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17:00:57

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황남대총
皇南大塚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남분 추정 피장자 <colbgcolor=#fff,#1f2023>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북분 추정 피장자 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자비 마립간
북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황남대총 금귀걸이 · 황남대총 북분 고구려식 금동못신 · 황남대총 북분 금관 · 황남대총 북분 금목걸이 ·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 황남대총 북분 유리구슬 거푸집 ·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 황남대총 북분 은잔 ·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 황남대총 은제 허리띠 · 황남대총 북분 청동 세발솥 · 황남대총 북분 커트장식 유리잔 · 황남대총 야광조개국자
남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 황남대총 금귀걸이 · 황남대총 금맞새김판장식 · 황남대총 남분 금동관 · 황남대총 남분 금동신발 ·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 황남대총 남분 금반지 ·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 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 · 황남대총 남분 '마랑'명 주칠기 바둑알 통 · 황남대총 남분 앵무조개잔 · 황남대총 남분 유리잔 · 황남대총 남분 유리제곡옥부 목걸이 · 황남대총 남분 은관 ·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 · 황남대총 남분 은반지 · 황남대총 남분 은제 국자 ·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 황남대총 은제 허리띠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띠드리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발걸이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허리띠 꾸미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화살통 장신구 및 멜빵 · 황남대총 청동거울 · 황남대총 환두대도
}}}}}}}}} ||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1.png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2.png

사진 출처 :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한국의 화장용기 전 - 작지만 특별한 아름다움

1. 개요2. 내용3. 기타

1. 개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남성용 화장 용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원본을,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에서 복제본을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황남대총 남분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화장 용기로, 연구 결과 남분이 남성의 무덤으로 확인된 관계로 이 유물 또한 당시 남성이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하여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으로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유병이란 향유(香油)와 머릿기름, 미안수(美顔水) 등 주로 액체 형태의 화장품을 담는 용기를 말한다. 당시 향유를 담은 병은 모두 사용할 때 조금씩 덜어 쓰기 쉽고 또 향의 증발을 막기 위해 병목을 좁게 만들었으며, 내용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병에 뚜껑을 덮거나 종이와 헝겊으로 병 입구를 막아 사용했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3.jpg
사진 출처: 한국 화장의 변천사를 알 수 있는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우리나라 화장의 역사

유병은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드는 다른 화장용기와 달리 대부분 흙으로 구운 도자기를 사용했다. 이는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내용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재료가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신라시대에는 토기, 고려시대에는 청자, 조선시대에는 백자분청사기로 제작했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4.jpg
사진 출처

신라에서는 유병 외에도 다양한 화장 용기를 사용했다. 분합(粉盒)은 형태에 넓은 뚜껑이 있는 그릇으로 유병과 더불어 화장용기 중 사용 빈도와 중요도가 가장 높다. 분합에는 가루 형태의 화장품인 백분(白粉)과 가루비누(세정제) 등을 담았다. 때때로 향을 담아 향합(香盒)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분은 하얀 피부로 가꿀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화장재료로 크게 미분(米粉)과 연분(鉛粉)으로 나뉘는데 미분은 쌀이나 분꽃씨를 가루로 만든 것으로 백분으로도 불렸다.

분항아리(粉壺)는 분합과 함께 백분이나 연지·눈썹먹 등을 담아 놓기 위해 만든 작고 오목한 그릇으로 볼과 입술에 발랐던 붉은 색조화장품인 연지를 담았다. 연지는 홍화(紅花)에서 붉은 염료를 추출해 만드는데, 가루 또는 환 형태로 만들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기름에 조금씩 개어서 사용했다. 화장품을 담는 전용 용기인 분접시(粉匙)와 분수기(粉水器)도 있었다.

현재 전국의 여러 박물관에는 다양한 형태의 신라시대 유병들이 존재하지만, 이 유병은 여성이 아닌 남성이 사용했던 것이라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3. 기타

남성이 화장품을 썼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시기 백제고구려와는 달리 신라는 상당히 유니섹스한 성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과는 달리 화장 기록이 많이 남아 있는데 우선 여인들이 가체(加髢)를 사용하였는데 금은주옥과 오색비단으로 꾸몄다고 하며, 특히 신라의 가체는 중국의 가체보다 장발이고 미발(美髮)이어서 중국 여인들이 매우 탐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선물로 여러 차례 보내졌으며 교역품으로 수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신라의 화장 기술이 우수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신라는 백분(白粉)의 사용과 제조 실력이 매우 높아 널리 사용하였으며, 연지를 만들어 볼과 입술을 치장하였다. 연지 이외에 미묵(眉墨)을 이용하여 눈썹을 그리기도 하였다. 향수와 향료를 만들어 남녀노고 귀천에 관계없이 널리 애용하였는데, 기본적으로 향로에 향료를 살라 연기를 옷에 베게하거나 주머니에 담아 옷고름 혹은 허리춤에 찼다고 한다.

이와 같이 신라에서 화장술과 화장품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신라인들의 남다른 미의식, 즉 영육일치사상(靈肉一致思想)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불교의 성행도 발전의 배경이 되었는데, 불교는 향을 신성시하고 의례에 반드시 향을 사용하며, 목욕재계를 중시하고 있어 향의 일상화와 목욕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신라인들은 목욕을 자주하여 몸을 깨끗이 하여야 마음도 정결해진다는 청결관념이 강하였던 것이다. 목욕이 몸을 깨끗하게 하고 더러움을 씻는 단순한 청결행위가 아니라, 마음의 죄악을 씻는 신성한 의식수단으로 인식되었다. 불교는 특정인이 아닌 모든 중생을 위한 종교로 기능하여 남녀노소는 물론 신분의 귀천이 없었기 때문에 품질의 높고 낮음은 있으나 향수와 향료는 모든 신라인이 애용하였던 것이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5.jpg

이런 상황이다 보니 신라는 남성들도 마치 여성인양 아름답게 꾸미고 다녔다. 미륵선화, 삼국사기, 삼국지위지동이전(三國志魏志東夷傳) 등의 자료를 보면 동시기 백제, 고구려 남자들과는 달리 신라 남자들은 머리를 여성처럼 길렀으며, 전쟁이 벌어졌을 경우 모두 얼굴에 분을 바르고 연지로 립스틱을, 목탄으로 아이섀도우를 하여 아름답게 화장한 뒤 전투를 나섰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 으악 내 눈! 당나라 영호징의 신라국기에서도 "신라는 아름다운 남자를 가려 뽑은 후 항상 분을 바르고 곱게 단장하여 화랑이라 이름하니 나라 사람들이 모두 존경하여 섬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당시 신라인의 여성스러움에 대한 관념이 다른 국가의 남성들처럼 가녀리거나 지배당해야 할 약한 존재라고 인식한 것이 아니라, 남성 이상으로 강건하고 용맹한 이미지였음을 알려준다.
미모의 남자를 곱게 단장시키고 화랑(花郞)이라 부르고 받들게 하자, 아름다운 젊은이들이 구름처럼 모여들게 되었다. 그들은 산과 강을 찾아 다녔다. 아무리 험하고 먼 곳이라 하여도 그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었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진흥왕 원년(540), 사내아이(童男)들이 용모를 단정하게 꾸미고 풍월주(風月主)라 이름하고 선사(善士)를 구해 구 무리를 삼았다. - 동국통감
살펴 보건대 신라는 남자들이 장식을 했고, 그 무리들로 하여금 모여 놀게 하면서 그들이 하는 행동을 관찰했다. 이를 칭하여 화랑(花郞)이라 했으며, 때로는 낭도, 혹은 국선(國仙)이라 했으니, 영랑(永郞), 술랑(述郞), 남랑(南郞) 역시 모두 이 무리이다. 지금 세속(世俗)에서 남자 무당을 화랑이라 하는 것은 원래의 뜻을 잃은 것이다. - 지봉유설

이런 기록을 바탕으로 신라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남성 캐릭터의 비주얼을 챙기는 경우가 많다.

파일:경주 월성로 금귀걸이4.png
파일:경주 월성로 금귀걸이5.png
사진 출처

2009년 방영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젊은 태종 무열왕이 여성처럼 귀걸이를 끼고 있는 장면. '선덕여왕'을 통해서 본 신라인의 장신구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6.jpg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7.jpg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8.jpg

드라마 달의 연인에서 실제 신라 남성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복원해 배우들에게 착용시킨 모습.드라마 '달의 연인' 고대 주얼리 이야기 - 男주인공들의 귀걸이 디자인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9.jpg
드라마 화랑에서 머리를 기르고 화장을 한 모습.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10.png
일러스트 출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는, 절세의 미녀 둘이 꺆꺆거리며 꽁냥대고 있길래 가까이 가봤더니 화랑이더라 라는 일화를 일러스트로 그렸다. 경주 월성로 금귀걸이, 호우총 금귀걸이 등으로 치장하고 있다.

파일: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11.png
일러스트 출처. 실제 통일신라 남성 무덤에서 나온 유물을 토대로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