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22:46:23

한성버스

파일:도봉구 CI.svg 서울특별시 도봉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서울교통네트웍[a] 아진교통
마을버스 쌍문운수 진양교통 청록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한성버스[b]
마을버스 승한운수
[a] 주간선버스 회사 / [b] 계열사인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에 분산 흡수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1. 소개2. 연혁3. 여담4. 운행노선5. 역대 보유차량

1. 소개

한성버스(漢星버스)는 도봉구 창동을 거점으로 했던 버스회사이다. 전신은 아륙교통이었으며, 1982년에 한성여객의 계열이 되었으며 이후 1986년 아륙교통에서 한성버스로 사명을 변경했다. 당시 한성버스가 사용하던 차고지는 현재 쌍문운수가 차고지로 이용하고 있으며, 가스 충전소도 지어져 있다. 과거에는 차고지가 창동 665-21에[1] 있었으나 1992년 창동아파트단지 개발로 창동역쪽 으로 차고지를 이전하게 되었다. 다만 노선 사정상 일부 노선버스는 노원교, 상계7단지의 차고지로 분산배치 되었다.[2][3]

차량도 대우버스가 대부분 이였다. 다만 대부분 차량이 타사에서 그대로 넘어온 탓에 현대버스도 일부 있었다. 그러다 80년대 후반 ~ 90년대 중반에 전부 대우버스로 대차하게 됐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경영상태가 악화되기 시작하더니[4] 2001년 11월경에 부도가 났으며, 한동안 운행을 중단하고 일부 노선에 한해 운행을 재개했지만 오래 가지 못하고 결국 2002년 최종적으로 회사가 파산했다. 파산된 이후 7번은 흥안운수가 20번, 20-3번은 한성여객이 인계했으며 20-2번(도시형), 408번(지역순환), 731번(좌석노선)[5] 은 인수하지도 못하고 아예 폐지되었다. 이후 흥안운수가 인수한 7번을 제대로 굴린 것은 또 아니었던지라 대원여객이 자사 노선인 12-2번을 대폭으로 변경, 연장해서 12-5번으로 바꾸고 창동 경유 종로5가로 노선 연장을 이뤘고, 731번의 폐선과 한성여객의 720번 파행운행이 겹치면서 흥안운수가 자사 노선인 960번을 상계4동에서 노원교 출발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6]

이 회사가 도산해 버린 결과, 창동 지역의 교통은 상당히 나빠졌으며[7][8], 이 회사의 차량들은 한동안 한성버스 차고지에서 압류된 상태로 2년 동안 방치되어 있다가 노선 중 일부가 넘어가면서 한성여객[9]과 흥안운수[10]가 가져가서 운행했으며, 이후 2004년쯤에 한성버스 창동차고지의 차량의 소유권이 넘어가서 상태가 양호한 차량은 중고로 매각되거나 드레스업을 거쳐 수출되었고, 상태가 나쁜 차량들은 폐차처리되었다.

2. 연혁

3. 여담

타사 에서 인수받은 노선이 대부분이다.[14]

노선변경이 유난히 많았다. 수요를 위해 변경된 것도 있으나 차고지 이전 때문에 노선을 연장하기도 했다.

이유는 모르겠으나 타 노선 간 차돌리기를 많이 했었다.

90년대 후반에 20-2번의 한 버스기사는 해드마이크를 장착하고 운행하면서 라디오DJ 처럼 맨트도 날리고 안내방송도 육성으로도 안내하는 이색 적인 서비스를 보였다.[15] 해당 기사는 이후 20번을 운행하다가 한성버스 폐업 후 태릉교통으로 옮겼다.

4. 운행노선

5. 역대 보유차량

5.1. 자일대우버스

5.2. 현대자동차

5.3. 기아



[1] 현재는 중흥S-클래스 아파트가 위치해있다.[2] 정확히는 창동역 차고지는 7번과, 408(구 804)번, 노원교 차고지는 731번, 그리고 상계7단지 차고지는 20번, 20-2번, 20-3번이 배치되었다.[3] 특히 노원교 차고지와 상계7단지 차고지에는 타 업체 타노선 버스들도 공동 배치되었다.(노원교=한성여객 720번, 상계7단지= 한성여객 34번/삼화상운 35번/신우교통 215번)[4] 1990년대부터는 자체적으로 신차를 도입하는 비율이 크게 줄었으며, 여러 회사들로부터 중고차를 매입하여 투입하였다. 외환위기를 전 후로 해서 많은 회사들이 도산했는데 그 중 하나인 영동교통과 좌석버스를 폐지한 인접한 업체인 한성운수, 지역순환버스에서 철수한 아진교통 등에서 열심히 중고차를 가져왔다. 그나마 시내버스는 거의 자체 출고분이었고 부도나기 2년 전에는 자체적으로 BS106 신차를 가져왔다.[5] 흥안운수에 인계되었으나 이 후 한번도 운행 못 하고 폐선됐기에 폐지나 다름없었다.[6] 그리고 2005년 5월에 146번은 1145번을 흡수하여 7단지에서 출발하여 도봉동 한 바퀴를 돌고 본래 노선으로 합류하는 노선으로 바뀌었다.[7] 당시 유일하게 번창운수 50번 마을버스(현 노원14번)만 남겨졌다. 허나 50번 마을버스 마저 창3동~월계동 으로만 가기에 창동에서 쌍문동, 수유역 으로 가는 버스들은 전부 한성버스 였는데 도산해 버렸으니 쌍문동으로 가는 노선은 사실상 사라진 거나 다름없다.[8] 사실 대개편 직전만 해도 이 정도로 막장은 아니었다. 7번이 배차간격이 많이 늘어난 상태지만 20분에 1대씩은 다니고 있었고, 7번을 대체한다는 명목으로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던 12-5번도 12~15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대개편을 맞아 12-5번 자체는 수유역으로 잘린 1152번이 되었고, 노원역 - 동대문 구간 대체를 명목으로 신설된 102번은 창동 구간이 상이한 탓에 대체라고 보기엔 미묘했다. 또한 7번의 대체노선이던 1138번은 배차간격이 15분대로 지금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었다. 이후 1152번이 노원역으로 잘리고, 1138번은 예비차 유상감차 때마다 소폭 감차가 이뤄지며 5대로 운행하는 지금 수준까지 오고 말았다.[9] 특히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던 99~00년 제작 BS106 차량 상당수는 한성버스를 통해 유입된 차량이었다. 다만 2004년에 번호판 돌리기를 거치면서 상당수 차량이 95~96년식 차량이 달던 면허를 이어 받아서 달게 되었고 본래 한성버스 차적은 04~05년에 도입된 천연가스버스가 달게 되었다. 그래서 한 때 172번에 한성버스 차적이 많이 보였었다. 일부는 흥안운수에서 넘어간 99년식 에어로시티로 교체되었고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10] 2003년에 인수한 차량 상당수가 슈퍼 에어로시티로 교체되었다. 흥안운수 계열들은 번호판 돌리기가 상당히 심했기 때문에 좀 뜬금없어 보이는 146번에서 다니던 에어로 스페이스에 한성버스 출신 면허가 적용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주로 상진운수 차적이 흥안운수로 많이 들어갔다.[11] 20-1번은 승원여객에 인수하였다.[12] 여담이지만 우신운수 소속 7번은 신흥교통으로 인수하면서 56-2번으로 변경 되었다.[13] 형간전환 과정에 아시아 버스현대 버스대원운수 등에서 중고로 매입하게 된다.[14] 자사에서 신설된 노선은 804번(408번)과 20-3번이 전부다.[15] 물론 자동안내 시스템도 가동하였다.[16] 본래는 우신운수 소속 7-1번으로 운행 하였다가 1990년 한성버스로 인수하면서 7번으로 변경되었다. 여담이지만 우신운수 소속 7번은 신흥교통으로 인수하면서 56-2번으로 변경 되었다.[17] 창동아파트단지 개발전에 차고지는 신창동에 위치 하였고 20번 버스와 같은 종점 이였다. 이전 후 적색번호 노선으로 연장되면서 신창동을 구종점으로 불렸었다.[18] 창동아파트 개발로 의해 신창동에서 창동역 차고지로 이전 후 기점 노선이 두갈래로 나뉘어서 청색번호, 적색번호로 구분되었다. 정확히는 청색번호가 신설노선이고 적색번호가 연장노선이다. 참고로 적색번호는 하행에 한해서 만 창동역 앞에 운행하고 상행은 창동역 앞까지 가지 않고 창동역 앞에 가기 전 차고지 에서 운행을 마친다.[19] 2001년에 부도로 의해 운행이 중단되다가 2002년 파산후 흥안운수로 인계되었다. 허나 차고지 사정상 노원역 기점으로 변경되어 창동역쪽 으로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았고 이 마저도 파행상태였다. 개편 후1138번 지선버스로 운행 중이다.[20] 1985년에 우신운수 에서 신설되었다. 1990년 한성버스에 매각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1992년 경 7번과 통합하는 형식으로 폐지되었다.[21] 1986년 아륙교통 에서 인수. 창동아파트단지 개발전에 차고지는 신창동에 위치 하였고 7번 버스와 같은 종점 이였다. 운행당시 창동역 주변은 시골이나 다름없었다.[22] 차고지가 창동역으로 이전되면서 연장 하였다. 예전에 노원교 차고지를 20번 종점으로 불렸던 것도 이 때문이다.[23] 2001년 부도 후 한성여객으로 인계되었지만, 사실상 파행상태였다. 2004년에 정상운행으로 돌아온 듯 보였으나 그 해 7월 버스개편 때 조용히 폐지되었다.[24] 현재의 도봉소방서[25] 1986년 아륙교통 에서 인수. 앞에 20-1번이 없는 이유는 인수 과정 중 20-1번만 승원여객으로 인계됐기 때문이다. 애석하게도 2001년 부도로 운행이 중단되어 인수도 못한 체 2002년에 폐지되었다.[26] 2000년 민락동 아파트단지 조성에 의해 신설. 2002년에 파산 후 20번과 함께 한성여객으로 인계되었으며 유일하게 정상운행을 하였다. 개편 후 1154번 지선버스로 운행 중이다.[27] 1985년 1기 지하철 완전개통 이후 서울시는 서울시 도심주변 순환 및 외곽지역 지하철 연계를 위해 800번대 번호를 부여 하였는데 1986년 하반기 한성버스 단독 운영으로 804번을 개설하였다. 유일하게 한성버스 시절 신설된 버스.[28] 다만 기점은 수유역 이지만 차고지는 신창동에 위치해서 서로 거리가 멀었는데 운행 당시 기/종점 전부 회차하는 순환개념 이기에 일정 횟수로 반복 순환운행 후 기점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신창동 차고지 까지 공차 회송 한 걸로 추정된다.[29] 1991년 창동아파트 개발로 의해 신창동에서 창동역 차고지로 이전하면서 창동역으로 연장하였다. 정확한 사유는 신창동 주민들의 민원 때문이다.[30] 안방학동 구간 한정으로 적청번호로 정방향 역방향으로 분리운행 하였다.[31] 1995년 하반기 안방학동에서 시루봉로/ 방학역 경유로 변경하고 창동역 동측 연장을 위해 증차 및 일부 대차분 으로 731번 좌석 출신 RB520 좌석형에 그대로 몬드리안 도색을 적용하고 입석 요금을 받는 것으로 804번에 투입하였다.[32] 하지만 연장 한지 1년 남짓 해서 타운수 업체의 경쟁노선(423번, 432번)에 밀려 수요를 뺏겨버린 바람에 1999년에 408번 순환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33] 본래는 1979년 한서교통에서 운행하였는데 1982년에 서울버스에 노선 운영권만 넘겨주었으며 1989년 노선이 대폭 변경됨과 동시에 한성버스에 매각하기에 이르렀다. 2001년에 부도로 의해 파행운행 하다가 흥안운수로 인수 하였지만 한번도 운행 못하고 2003년에 조용히 폐지되었다.[34] 731 1번이 아니다. 731-1번이다. 신설기획이 있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백지화돼서 취소선 처리되었다.[35] 2000년 민락동 아파트단지 조성으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 의해 신설하려 했으나 지역업체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신설시 BH116이나 에어로 스페이스 LS 등 고급좌석차종을 투입하려고 했었다.[36] 본래는 도시형버스 804번으로 운행 하다가 타 버스 노선에 수요 경쟁에서 뒤지는 바람에 1998년 대형버스 에서 중형버스로 대차되면서 1999년에 안방학동~창동역(동측) 구간을 폐지하고 번호만 뒤집어 408번 순환버스로 형간 전환되었다. 하지만 형간 전환 했음에도 수요는 예전만 못했고 애석하게도 2001년 부도로 운행이 중단되어 인수도 못한 체 2002년에 폐지되었다.[37] 참고로 1998년 까지 408번 번호를 한성운수에서 사용 하였는데 12번 마을버스로 형간전환 되면서 결번이 되자 한성버스가 사용하게 된 것이다.[38] 아륙교통 시절에 운행[39] 아륙교통 시절에 운행[40] 아륙교통 시절에 운행[41] 우신운수, 상진운수 에서 인계받아, 7번, 20번, 804번 시내버스 노선으로 운행했었다.[42] BD098/BD101에서 대차 하였으며 20번 시내버스 노선 으로 운행 , 731번 좌석버스는 서울버스 에서 인계받아 운행 했었다.[43] BF101, FB485 에서 대차하였다.[44] 731번 좌석버스 노선에서 운행했으며 한성운수 716번이 도시형으로 형간전환 되면서 인계받았다. 93~96년식은 1998년에 회사부도로 서울버스에 인수된 영동교통 37번 출신과 북부운수,대성운수 출신이 있었다.[45] RB520, BV101, BS105, BS105L에서 대차하였다.[46] BS105L에서 대차하였다.[47] 1998년 804번이 408번 순환버스로 형간 전환 1년전에 대차하였다. 대부분 타 업체에서 중고로 매입한 것이며 전중문 형이다.[48] 1982~1983년식, 1988~1989년에 BS105L로 대차되었다.[49] 1988~1989년식, 서울버스 에서 운행 했던 걸 인계받았다. 731번 좌석버스 노선에서 운행한 전력이 있으며 일부는 408번에서 몬드리안 도색을 한 채로 운행하기도 했다.(다만 90년대 후반에 잠시 운행하였고 당시엔 804번을 운행했었다.)[50] 1984년식(D0846HM-V 탑제차량), 20번 과 20-2번 도시형 버스에 잠시 운행한 전력이 있으며 1994년에 BS106L 하이파워 무냉방모델로 대차되었다.[51] 1995년식, 정식운행 한건 아니고 1995년 서울 냉방버스 시범 운행 때 무상대여로 20번 시내버스 노선에서 잠시 운행했었다. 하지만 정작 정식운행으로 도입한 모델은 대우 BS106L 하이파워 1995년식 모델 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