다.

3.3. 속성

파일:프리코네 불속성.png 파일:프리코네 물속성.png 파일:프리코네 바람속성.png 파일:프리코네 빛속성.png 파일:프리코네 어둠속성.png
바람 어둠

#
6주년 업데이트에 새로 도입된 시스템. 변변찮은 속성과 상성 시스템이 없었던 프리코네에 등장한 시스템으로, 불 / 물 / 바람 / 빛 / 어둠의 5속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에게 붙어 있는 것으로, 속성 보너스속성 약점 보너스의 두 가지 역할이 있다.

속성은 일반 보너스든 약점 보너스든 같은 속성 사이에만 보너스가 들어가며, 불이 물에 약하다는 속성간의 상성 관계는 없다.

여담으로, 수영복 캐릭터나 크리스마스 캐릭터들에게 보통 물 속성이 할당되고, 이미지에 화염이 있는 캐릭터들의 경우 불, 어두운 분위기의 캐릭터들은 어둠이 할당되는 등 꽤나 센스있게 정해지는 것이 특징. 물론 캐릭터 간 밸런스 문제가 엮여있기 때문에 이렇게 정해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3.4. 역할 / 롤

파일:프리코네 아이콘-어태커.png 파일:프리코네 아이콘-브레이커.png 파일:프리코네 아이콘-버퍼.png 파일:프리코네 아이콘-디버퍼.png
어태커 브레이커 버퍼 디버퍼
파일:프리코네 아이콘-부스터.png 파일:프리코네 아이콘-힐러.png 파일:프리코네 아이콘-탱크.png 파일:프리코네 아이콘-재머.png
부스터 힐러 탱크 재머

# #
2025년 2월 15일 업데이트와 함께 등장한 새로운 역할 분류군. 7주년 직전 생방송에서 선행 공지되었다. 공격타입이나 속성과 다른 캐릭터의 역할 분류로, 롤이라는 이름 그대로 각 캐릭터의 역할을 직접적으로 나타내 준다.

같이 추가되는 롤 마스터리라는 것으로 롤 자체를 강화할 수 있으며, 해당 롤에 속한 캐릭터 전부가 보너스를 받는다.
어태커 <colbgcolor=white,#1c1d1f>높은 공격 성능으로 적에게 데미지를 입히는 데 특화된 캐릭터
브레이커 공격 성능과 더불어 적의 방어력 다운 및 방어관통 능력을 갖춘 캐릭터
버퍼 아군 공격력 향상 등 지원 능력을 메인으로 한 캐릭터
디버퍼 적에 대한 공격 다운이나 방어 다운 등의 약체화 능력을 메인으로 한 캐릭터
부스터 아군을 향한 행동 속도 향상과 TP 회복을 통한 지원 능력을 메인으로 한 캐릭터
힐러 아군으로의 HP 회복, 장벽 확장 등 회복 능력을 메인으로 한 캐릭터
탱크 높은 내구력과 자신의 스킬로 적의 공격을 견디는 캐릭터
재머 행동불능 스킬이나 상태이상 스킬을 가지고 적의 행동을 제한하는 캐릭터

3.5. 그 외

그 외로 캐릭터의 초기 레어도(별의 갯수)나 획득 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초기 레어도는 1성 / 2성 / 3성 세 가지가 있으며, 재능개화를 통해 레어도를 올릴 수 있다.

캐릭터의 획득 방식은 다음과 같다.

4. 강화

캐릭터를 강화하는 방법은 장비 및 랭크, 레벨, 스킬 레벨, 재능개화, 전용장비, EX 장비 등이 있다.

캐릭터의 강화는 인연 랭크를 제외하면 별도의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캐릭터를 방금 뽑아도 자원이나 레벨만 충분하다면 바로 강화해 실전에 투입할 수 있다.

4.1. 장비[3]

메인 퀘스트 NORMAL을 클리어해서 얻은 장비를 캐릭터에게 장착할 수 있다. 캐릭터마다 여섯 개의 장비 슬롯이 있고, 장비 슬롯을 다 채운 경우 장착한 장비 여섯 개를 소모해 랭크를 하나 올릴 수 있다.

저랭크 장비는 모으기 쉽지만 올리다 보면 하위 장비를 일정 개수 모아서 상위 장비로 만들어야 하거나 모아야 하는 재료(조각, 설계도)의 개수도 많아져 금방 올리기 쉽지 않아진다. 주기적으로 해주는 노멀 퀘스트 드롭 2배 이벤트 때에 집중적으로 파밍해놓으면 좋다.

장비 중 사용 캐릭터가 많거나 상위 장비의 재료로도 사용되어 요구량이 높은 것, 드롭맵도 한정되어 귀하디 귀한 아이템이라 어쩔 수 없이 이전 맵에서 눈물을 머금고 귀중한 스태미나까지 낭비하며 캐야 하는 것들은 속칭 씨X템, 야발템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유저들의 혈압을 올리는 원인 중 하나이다. 랭크도 많이 올라갔고 무엇보다 원광이 추가되어 부담이 조금 줄었다. 2020년 기준 모자란 아이템 순위

장비는 다른 장비나 정련석을 재료로 강화할 수 있으며, 장비가 강화되면 장비의 별 수치가 올라간다. 당연히 캐릭터의 스펙도 올라가기 때문에 랭크 업이 힘들다면 해줄 수는 있으나 랭크 업 시 장비 강화에 사용한 마나를 돌려주지 않기 때문에 (정련석은 일부 돌려준다.) 보통은 일일 미션으로 한 번만 강화하고 끝내는 경우가 많다.

장비 재료는 크게 조각과 설계도로 구분되어있는데 조각은 단일 재료만으로 제작, 설계도는 갖가지 재료들 다수를 조합하여 제작하는 성격을 보이는 아이템들이다.

4.2. Lv 강화

EXP 포션을 사용해 각 캐릭터의 레벨을 올려줄 수 있다. 캐릭터의 레벨은 플레이어의 계정 레벨을 넘을 수 없다.

아스트라이아 링을 사용해 캐릭터의 레벨 상한을 10 올려줄 수 있다. 레벨 제한을 넘을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레벨이 만렙일 때도 마찬가지.

4.3. 스킬 강화

마나를 사용해 각 캐릭터의 스킬 레벨을 올려줄 수 있다. 스킬 레벨은 캐릭터의 레벨을 넘을 수 없다. 캐릭터의 스펙이 올라가는 레벨과 다르게 스킬의 효과치만 올라간다.

캐릭터는 유니온 버스트와 1스킬, 2스킬, 그리고 EX 스킬 총 4가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SP 스킬 같이 스킬의 갯수가 4개를 넘어도 강화 가능한 스킬은 UB와 1, 2, EX 4개로 고정되며, SP 스킬 등은 UB나 1스킬 등의 레벨을 따라가는 식으로 올라가게 된다.

캐릭터의 랭크에 따라 차례로 스킬이 해금된다. 유니온 버스트는 처음부터 소지하고 있고, 2랭크에 1스킬, 4랭크에 2스킬이, 7랭크에 EX 스킬이 개방된다.

캐릭터를 5성까지 재능개화를 시키면 EX 스킬이 강화되고, 전용장비 1을 장착 시 1스킬이 강화, 전용장비 2를 장착 시 2스킬이 강화되고, 캐릭터를 6성개화 시킬 경우 UB가 강화된다.

4.4. 재능 개화

각 캐릭터의 메모리 피스를 소비해 캐릭터의 레어도를 올리는 시스템으로, 재능개화 시 캐릭터의 스펙이 대폭 올라가게 된다. 그만큼 오랜 시간이 걸리며 투자해야 하는 시간 역시 랭크 업에 비해 오래 걸린다.

1성 → 2성으로 재능개화 할 때는 30개, 2성 → 3성시에는 100개, 3성 → 4성시에는 120개, 4성 → 5성시에는 150개가 필요하다. 메모리 피스 수급처에 대해서는 아래 문단 참조.

2성에서 3성으로 재능개화할 시 캐릭터의 재능개화 일러스트가 생성되며, 인게임의 배틀 스프라이트도 3성을 기준으로 변화한다. 다만 유니온 버스트 컷인 연출 및 스탠딩 일러스트는 2성 이전의 일러스트에 맞춰져있다. 또한 인연 랭크 상한이 풀리면서 인연 스토리가 추가로 4편 해금된다.

프리코네는 특유의 TP 수급 구조 때문에 일부 캐릭터의 경우 재능개화를 시켜 스펙을 올리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몇몇 있는데, 공식에서도 이 문제를 인지했는지 5성 달성 시 3성에서 5성으로 자유롭게 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출시했다. 단, 6성개화 시에는 조절을 할 수 없으며, 1, 2성으로는 레어도를 내릴 수 없다.

4.4.1. 메모리 피스 수급처


던전 코인이 가장 모으기 쉬우며[5] 보통 순서대로 아레나, 하드모드, 프레나, 클랜 코인 순으로 모으기 어려워진다.

4.4.2. 6성 개화

캐릭터를 5성에서 6성으로 재능개화하는 것으로, 여태까지의 재능개화와는 조금 다르게 진행된다.

우선 6성개화하려는 캐릭터는 5성까지 재능개화 되었어야 하고, 전용장비 1을 장착해야 한다. 조건을 만족하고 나면 해당 캐릭터의 메모리 피스 50개, 퓨어 메모리 피스 50개, 프린세스 오브 100개를 모아 장착하고 해방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6성으로 재능개화를 할 수 있다.

6성개화 시 캐릭터의 유니온 버스트가 변화하며, 캐릭터의 스펙도 대폭 올라가게 된다. 3성 재능개화처럼 6성 일러스트가 새로 생기며 배틀 스프라이트도 6성에 맞춰 변화한다.[6]

6성개화 시 인연 랭크 상한이 풀리면서 인연 스토리가 추가로 4편 해금된다.

4.5. 전용 장비

통칭 전장으로 부르며 일반 랭크 업을 시켜주는 장비와는 별개로 캐릭터마다 고유 장비가 있다. 캐릭터의 랭크가 7 이상이어야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시 공통적으로 캐릭터의 1스킬이 강화된다.

전용장비의 유무와 성능에 따라 성능이 좋지 않았던 캐릭터가 떡상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고, 원래 성능이 좋았던 캐릭터의 경우는 전장이 평이한 성능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캐릭터 간 성능 밸런스 문제 때문에 성능이 좋은 OP 캐릭터의 경우 늦게 추가되는 것이 일반적.

전용장비를 제작하기 위해선 유적 조사와 루나의 탑에서 드롭되는 프린세스 하트 3개와 해당 캐릭터의 메모리피스 50개, 100만 마나를 소비하여 합성하면 획득할 수 있다. 전장은 30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으며, 해당 캐릭터의 메모리 피스를 10개 소비하여 강화 상한을 늘릴 수 있고, 정련석을 통해 강화한다.

4.6. EX 장비

방치형 컨텐츠인 어드벤처에서 얻을 수 있는 장비인 EX 장비를 착용할 수 있는 칸으로, 통상 장비와는 달리 탈착이 가능하며 캐릭터마다 돌려쓸 수 있다.

클랜전 이외의 컨텐츠에 영향을 주는 일반 칸과 클랜전에 영향을 주는 클랜전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클랜전 칸에는 클랜전 전용 장비만 장착할 수 있다.

무기, 갑옷, 악세사리로 세 칸이 있으며, 클랜전 칸까지 합치면 총 여섯 개의 칸에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4.7. 롤 마스터리

5. 인연 랭크

호감도 시스템. 캐릭터로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쌓이는 호감도 수치로, 일정치가 쌓이면 인연 랭크가 올라가며 전용 대사와 연출이 나온다. 만약 퀘스트를 스킵 티켓으로 스킵했을 경우 캐릭터의 호감도를 올려주는 아이템이 드랍되며 길드 하우스에서 캐릭터에게 먹여 랭크를 올릴 수 있다.

인연 랭크를 올릴 시 캐릭터 각자의 인연 스토리가 개방되고 인연 스토리를 시청할 시 캐릭터의 스테이터스가 오른다. 랭크는 최대 12랭크까지 있으며 4랭크 이후 스토리는 3성 이상, 8랭크 이후 스토리는 6성이어야 볼 수 있다.

인연 랭크 보너스 스탯은 같은 이름을 가진 캐릭터끼리 공유하며, 바리에이션 캐릭터의 인연 보너스도 원본에게 공유될 수 있다.[7]

[1] 일례로, 물리공격인 페코린느의 경우 인연 스탯 보너스가 HP와 물리 공격력이 올라간다. 이 올라간 물리 공격력 스탯이 같은 물리공격인 수페코프페코의 공격력에 더해지는 것. 반대로 마법공격인 성페코는 이 물리 공격력 스탯이 딜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2] 일례로 빛 속성인 네네카를 포함해 불 / 물 / 빛 / 빛 / 빛 의 파티가 있다고 하자. 이럴 경우 빛 속성 3명의 보너스가 생기는데, 네네카가 UB를 써 분신을 소환한다 해도 4명이 아닌 3명분의 보너스가 유지된다.[3] 인게임에서는 랭크 없이 장비라고만 표기하고 있다.[4] 가챠에도 나오지 않는다.[5] 컨텐츠의 개방 타이밍도 빠르고 난이도도 쉬운 편이며, 보상도 많다. 획득 던전 코인은 이 문서를 참조.[6] 예외로 지타는 6성개화 시 스탠딩 일러스트와 유니온 버스트 컷인 연출이 6성 일러스트에 맞춰 완전히 바뀌고 UB를 포함한 모든 스킬이 강화되며 스킬명도 바뀐다.[7] 일례로 콧코로의 인연 보너스는 수코로나 뉴코로 등의 본인의 바리에이션 캐릭터에게도 붙고, 수코로의 인연 스탯 보너스도 원본인 콧코로와 원본의 다른 바리에이션인 뉴코로나 프코로 등에도 붙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0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