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04:49:47

빅터 콜

빅터 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더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31230><tablebg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d7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파일:미국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2)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 콜(3)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일(2) 파일:미국 국기.svg
베넷(3)(2) 파일:호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 콜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d70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이리키 파일:일본 국기.svg
쿨바(2)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3)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3)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어(3)(2)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1) 파일:미국 국기.svg
세데뇨(3)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왓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3)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르난도(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프록터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올슨(3)(2) 파일:미국 국기.svg
핸킨스(3)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볼스테드(2)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3) 파일:쿠바 국기.svg
칸투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2) 파일:쿠바 국기.svg
스와잭(3) 파일:미국 국기.svg
루츠(2) 파일:미국 국기.svg
로메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파레디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반슬라이크(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플렉센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파일:쿠바 국기.svg
로켓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2) 파일:쿠바 국기.svg
브랜든(3) 파일:미국 국기.svg
스탁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딜런(2)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3)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브랜든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빅터 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1

SK 와이번스 등번호 37번
혼즈
(2000~2000.4.29.)

(2000.4.30.~2000)
김강민
(2001~2002)
두산 베어스 등번호 32번
심정수
(1995~2000)
빅터 콜
(2001~2002)
정종수
(2003~2005)
}}} ||
}}} ||
파일:빅터 콜.png
두산 베어스 시절
빅터 콜
Victor Cole
본명 빅터 알렉산더 콜
Victor Alexander Cole
출생 1968년 1월 23일 ([age(1968-01-23)]세)
소련 러시아SFSR 레닌그라드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학력 몬터레이 고등학교
신체 178cm, 72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1988년 드래프트 14라운드 (전체 361번, KC)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1992)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1994)
아세레로스 데 몽클로바(1994)
라뉴 베어스 (1998~1999)
SK 와이번스 (2000)
두산 베어스 (2001~2002)

1. 개요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 시절2.2. 한국 프로야구 시절
3. 은퇴 후4. 여담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피츠버그 파이리츠,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소속 야구선수.

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 시절

1988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14라운드 지명을 받고 프로 입단하였으나 큰 활약 없이 1991년 3월 피츠버그 파이어리츠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 이후 1992년 피츠버그서 8경기 2패만 기록한게 유일한 메이저리그 기록이었다.

2.2. 한국 프로야구 시절

원래는 롯데 자이언츠에서 뛸 뻔했다. 1998년 KBO 리그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었고 당시 평가전에서 좋은 성적을 보여 조 스트롱, 호세 파라, 마이크 부시 등과 함께 최대어란 평가를 받았다. 이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을 받았으나, 호기롭게 45만 달러에 옵션까지 당시로서는 엄청난 금액을 요구했고 결국 당시 돈을 잘 쓰지 않는 롯데는 그와 계약하지 않고 2라운드에서 지명한 내야수 덕 브래디와만 계약을 했다.[1] 결국 콜은 대만 프로야구라뉴 베어스[2]로 가고, 한국과의 악연은 끝나는 줄만 알았다.

한편 롯데 자이언츠와 정식 계약을 한 적은 없지만, 롯데 유니폼을 입고 찍은 유일한 사진이 있다. 다름이 아닌 드래프트 당시 롯데의 지명을 받은 뒤 유니폼을 입고 기념촬영을 했기 때문.

2.2.1. SK 와이번스

사진

2000년,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타이론 혼즈헨슬리 뮬렌을 방출한 신생팀 SK 와이번스하비 풀리엄과 함께 콜을 영입한 것, 그렇게 그는 한국에 실제로 왔고, 데뷔전에 152km/h까지 나가는 구속을 선보이며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선수층이 전체적으로 얇았던 신생팀 SK에서 선발과 불펜을 오갔지만, 8승 10패 2세이브에 ERA 6.14를 기록했고, 결국 시즌 후 풀리엄과 함께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한국을 떠났다.[3]

2.2.2. 두산 베어스

그러다가 2001년 5월, 콜은 반년 만에 대한민국 땅을 다시 밟게 된다. 마이크 파머를 방출한 두산 베어스가 대체 선수로 그를 영입한 것. 이후 그는 그해 두산 베어스 소속으로 5승 9패 ERA 5.04라는 외국인 선수 치고는 평균 이하의 성적을 올렸으나, 그해 준PO-PO-한국시리즈를 거치며 포스트시즌에서 맹활약했고, 두산 베어스2001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김인식 감독 역시 콜을 좋게 평가하면서 두산과 재계약에 성공했고, 이듬해인 2002년에는 12승 6패라는 좋은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좋은 성적을 거두던 그는 시즌 막판 가벼운 부상을 갖고 2군으로 내려갔는데, 이것은 시작이었다. 그는 KBO 퓨처스리그에서 뛰지 않겠다고 고집을 부렸고, 이후 그는 엔트리서 제외되어 재활군에서 있다가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했다.

3. 은퇴 후

이후에는 2003년 러시아 야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하기도 했고, 2007년에는 북미의 독립리그인 노스이스트 리그에 참가했다. 아들인 빅터 콜 주니어가 2016년까지 리버티 대학교[4]에서 좌완투수로 활동했다고 알려졌으나 그 이후의 소식은 없다.

빅터 콜 본인은 미국의 여러 유소년 야구팀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4. 여담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6]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00 SK 37 114⅓ 8 10 2 1 6.14 116 12 78 5 71 1.70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01 두산 21 119⅔ 6 9 0 0 5.04 115 9 56 4 95 1.43
2002 27 157 12 6 0 0 4.01 152 11 73 8 114 1.43
KBO 통산
(3시즌)
85 391 26 25 2 1 4.95 383 32 207 17 280 1.51

6. 관련 문서


[1] 당시 용병 드래프트에서 연봉 상한선이 12만 달러였기 때문에 무슨 소린지 할 수도 있는데, 간단하다. 뒷돈 달라는 소리. 그 때나 지금이나 대외금액대로 돈 주는 구단 아무데도 없다.(그래도 2023년 현재 존재하는 첫 해 이적료 포함 100만 달러 이하 규정은 잘 지켜진다는 여론이 대세다.)[2] 현재의 라쿠텐 몽키스[3] 하지만 이 때는 SK 와이번스 투수 중에 제대로 밥값하는 선수는 신인인 이승호 한 명뿐일 정도로 투수진이 막장 그 자체였다. 그 이승호도 노예로 3년간 굴렸다가 뒤에 작살이 나버렸다가 다시 재기를 했다.[4] 윗 문단에 작성 된 롯데 자이언츠 동료가 될 뻔 했던 덕 브래디의 모교이기도 하다.[5] 러시아 국적 선수는 빅터 콜 이외에도 7명이 있다.[6]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