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의 임관 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교 | |
<colbgcolor=#1e5099> 사관학교 | 사관생도(육군/해군/공군/육군3/간호/과학기술) | |
후보생 | 학군사관 | 학사사관 | 간부사관 | 전문사관(의무/수의/법무/군종/과학기술/기타) | |
기타 |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기본병과장교 | 특별임관 | 현지임관 | |
폐지 | 갑종간부후보생 | 석사장교 | 군사학교(군사영어/육군종합/호국군/육군2/해군2/공군2/해병) | |
준사관 | ||
후보생 | 기술·행정 준사관(통번역준사관) | 항공 준사관(운항(육/해)/요격통제(해)/무기통제(공)) | |
부사관 | ||
민간/현역병 | 민간부사관(임관시 장기복무부사관)(육군/특전/해군/해병/공군)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학군부사관 | |
현역병 | 현역부사관 | 임기제부사관(단기전환부사관) | |
기타 |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사관학교 퇴교자 | |
폐지 | 을종간부후보생 | 교육대학 병역특례 | 일반하사 | 단기하사 | 금오공고 301학군단 | |
둘러보기 :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clearfix]
1. 개요
국방부 항공무기통제준사관 공식 홍보영상 | 100인의 공군, 방공무기통제사 편 |
2. 지원
항공통제 분야의 장교 3년 이상의 경력 또는 부사관으로 7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지원할 수 있으며, 항공무기통제 준사관 임용시험을 통과해야 임관할 수 있다. 장교는 임관일 이전에 전역 예정이거나 임관일 기준으로 전역이 2년 이내여야 하며, 부사관은 장기복무자 또는 임관일 기준으로 전역이 2년 이내여야 한다. 공통적으로 임관일을 기준으로 나이는 만 40세 이하여야 한다. #출처3. 역사
항공무기통제사(舊 방공무기통제사)는 아군 전투기에 적 항공기 격추를 위한 최적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요격 관제 임무를 수행한다. 원칙적으로는 조종사들의 출격명령을 내리는 실무자이기에 장교가 그 임무를 맡아오다 오랫동안 전문적으로 방공무기통제 임무를 수행할 인력이 필요함에 따라2019년부터 '방공무기통제사'를 '항공무기통제사'로, '방공무기통제준사관'을 '항공무기통제준사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우습게도 2010년대 초반까지 특기명이 항공통제였지만 2015년 이후 방공통제로 변경되었다가 이렇게 환원된 것인데, '방공'이란 단어를 넣고 싶은 윗분의 사정 때문에 특기명이 마구 바뀌었었던 것이다. 방공무기통제사라는 이름 자체는 특기명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직무명이었으므로 문제가 없었으나, 방공통제 특기의 어감을 환영하는 사람도 없었거니와 방공포병이랑 비슷해서 헌급방의 이미지가 옮겨붙어 도로 특기명을 환원하는 김에 직무명칭까지 바꿔버린 것이다. 정작 일선에서는 원래부터 '통제사'나 '항공통제사'라고 주로 지칭하고 있었다. 웃긴 것은 공군에서는 2019년부터 변경된 이름으로 안내하고 있지만(#) 군인사법 시행규칙에서는 아직도 옛날 명칭으로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4. 여담
- 방공무기통제준사관 시절에는 줄여서 방공통제준사관, 방통준사관, 방준, 방공준사관이라 하기도 했는데 방공준사관의 경우 항공준사관과 표현이 비슷해서 헷갈린다. 항공무기통제준사관으로 바뀌고 나서는 더 그러게 생겼다.
- 2015년에 최초의 여군 방공무기통제준사관이 탄생했다. #출처
- 장기복무가 된 중사나 상사가 바로 준위를 할 수 있다고 하니 서로서로 하려고 할 것 같지만, 실제 현직자들은 얼마 올라가지도 않은 월급에, 너무나도 긴 의무복무 기간과 교대근무와 벙커를 수십년간 피할 수 없다는[1]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의외로 경쟁률은 세지 않다.
- 계급적으로는 부사관의 상급이지만, 실제 내부 분위기는 현역때의 부사관 기수따라 간다. 그래서 부사관 선배들에게 경례도 사실상 못받고, 장병 모두로부터 감독관이라고 칭해주지도 않는다. 방준출신이 아니라 부사후출신들이 감독관을 정식으로 달 때에는 감독관으로 불러준다. 그래도 부사관 기수가 뒤집히진 않는다.
- 재입대를 한게 아닌 이상, 연장만 한 부사관은 지원할 수 없는데, 장기복무가 되지 않은 부사관의 최대 복무년수는 7년이지만, 공군항공우주통제학교에서의 약 세달간의 교육기간이 있어 실제로 경력을 7년을 채울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부사관 출신의 모든 방통준사관은 현역출신이다. 2023년 현재까지도 재입대를 통해서 항공통제특기를 2번 받아 장기복무가 되지 않은 부사관으로 방공준사관은 없으며 앞으로도 경력년수 조정이 없다면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 예비역 장교나 장교에서 신분전환 한 경우도 사실상 없다고 봐야하는데, 특별히 교대근무랑 벙커에서 실무를 좋아해서 남는 변태같은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방공준사관으로 53살까지 있을바에는 그냥 항공통제에서 장기복무를 해서 소령, 중령으로 올라가버리는게 더 현실적이다. 그렇다고 아예 없는 것은 아닌지라 아주 극소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처음 생길때에는 1990년대고, 비정기적으로 뽑았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매 기수 극소수이지만 꾸준히 뽑고 있다. 최초의 1기들이 정년에 도달해서 생기는 결원만큼 조금씩 뽑고 있다.
[1] 사실 교대근무를 피하고 주간근무로 전환할 수 있으나, 벙커를 피할수도 없을 뿐더러, 그렇게 되면 교대근무시에 하던 주 35~40시간에서 주 40~50시간으로 무급으로 더 일해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게다가 아예 그냥 관제 사이트에 올라가거나, 방공관제사령부나 31, 32, 33, 34전대의 행정부사관이나 준사관으로 빠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