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21:23:54

대니얼 매기

대니얼 매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3)(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대니얼 매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3번
유필선
(1996)
매기
(2002~2002.7.20.)
장원준
(2004)
SK 와이번스 등번호 15번
박남섭
(2001~2002.7.20.)
매기
(2002.7.21~2002)
고효준
(2003~2011)
}}} ||
}}} ||
파일:대니얼매기.jpg
대니얼 매기[1]
Daniel Magee
본명 대니얼 웹스터 매기
Daniel Webster Magee
출생 1968년 4월 9일 ([age(1968-04-09)]세)
미시시피 주 빌록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잭슨 주립대학교
신체 196cm, 90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0년 드래프트 29라운드 (전체 770번, CHW)
1991년 드래프트 18라운드 (전체 482번, TEX)
소속팀 퉁이 라이온스 (1999)
롯데 자이언츠 (2002)
SK 와이번스 (2002)


1. 개요2. 선수 경력
2.1. 마이너 리그 시절2.2. 퉁이 라이온스2.3. 멕시칸 리그 시절2.4. 롯데 자이언츠2.5. SK 와이번스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에서 활약한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마이너 리그 시절

메이저리그에 콜업은 되지 못했지만 마이너 리그에서 통산 61승 61패 3.21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2.2. 퉁이 라이온스

1999년 8승 4패를 기록했다.

2.3. 멕시칸 리그 시절

2001년 7승 6패를 기록했다.

2.4. 롯데 자이언츠

파일:대니얼매기.jpg

2002년 롯데 자이언츠에 14만 달러의 계약금으로 입단했다. 입단 당시 롯데 관계자는 랜디 존슨과 같은 스타일의 투수라고 호평하며 15승 이상이 가능한 투수라고 평가했다.

4월 9일 삼성전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4이닝 98구 3탈삼진 5피안타 5사사구 4실점을 기록했다.

4월 14일 두산전에 등판해 6이닝 110구 4탈삼진 7피안타 2사사구 5실점(3자책)을 기록했다.

4월 20일 KIA전에 등판해 3.1이닝 79구 7탈삼진 3사사구 6실점을 기록하며 3경기 연속으로 부진한 투구내용을 보여줬다.

처음 세 경기에서 무너졌지만 이후 위력적인 구위를 보여주며 롯데의 좌완 에이스로 도약했다.

4월 26일 SK전에서 7이닝 120구 12탈삼진 2피안타 2사사구 무실점으로 첫 승을 따냈다.

5월 2일 한화전에서는 7.1이닝 103구 10탈삼진 5피안타 1사사구 3실점(2자책)으로 활약했지만 ND.

5월 8일 두산과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8.1이닝 129구 7탈삼진 3피안타 4사사구 2실점(1자책)으로 시즌 2승을 달성했다.

5월 14일 삼성전에도 8이닝 127구 4탈삼진 7피안타 5사사구 1실점으로 시즌 3승과 함께 3연승을 달렸다.[2]

5월 25일 현대전에서는 6이닝 117구 8탈삼진 4피안타 7사사구 4실점으로 무너지며 첫 패배를 당했다.

6월 1일 한화전에 등판해 무려 8이닝동안 145구를 던지는 위력을 과시했다. 11개의 탈삼진을 잡았고, 5피안타 3사사구를 기록했지만 무실점으로 막으며 시즌 4승을 기록했다.[3]

6월 7일 LG전에서는 159구를 던지며 8이닝동안 2실점으로 완투했지만 타선 불발로 2패를 기록했다.

6월 13일 삼성전에서는 그동안 무리했는지 2.2이닝동안 88구 1탈삼진 7피안타 4사사구로 무너졌다. 시즌 3패.

다음 경기인 6월 19일 현대전에서는 또 다시 141구를 던지며 7이닝 6탈삼진 5피안타 3사사구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타선이 단 1점도 뽑아주지 못하면서 패전투수가 되었다.

왼 다리에 생긴 염증으로 휴식을 취한 매기는 7월 7일 더블헤더 2차전에 등판했다. 하지만 4.2이닝 7피안타 6사사구 5실점으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이후 7월 20일, 조경환과 함께 SK 와이번스로 2:3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했다. 반대급부로 윤재국, 박준서, 페르난도 에르난데스가 롯데로 갔다.

2.5. SK 와이번스

파일:SK매기.jpg

SK로 이적한 이후에는 9월 11일 두산을 상대로 완봉승을 거두었지만 롯데 시절만큼 인상적인 활약을 하진 못했고,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매기가 SK로 이적한 이후 부진한 이유는 혹사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롯데 시절부터 등판하는 날마다 조기강판을 제외하면 거의 100구가 넘는 투구수를 기록했다. 140개가 넘는 투구수를 기록하는 경기도 있었을 정도.. 그리고 SK에 이적한 이후에는 감독이 강병철이였다.

3. 플레이 스타일

190cm의 장신에 145km 이상의 강속구를 던졌던 파워 피쳐였다. 좋은 구위를 통해 탈삼진을 많이 잡아냈지만 제구력에 문제점을 나타냈다. 컨디션이 좋을 때는 탈삼진을 10개 이상 기록했을 정도.

4. 여담

2002년 8월 1일 경기에서 매기는 6회초 SK 와이번스 공격 도중 3루측 불펜 쪽에서 방망이를 들고 돌아다니다가 허운 3루심으로부터 “경기진행에 방해가 된다’’며 제지를 받았다. 이 때 돌아서는 허 심판의 뒷모습에 대고 방망이로 때리는 시늉을 하는 것을 최규순 주심이 보았고, 허 심판은 즉시 퇴장 처분을 내렸다.

미국에서는 별명을 써서 Bo Magee로 활동했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4]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2 롯데 13 80⅓ 4 5 0 0 3.70 71 4 51 86 39 33 1.4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2 SK 10 50 2 4 0 0 6.23 56 6 35 38 41 36 1.71
KBO 통산
(1시즌)
23 132⅓ 6 9 0 0 4.69 124 10 86 127 80 69 1.57

6. 관련 문서


[1] 마이너 시절 등록명은 보 매기(Bo Magee)[2] 8회말까지 1-1로 동점이었지만 이대호의 역전 홈런으로 승리투수가 되었다.[3] 롯데에서의 마지막 승이었다. 그리고, 롯데는 이 경기 승리 직후에 16연패를 당하게 된다.[4]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