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 풀리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하비 풀리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SK 와이번스 등번호 24번 | |||||||||||||||||||||||||||||||||||||||||||||||||||||||||||||||||||||
최정환 (2000~2000.4.) | → | 풀리엄 (2000.4.30.~2000) | → | 강혁 (2001) |
}}} ||
하비 풀리엄 Harvey Pulliam | |
본명 | 하비 제롬 풀리엄 Harvey Jerome Pulliam |
출생 | 1967년 10월 20일 ([age(1976-10-20)]세) |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맥아티어 고등학교 |
신체 | 183cm, 95kg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6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79번, KC) |
소속팀 | 캔자스시티 로열스 (1991~1993) 콜로라도 로키스 (1995~1997)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8~1999) SK 와이번스 (2000) |
[clearfix]
1. 개요
前 SK 와이번스 소속의 외국인 선수.2. 선수 경력
1986년 메이저리그 신인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79순위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며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다.2.1. 메이저리그 시절
캔자스시티 입단 이후 3년 만에 트리플A로 승격되어 1990년 16홈런을 쳐냈고, 그러한 활약으로 이듬해 메이저리그에 콜업되어 1993년까지 3년간 49경기에 출전해 100타수 26안타 4홈런 .260/.308/.450을 기록했다.1994년에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트리플A 팀에서 한 시즌을 보냈고, 1995년에는 콜로라도 로키스로 이적해 1997년 59경기에서 67타수 19안타 3홈런 .284/.333/.463의 성적을 기록하며 대타요원으로써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2.2.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8년에 일본프로야구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외국인 선수로 영입되어 92경기에서 18홈런 62타점 .285/.369/.500의 준수한 활약을 펼쳤고, 재계약에 성공했다. 이 기간 중 연패 탈출을 위해 완투중이던 치바 롯데 마린즈의 에이스 쿠로키 토모히로의 전의를 꺾는 9회말 2아웃 동점 투런 홈런을 치며 경기를 연장으로 끌고 가고, 결국 오릭스가 연장전에서 승리하며 롯데가 일본프로야구 최다연패 기록을 세우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한 적이 있다. 이 경기 내용은 칠석의 비극 항목에 더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1999년에는 122경기에서 20홈런 85타점 .280/.359/.462의 성적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2.3. SK 와이번스
이후 2000년 5월 SK 와이번스가 타이론 혼즈와 헨슬리 뮬렌을 퇴출하면서 대체 외국인 선수로 영입된다.그리고 91경기에 나서 16홈런 55타점, .267/.341/.486의 성적을 기록했다. 당시 전력이 매우 약했던 SK 와이번스의 타선에서 그나마 활약해주었지만, 외국인 선수 치고는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두며 재계약에는 실패한다.
다만 출장이 조금 적은건 선발 투수인 빅터 콜이 등판하면 야수중 한명은 쉬게 되었는데, 같은 야수인 틸슨 브리또가 103경기를 출전했다. 출장 권한[1]은 강병철 감독이 갖고 있었기에 때에 따라 브리또가 선발이냐 폴리엄이 선발이냐에 따라 팀 경기 변화가 있기도 했다.
2.4. 이후
2001년 멕시칸리그에서 1시즌을 뛴 후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페이스북 계정이 있다. 2022년 기준으로는 직장인 생활을 하고 있는 듯 하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991 | KC | 18 | 33 | .273 | 9 | 1 | 0 | 3 | 4 | 4 | 0 | 3 | 0 | 9 | .333 | .576 | .909 |
1992 | 4 | 5 | .200 | 1 | 1 | 0 | 0 | 0 | 2 | 0 | 1 | 0 | 3 | .333 | .400 | .733 | |
1993 | 27 | 62 | .258 | 16 | 5 | 0 | 1 | 6 | 7 | 0 | 2 | 1 | 14 | .292 | .387 | .679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995 | COL | 5 | 5 | .400 | 2 | 1 | 0 | 1 | 3 | 1 | 0 | 0 | 0 | 2 | .400 | 1.200 | 1.600 |
1996 | 10 | 15 | .133 | 2 | 0 | 0 | 0 | 0 | 2 | 0 | 2 | 0 | 6 | .235 | .133 | .369 | |
1997 | 59 | 67 | .284 | 19 | 3 | 0 | 3 | 9 | 15 | 0 | 5 | 0 | 15 | .333 | .463 | .796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998 | 오릭스 | 92 | 326 | .285 | 93 | 16 | 0 | 18 | 62 | 38 | 1 | 39 | 7 | 52 | .369 | .500 | .869 |
1999 | 122 | 446 | .280 | 125 | 21 | 0 | 20 | 85 | 59 | 0 | 50 | 5 | 85 | .359 | .462 | .821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OPS |
2000 | SK | 91 | 288 | .267 | 77 | 13 | 1 | 16 | 55 | 46 | 2 | 27 | 7 | 55 | .341 | .486 | .827 |
MLB 통산 (6시즌) | 123 | 187 | .262 | 49 | 11 | 0 | 8 | 22 | 31 | 0 | 13 | 1 | 49 | .313 | .449 | .763 | |
NPB 통산 (2시즌) | 214 | 772 | .282 | 218 | 37 | 0 | 38 | 147 | 97 | 1 | 89 | 12 | 137 | .363 | .478 | .841 | |
KBO 통산 (1시즌) | 91 | 288 | .267 | 77 | 13 | 1 | 16 | 55 | 46 | 2 | 27 | 7 | 55 | .341 | .486 | .827 |
4. 관련 문서
[1] 당시 용병은 3명 보유 2명 출장이 가능했다. 그러다가 2003년부터 2013년까지는 2명 보유 였다 .후대에 지나서 신생팀인 NC와 KT의 경우는 4명 보유 3명 출장까지 허용 지금 이르서서 다시 3명 보유 2명 출전으로 환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