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00:18:26

황남대총 북분 은잔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황남대총
皇南大塚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남분 추정 피장자 <colbgcolor=#fff,#1f2023>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북분 추정 피장자 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자비 마립간
북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황남대총 금귀걸이 · 황남대총 북분 고구려식 금동못신 · 황남대총 북분 금관 · 황남대총 북분 금목걸이 ·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 황남대총 북분 유리구슬 거푸집 ·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 황남대총 북분 은잔 ·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 황남대총 은제 허리띠 · 황남대총 북분 청동 세발솥 · 황남대총 북분 커트장식 유리잔 · 황남대총 야광조개국자
남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 황남대총 금귀걸이 · 황남대총 금맞새김판장식 · 황남대총 남분 금동관 · 황남대총 남분 금동신발 ·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 황남대총 남분 금반지 ·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 황남대총 남분 도기줄무늬 유병 · 황남대총 남분 '마랑'명 주칠기 바둑알 통 · 황남대총 남분 앵무조개잔 · 황남대총 남분 유리잔 · 황남대총 남분 유리제곡옥부 목걸이 · 황남대총 남분 은관 · 황남대총 남분 은관모 · 황남대총 남분 은반지 · 황남대총 남분 은제 국자 ·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 황남대총 은제 허리띠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띠드리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발걸이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허리띠 꾸미개 ·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화살통 장신구 및 멜빵 · 황남대총 청동거울 · 황남대총 환두대도
}}}}}}}}} ||

파일:황남대총 북분 은잔1.jpg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보물 제627호

1. 개요

皇南大塚北墳 銀盞.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은제 그릇.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었고 보물 제627호로 지정되았다.

2. 내용

파일:황남대총 북분 은잔2.jpg

높이 3.5 cm, 아가리 지름 7 cm.

황남대총 북분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은잔으로, 제작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이라고 추정한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 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지금으로부터 1700여 년 전에 으로 제작된 그릇으로, 기물의 뒷면을 두드려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내는 타출기법(打出技法)을 사용했다. 겉면은 연꽃무늬(蓮花文)로 위아래 단을 나눈 후 3각, 5각, 6각형 무늬를 새겼고, 가운데에는 거북이 등껍질 모양 안에 노루, , 호랑이, , , 가릉빈가, 사슴, 사람 등의 무늬를 입체적으로 묘사해놓았는데, 날개깃털이나 몸통의 반점까지 상세하게 만들어져 예술성이 매우 높다.

인물은 옆으로 누운 듯한 독특한 자세로 등장하는데,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서양 여신의 모습과 비슷하다. 고구려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문화 또한 은잔에 녹아들었다. 은잔 바닥에 보상화잎으로 가장자리를 두른 후 그 씨방 안에 고구려 벽화에서 자주 보이는 삼족오(三足烏) 새무늬를 바닥 안쪽에서 바깥으로 두드려 돌출시켜 놓았다. 비록 신라에서 만들어진 것이긴 하지만 매우 예술적이고 화려하게 삼족오를 묘사하고 있어 고구려의 문화와 공예술을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거북등무늬는 페르시아에서, 여신의 모습은 지중해 지역 서양에서, 육각문을 구획하고 내부에 상서로운 형상을 배치하는 방식은 서아시아에서, 육각형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둥근 결절점(結節點)을 표현하는 것은 중국에서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당시 신라의 국제 교역에 있어서의 위치와 영향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1978년 12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627호

황남대총 북분 은잔(皇南大塚北墳 銀盞)은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 되었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 있다.

이 은제잔은 황남대총 북쪽 무덤에서 발견된 신라 잔 모양의 그릇으로 높이 3.5㎝, 아가리 지름 7㎝의 크기이다. 밑이 평평한 잔으로 표면의 장식 무늬가 매우 특이하다. 아가리에 좁은 띠를 두른 뒤, 연꽃을 겹으로 촘촘하게 돌려 무늬를 장식하고, 그 밑으로는 쌍선으로 거북등 무늬를 연속시켰다. 거북등 안에는 각종 상상속의 동물 형상을 도들 새김으로(打出) 새겼다.

바닥 안 쪽 중앙에도 꽃무늬 안에 봉황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무늬의 표현 형식과 동물의 형상은 경주 식리총에서 출토된 장식용 신발에서도 찾아 볼 수 있어 당시 외래 문화와의 교류를 시사한다. 무늬 자체는 중국 한나라 시대의 구리 거울과 연관이 있으나, 그 기원에 관해서는 분명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