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f,#1f2023> | 한국바둑리그 2024-25 시즌 경기 일람 | }}} | ||
1~7라운드 | 8~14라운드 | 포스트시즌 |
1. 정보 안내
1.1. 중계 정보
- 바둑TV (목~일 저녁 7시)
- 네이버(바둑TV 재송신)
- 바둑TV 유튜브 채널
1.2. 중계진
1.3. 대회 정보
- 이번 시즌은 8개팀 단일리그 14라운드 더블 풀리그로 진행함에 따라 각 팀은 팀당 14경기씩 정규리그를 소화한다.
-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먼저 3승을 거둔 팀이 나오면 그대로 경기를 종료하며 저녁 7시부터 한 판씩 순차 대국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단, 지역 투어경기는 오전 10시 또는 오후 1시부터 1국 부터 순차적으로 대국을 진행한다.
- 정규리그 순위는 팀 승률 → 개인 승패차 → 승자승 → 동일 팀 간의 개인 승패차 → 상위 지명자 다승 순으로 결정한다.
- 대국규정은 5판 모두 각자 기본시간 1분 + 착수시 10초 추가 피셔방식의 초속기 대국이다.
- 매 라운드 경기 오더는 해당 경기 주간 월요일 오전 11시까지 제출 후 오후 2시에 발표한다. 이번 시즌은 5전 3선승제로 순차 대국이 진행되어 오더는 1국 출전 선수만 발표하고 2국 부터는 경기 당일 현장에서 오더를 제출한 뒤(대국 종료 후 5분 이내에 다음 출전 선수 오더 제출) 대국을 하는 '매 대국 오더제'로 진행된다.
- 이번 시즌에도 사이버오로 홈페이지에서 시청자 승부 예측 이벤트가 진행된다.
2. 팀과 선수단 명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 |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수단 명단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울산 고려아연 | |||||||
1 | 신민준 | <colcolor=#fff> 2 | 이창석 | 3 | 문민종 | 4 | 한상조 | |
5 | 김채영 | 6 | 랴오위안허 | 감독: 박승화 | ||||
성남 원익 | ||||||||
1 | 박정환 | 2 | 이지현 | 3 | 이원영 | 4 | 김은지 | |
5 | 권효진 | 6 | 진위청 | 감독: 이희성 | ||||
합천 수려한 합천 | ||||||||
1 | 김명훈 | 2 | 한우진 | 3 | 박하민 | 4 | 안정기 | |
5 | 최승철 | 6 | 판인 | 감독: 고근태 | ||||
영암 마한의 심장 영암 | ||||||||
1 | 안성준 | 2 | 설현준 | 3 | 박영훈 | 4 | 심재익 | |
5 | 조한승 | 6 | 쉬하오훙 | 감독: 한해원 | ||||
대전 정관장 | ||||||||
1 | 변상일 | 2 | 김정현 | 3 | 홍성지 | 4 | 박상진 | |
5 | 한태희 | 6 | - | 감독: 최명훈 | ||||
여수 GS칼텍스 | ||||||||
1 | 신진서 | 2 | 김진휘 | 3 | 최재영 | 4 | 금지우 | |
5 | 류민형 | 6 | 류위항 | 감독: 김영환 | ||||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 ||||||||
1 | 강동윤 | 2 | 박민규 | 3 | 송지훈 | 4 | 강승민 | |
5 | 박진영 | 6 | 당이페이 | 감독: 박정상 | ||||
전주 한옥마을 전주 | ||||||||
1 | 원성진 | 2 | 한승주 | 3 | 나현 | 4 | 박종훈 | |
5 | 백홍석 | 6 | - | 감독: 양건 |
3. 대진 순번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45045><tablebgcolor=#fff,#1f2023><bgcolor=#545045>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대진 순번 ||
1 | 2 | 3 | 4 |
| | | |
원익 | 영림프라임창호 | 정관장 | GS칼텍스 |
5 | 6 | 7 | 8 |
| | | |
수려한 합천 | 마한의 심장 영암 | 한옥마을 전주 | 고려아연 |
- 대진 순번은 1차 선발식에서 추첨을 진행했으며 전번기는 대진 순번대로 진행하고, 후반기는 그의 역순으로 경기 일정이 정해진다.
- 지난 시즌 부터 시행 중인 대진 순번에 따른 흑백 자동배정을 시행한다. 후반기는 대진순번이 느린 팀들이 1,3, 5국에서 흑을 잡고, 빠른 팀들이 2, 4국에서 흑을 잡게 된다.
4. 정규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f,#1f2023> |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 | ||||||
<rowcolor=white> 순위 | 팀 | 경기 | 승률 | 승 - 패 | 개인승패차 (개인승 - 개인패) | 비고 | |||
1 | 원익 | 8 | .625 | 5 - 3 | +7 (19-12) | ||||
2 | GS칼텍스 | 8 | .625 | 5 - 3 | +5 (19-14) | ||||
3 | 정관장 | 8 | .625 | 5 - 3 | +3 (18-15) | ||||
4 | 마한의 심장 영암 | 8 | .625 | 5 - 3 | +1 (17-16) | ||||
5 | 영림프라임창호 | 8 | .500 | 4 - 4 | +4 (19-15) | ||||
6 | 수려한 합천 | 8 | .500 | 4 - 4 | 0 (16-16) | ||||
7 | 고려아연 | 8 | .375 | 3 - 5 | -9 (12-21) | ||||
8 | 한옥마을 전주 | 8 | .125 | 1 - 7 | -11 (11-22) | ||||
■: 챔피언결정전 진출, ■: PO 진출, ■: 준PO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실패 |
- 순위 결정 기준 : 팀 승률 → 개인 승패차 → 승자승 → 동일 팀 간의 개인 승패차 → 상위 지명자 다승 순
5. 경기 일람
?R ?G (?년 ?월 ?일 ?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팀1 (지역) | 0 | 팀2 (지역) | 0 | ||
19:00 | 1국 | - | - | ||||
- 수 - 승 | |||||||
- | 2국 | - | - | ||||
- 수 - 승 | |||||||
- | 3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4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5국 | - | - | ||||
- 수 - 승 | |||||||
해설진 | 캐스터 : / 해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 Review :
- Etc. :
- cf) 팀 작성은 편의를 위해 따로 만들어 둡니다. 그대로 가져다 복사하시면 됩니다.
GS칼텍스 (여수) | 정관장 (대전) | 영림프라임창호 (인천) | 수려한 합천 (합천) | ||||
고려아연 (울산) | 한옥마을 전주 (전주) | 원익 (성남) | 마한의 심장 영암 (영암) |
5.1. 제8라운드 (수려한 합천: 지역 투어)
5.1.1. 1경기: 한옥마을 전주 vs 고려아연
8R 1G (2025년 2월 13일 목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한옥마을 전주 (전주) | 2 | 고려아연 (울산) | 3 | ||
19:00 | 1국 | 원성진 | 김채영 | ||||
235수 흑 불계승 | |||||||
19:46 | 2국 | 한승주 | 이창석 | ||||
170수 백 불계승 | |||||||
20:20 | 3국 | 나 현 | 신민준 | ||||
241수 백 반집승 | |||||||
21:04 | 4국 | 박종훈 | 한상조 | ||||
257수 흑 불계승 | |||||||
21:52 | 5국 | 백홍석 | 문민종 | ||||
175수 흑 시간승 | |||||||
해설진 |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유창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옥마을 전주 0% | 고려아연 0%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꼴지만은..."
전반기 극심한 부진으로 개인 승패차 -10까지 벌어진 7위 고려아연과 8위 전주의 후반기 개막전. 이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가 바뀔 수도 있는 가운데 탈꼴지가 절실한 전주는 주장 원성진을 선봉으로 내세웠고, 역시 절박한 입장인 고려아연은 팀의 홍일점 김채영을 선봉으로 내세웠다. 과연 어느 팀이 후반기 반등을 위한 승리를 챙겨 갈 것인가? - Review : "수를 보지 못할 때 벌어지는 사단... 부진의 고리가 길어지는 전주... 새신부의 승리를 빛내준 팀원들""시합이랑 결혼 준비까지 같이 하면서 이렇게 할 게 많을 줄은 몰랐는데 저도 나름대로 둘 다 잘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저는 바둑적으로는 거의 도움을 못 주는 것 같고 제가 중요한 시합을 앞두고 있으면 바둑적으로 많이 가르쳐주고 있어요"김채영(고려아연 5지명)
7~8위 멸망전 대결은 고려아연의 승리로 마무리 되었다. 고려아연이 출발은 좋았다. 선봉전에서 곧 결혼을 앞둔 새신부가 되는 김채영이 전주의 유부남 주장 원성진을 상대로 강펀치 대결을 펼친 끝에 항복을 받아내며 팀에게 선취점을 안겨주었고, 2국에서는 팀내 최다승인 이창석이 동갑내기 한승주를 상대로 완승의 내용을 보여주었다. 이때 까지만 해도 고려아연의 분위기가 좋았다. 그러나 이대로 물러나 있을 전주가 아니었다. 전주는 3국에서 신민준을 상대로 짜릿한 반집 역전승을 거둔 나현의 활약으로 추격을 시작했고, 반면 고려아연의 주장 신민준은 99승 후 6연패로 지독한 아홉수에서 또 다시 탈출하지 못해 다음 경기 마저 질 경우엔 2017년 강동윤, 지난 시즌 안성준이 기록했던 1지명 최다 연패 타이기록(7연패)까지 갈 수 있는 위기에 몰리고 말았다. 4국에서는 박종훈이 상대 한상조의 좌변에서 착각을 틈타 시종일관 우위를 보여준 내용으로 연패에서 벗어나 오랜만에 승리를 챙기며 결국 마지막 세트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마지막 판은 백홍석과 문민종 두 인파이터들의 대결이 됐다. 마지막 판은 중반까지 백홍석의 노련한 모습으로 유리한 내용으로 가는 듯 했지만 시간에 몰린 백홍석이 우하에서 이길 수 있는 수를 놓치고 이상한 수가 등장하며 백돌들이 걸려버리고 말았다. 패 자체가 대마가 잡힌 상태로 시작한 상황에서 결말은 시간패로 끝나버렸지만 사실상 백홍석 선수가 돌을 거둬야 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5국에서의 대역전극으로 고려아연이 승리를 거뒀고, 이창석과 문민종이 승리를 보태주며 상대팀 주장을 잡아낸 예비신부 김채영의 승리가 더욱 빛났던 하루였다. 반면 전주는 또 다시 풀세트 접전에서 석패하며 어느덧 팀의 연패는 5연패로 늘어나며 사실상 포스트시즌 경쟁에서 밀려날 처지로 몰리게 됐다.
김채영의 승자 인터뷰, 팬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바둑TV 유튜브) |
- Etc. :
5.1.2. 2경기: 수려한 합천 vs 마한의 심장 영암 (합천 투어)
8R 2G (합천 투어 / 2025년 2월 14일 금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수려한 합천 (합천) | 2 | 마한의 심장 영암 (영암) | 3 | ||
13:00 | 1국 | 김명훈 | 박영훈 | ||||
156수 백 불계승 | |||||||
13:32 | 2국 | 한우진 | 설현준 | ||||
259수 흑 불계승 | |||||||
14:22 | 3국 | 박하민 | 안성준 | ||||
165수 흑 불계승 | |||||||
14:54 | 4국 | 안정기 | 심재익 | ||||
268수 백 불계승 | |||||||
15:43 | 5국 | 최승철 | 조한승 | ||||
253수 흑 불계승 | |||||||
대국 장소 | 합천 청와대 세트장 | ||||||
해설진 | 캐스터 : 류승희 / 해설 : 송태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려한 합천 59% | 마한의 심장 영암 41% | |||||
3:0 13% / 3:1 23% / 3:2 23% | 3:0 18% / 3:1 13% / 3:2 10% |
- Preview : "합천에서 펼쳐지는 중위권 결전, 그리고 다시만난 선봉"
4위와 5위 포스트시즌 경쟁에 중심에 서있는 합천과 영암이 합천에서 한판 제대로 붙었다. 합천은 주장 김명훈, 영암은 3지명 박영훈을 선봉으로 내세우며 공교롭게도 전반기 리턴매치가 만들어진 가운데 과연 2연패에 빠진 합천이 홈에서 연패 탈출에 성공하고 4위를 지킬 것인가? 아니면 두 번째 지역 투어 원정을 떠나는 영암이 4위를 탈환할 것인가? - Review : "지역투어 홈팀의 시련... 또 다시 힐링을 만끽하는 영암!"
이번 시즌 세 번째 지역 투어는 이번에도 원정팀이 이겼다. 사실 2국까지만 해도 홈팀이었던 합천의 분위기기 좋았던 경기였다. 1국에서 주장 김명훈이 박영훈을 상대로 완승의 내용을 보여주고 한우진도 설현준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최근 상대전 3연승으로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줄 때만 해도 합천의 분위기로 흐르는 듯 보였다. 그러나 영암의 '승리를 부르는 주장' 안성준이 분위기 반전의 선봉으로 나섰다. 새신랑이 된 박하민을 상대로 완승을 거두며 소방수 역할을 해냈다. 여기에 4국에서는 심재익이 안정기를 상대로 초반 큰 우세를 잡은 후 초읽기에 실수가 몇 번 나오며 만만치 않아졌고 안정기의 상변 일선 젖히는 묘수까지 당하며 리액션적으로도 크게 흔들렸으나 그 와중에도 끝까지 냉정함을 유지하는 엄청난 집중력으로 결국 우세를 지켜내며 마지막 판까지 끌고 갔고, 마지막 5국에 출전한 최연장 리거 조한승이 최연소 리거 최승철에게 노련한 모습을 보여주며 자신의 시즌 첫 승과 함께 팀의 역스윕 승리를 이끌었다. 영암은 팀 3연승에 성공했는데 3연승 모두 풀세트 접전 끝에 승리를 거뒀다. 여기에 이번에도 주장 안성준의 승리가 팀 승리로 이어지는 기분 좋은 징크스까지 이어졌다. 반면 합천은 충격의 3연패가 되었다. 김명훈과 한우진이 역할을 하며 승리를 거뒀으나 박하민이 무너지고, 안정기는 묘수를 보여준 것이 빛이 바라고, 마지막 판 최승철이 경험부족을 노출하여 결국 세 판을 연거푸 무너지며 안방에서 쓰라린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무엇보다 합천의 선전을 이끌었던 안정기가 최근 3연패 부진에 빠진게 팀 입장에서는 큰 고민이 되고 있다. 분위기 반전이 필요해 보이는 합천이다. 여담으로 이번 시즌 세 번의 지방 투어에서 모두 원정팀이 승리 했는데 그 중 두 번이나 원정을 떠났던 영암은 두 번의 지방투어 원정에서 모두 승리를 거뒀다.[1] 참고로 다음 지역 투어는 영암이 홈으로 경기를 치르게 될 예정인데[2]과연 영암이 홈에서 열릴 예정인 지역 투어에서는 어떤 경기를 펼칠지 주목이 된다. - Etc. :
5.1.3. 3경기: 정관장 vs GS칼텍스
8R 3G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정관장 (대전) | 1 | GS칼텍스 (여수) | 3 | ||
19:00 | 1국 | 한태희 | 신진서 | ||||
185수 흑 불계승 | |||||||
19:34 | 2국 | 변상일 | 금지우 | ||||
152수 백 불계승 | |||||||
20:06 | 3국 | 김정현 | 김진휘 | ||||
248수 백 1집반승 | |||||||
20:48 | 4국 | 박상진 | 최재영 | ||||
274수 백 불계승 | |||||||
해설진 | 캐스터 : 최유진 / 해설 : 송태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정관장 46% | GS칼텍스 54% | |||||
3:0 6% / 3:1 19% / 3:2 21% | 3:0 13% / 3:1 20% / 3:2 21% |
- Preview : "2-3위 격돌 그리고 申의 컨디션은?"
2위 정관장과 3위 GS의 후반기 맞대결 주장전은 무산 됐지만 재미있는 대결이 예고되는 가운데 과연 한태희를 선봉으로 내세운 정관장이 추격의 고삐를 당길 것인가? 아니면 GS칼텍스가 정관장을 끌어내릴 것인가? 그리고 다음 주 있을 농심신라면배를 앞두고 이번 라운드 선봉으로 출전하는 GS의 주장 신진서는 상하이로 가기 직전에 가지는 실전 대국에서 어떤 컨디션을 보여줄 것인가? - Review : "쉽게 회복 할 수 없는 깊은 상처, 2위 싸움에서 밀려버린 정관장"
정관장이 연패에 빠지며 미끄러지고 말았다. 한태희가 완패를 당했지만 2국에서 정관장의 주장 변상일에 1승을 해줘 동률로 만들겠다는 최명훈 감독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변상일은 아직 LG배 대국 분쟁 사태로 인한 내상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우세한 상황에서 착각 한 방에 순식간에 중앙 대마가 잡혀버리고 말았다. 변상일은 이 패배로 리그 3연패에 빠지고 말았다. 3국에서 김정현이 김진휘를 상대로 끝내기에서 승패를 결정지으며 급한 불을 껐지만 믿었던 박상진이 최재영에게 완패를 당하면서 결국 무너졌다. 특히 박상진은 좌상귀와 막판 중앙 끝내기 상황에서 바둑의 전세를 뒤집을 찬스를 놓치면서 아쉬움이 큰 경기가 됐다. 결국 이날 패배로 정관장은 개인 승패차에서 밀려 3위로 내라가고 말았다. 정관장 입장에서는 홍성지의 부진도 고민인데 변상일이 LG배 대국 분쟁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부진에 빠지기 시작하면서 팀에게 큰 고비가 오게 됐다. 변상일이 하루 빨리 멘탈과 슬럼프를 잘 회복하고 추슬러 주장의 모습으로 돌아와야지 정관장이 순위싸움에서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GS칼텍스는 2위 자리로 올라섰다. 기선 제압을 위해 선봉 출전에 나선 신진서는 상대전적에서 밀리던 한태희를 상대로[3] 상대의 초반 실수를 응징한 뒤에는 완벽한 내용으로 승리하며 농심배에 나서기 전 가진 실전 대국에서 컨디션 '이상 무'임을 증명해냈다. 특히 신진서는 이날 경기에서 1분+10초 피셔룰 대국임에도 초읽기에 몰리지 않고 시간을 4~5분 정도 쌓아놓고 대국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줘 마지막엔 자신의 시간이 4분 37초가 남은 상태에서 항복을 받아내 시간 관리까지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었다.[4] 여기에 금지우가 상대 주장 변상일의 착각을 틈타 중앙 대마를 잡아내며 리그 연패에서도 벗어났고, 4국에서 나온 최재영은 우세한 흐름 속에서 몇 번 흔들려서 위험한 순간들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완승을 거두고 결승점을 날리며 팀의 승리를 결정지었다. GS 입장에서는 9라운드와 10라운드에서 신진서가 농심배(9라운드)와 난양배 결승 3번기(10라운드) 일정으로 인해 결장이 불가피한 상황이었기에 이번 라운드의 승리가 정말 귀중한 1승이었다. - Etc. :
5.1.4. 4경기: 원익 vs 영림프라임창호
8R 4G (2025년 2월 16일 일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원익 (성남) | 1 | 영림프라임창호 (인천) | 3 | ||
19:00 | 1국 | 이지현 | 송지훈 | ||||
196수 백 불계승 | |||||||
19:39 | 2국 | 김은지 | 강동윤 | ||||
182수 백 불계승 | |||||||
20:16 | 3국 | 이원영 | 당이페이 | ||||
311수 흑 1집반승 | |||||||
21:11 | 4국 | 권효진 | 박민규 | ||||
277수 백 반집승 | |||||||
해설진 | 캐스터 : 류승희 / 해설 : 목진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익 0% | 영림프라임창호 0%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못 나올 수도? 나올 수도?"
박정환-이지현-이원영을 위시한 '또래 트리오'로 전반기 선두 자리를 차지한 원익과 다소 아쉬운 전반기를 보낸 영림의 후반기 격돌. 당장 다음 날부터 시작될 농심신라면배 3차전 출전 대기로 인해 주장 박정환의 출전이 불투명한 원익이 변수를 딛고 선두 자리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강동윤이 뒤에서 대기하는 영림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연승에 성공 할 것인가? - Review : "예상치 못한 외국인 선수 출전과 오더, 막판 해프닝까지.. 한 방 먹은 원익 그리고 도약을 시작하는 영림"
농심신라면배 출전을 위해 상해로 건너간 박정환 없이 싸워야 했던 원익. 첫 판에서 이지현이 우상귀 전투에서 송지훈에게 압승을 거두고 단단히 못질까지 하며 선취점을 얻을 때 까지만 해도 좋았다. 그러나 2국 부터 원익은 속절없이 무너졌다. 선취점을 내고 2국에서 김은지를 냈지만 김은지가 목진석 해설의 멘트 대로 "경로 이탈"을 하는 실착이 등장한 후에는 원사이드하게 강동윤에게 끌려가다가 졌다. 여기에 3~4국에서는 끝내기의 디테일 싸움에서 원익이 좋지 못했다. 특히 4국에 등판한 권효진은 정신없던 바둑에서 우세를 잡고 이길 수 있던 바둑을 막판 끝내기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더니 결국 마지막에 후수를 잡으면서 바둑을 그르치고 말았다. 원익 입장에서는 마지막 판에서 이지현의 중복 출전이 대기 중이었지만 결과적으로 그 전에 2국 부터 오더에서 아쉬움이 컸던 경기가 되었다. 반대로 영림프라임창호는 연승에 성공하며 포스트시즌 경쟁의 희망을 이어갈 수 있는 승리를 얻었다. 2국에 출전한 주장 강동윤이 완승의 내용으로 김은지를 제압하면서 원점으로 맞춘 영림은 3국에서 외국인 선수 당이페이를 깜짝 등판 시켰다.[5] LG배 결승 대국 분쟁 사태 이후 한중간의 갈등 여파가 있어 외국인 선수 출전이 쉽지 않을 것 같다는 관측도 있었지만, 영림은 전격적으로 당이페이를 등판 시켰고[6] 박정상 감독의 기대에 부응하는 결과를 이끌었다. 특히 당이페이는 끝내기 상황으로 접어들면서 집중력을 발휘하여 안정감 있고 단단한 모습으로 시즌 마수걸이 승리를 거뒀다. 4국에 등판한 박민규는 어지러운 바둑끝에 끝내기 승부까지 갔는데 상대의 실수가 등장하며 행운의 반집승으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영림은 두 경기 연속 3:1로 이기면서 승패차도 벌어가는 연승이 됐다. 그리고 이날 경기로 원익이 패하면서 5승 3패팀만 네 팀[7]이 되어 선두 싸움이 안개정국이 되었고 승리를 거둔 영림은 5위로 올라서며 후반기 순위 경쟁에서 치열한 혈투를 예고하는 8라운드 결과가 됐다. - Etc. :
- 라운드가 끝나고...
일자구분 대회및기전 2월 17일 제2회 농심백산수배 2차전 7국(다케미야 마사키:루이나이웨이)
제26회 농심신라면배 3차전 10국(시바노 도라마루:셰얼하오)
제26회 맥심커피배 16강(안성준:나현)
제1회 스틱U-23 챔피언십 8강 1일차(김은지:최승철, 김승진:최민서, 김승구:한우진, 이연:원제훈)2월 18일 제2회 농심백산수배 2차전 8국(유창혁:다케미야 마사키)
제26회 농심신라면배 3차전 11국(-:-)
제26회 맥심커피배 16강(김명훈:한승주)
제1회 스틱U-23 챔피언십 8강 2일차2월 19일 제2회 농심백산수배 2차전 9국(-:-)
제26회 농심신라면배 3차전 12국(-:-)
제1회 스틱 U-23 챔피언십 8강 3일차
제1회 블리츠 시니어 세계 오픈 24강(서능욱:조은진A, 안관욱:안재성A)
5.2. 제9라운드
5.2.1. 1경기: GS칼텍스 vs 한옥마을 전주
9R 1G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GS칼텍스 (여수) | 0 | 한옥마을 전주 (전주) | 0 | ||
19:00 | 1국 | - | - | ||||
- 수 - 승 | |||||||
- | 2국 | - | - | ||||
- 수 - 승 | |||||||
- | 3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4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5국 | - | - | ||||
- 수 - 승 | |||||||
해설진 | 캐스터 : 문도원 / 해설 : 목진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 Review :
- Etc. : 제2회 농심백산수배 2차전 10국(-:-), 제26회 농심신라면배 3차전 13국(-:-), 제6기 이붕배 예선
5.2.2. 2경기: 영림프라임창호 vs 수려한 합천
9R 2G (2025년 2월 21일 금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영림프라임창호 (인천) | 0 | 수려한 합천 (합천) | 0 | ||
19:00 | 1국 | - | - | ||||
- 수 - 승 | |||||||
- | 2국 | - | - | ||||
- 수 - 승 | |||||||
- | 3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4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5국 | - | - | ||||
- 수 - 승 | |||||||
해설진 | 캐스터 : 류승희 / 해설 : 송태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 Review :
- Etc. : 제2회 농심백산수배 2차전 최종국(-:-), 제26회 농심신라면배 3차전 최종국(-:-), 제6기 이붕배 16강
5.2.3. 3경기: 원익 vs 정관장
9R 3G (2025년 2월 22일 토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원익 (성남) | 0 | 정관장 (대전) | 0 | ||
19:00 | 1국 | - | - | ||||
- 수 - 승 | |||||||
- | 2국 | - | - | ||||
- 수 - 승 | |||||||
- | 3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4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5국 | - | - | ||||
- 수 - 승 | |||||||
해설진 | 캐스터 : 최유진 / 해설 : 유창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 Review :
- Etc. :
5.2.4. 4경기: 마한의 심장 영암 vs 고려아연
9R 4G (2025년 2월 23일 일요일) | |||||||
<rowcolor=#fff> 개시 | 대국 | 마한의 심장 영암 (영암) | 0 | 고려아연 (울산) | 0 | ||
19:00 | 1국 | - | - | ||||
- 수 - 승 | |||||||
- | 2국 | - | - | ||||
- 수 - 승 | |||||||
- | 3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4국 | - | - | ||||
- 수 - 승 | |||||||
(필요시) | 5국 | - | - | ||||
- 수 - 승 | |||||||
해설진 | 캐스터 : 최유진 / 해설 : 유창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청자 예측결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3:0 0% / 3:1 0% / 3:2 0% | 3:0 0% / 3:1 0% / 3:2 0% |
- Preview :
- Review :
- Etc. : 2025 대방건설배 레전드 vs 여자 바둑리그 챔피언스컵 (완주:보령)
- 라운드가 끝나고...
일자구분 대회및기전 2월 24일 제26회 맥심커피배 16강(변상일:한우진) 2월 25일 제26회 맥심커피배 16강(이지현:백홍석)
양구군 국토정중앙배 예선1회전2월 26일 제1회 난양배 결승3번기 1국(신진서:왕싱하오), 3,4위전(당이페이:리친청)
제1회 블리츠 시니어 세계 오픈 24강(류시훈:최호철A, 권효진女:조민수A + 통합 대국 4경기)
[1] 특히 영암은 지난 시즌 부터 지역 투어 경기에서만 3연승 중이다.[2] 류승희 캐스터의 언급으로는 이어질 지역 투어 일정은 영암(마한의 심장 영암 연고지)과 인천(영림프라임창호 연고지)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언급했다.[3] 이 대국 전까지 한태희가 신진서에게 상대전적 4승 3패로 앞서고 있었다.[4] 특히 신진서의 이런 모습을 통해서 2주 뒤에 열리게 되는 난양배 결승에서의 모습도 기대하게 한 경기였다. 난양배는 2시간+15초 피셔룰에 계시기를 무음으로 설정해 놓고 대국하기 때문에 시간 관리가 상당히 중요하다.[5] 당이페이는 이 대국 전날에 중국 천원전 16강전을 치르고 온 상황이었는데 16강에서 승리해 8강에 진출했다. 참고로 진위청(원익)도 출전했는데 진위청은 퉁멍청에게 패하여 탈락했다.[6] 실제로 6라운드 4경기 판인(합천) 이후 한동안 외국인 선수의 출전이 없었고, 앞으로도 외국인 선수의 출전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었으나 이번 경기 당이페이의 등판을 통해 남은 경기 외국인 선수들의 출전도 많아지고 앞으로 한중 바둑계 갈등 해결에도 한층 더 긍정적으로 해석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상황이 나오게 됐다.[7] 원익, GS칼텍스, 정관장, 마한의 심장 영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