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1. 개요
대한민국의 보물 중 제201호부터 제400호까지의 목록이 나열된 문서.2. 목록
호(號) | 이름/한문 표기[1] | 지역 | 시대 | 지정년월일 | 비고 | |
201호 |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72, 산79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2호 | 의성 관덕동 석사자 (義城 觀德洞 石獅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3호 |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淸道 珀谷里 石造如來坐像) | 경북 청도군 금천면 박곡길 295 (박곡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4호 |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5호 |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권13~14 (大乘阿毗達磨雜集論疏 卷十三~十四)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6호 | 묘법연화경찬술 권1~2 (妙法蓮華經纘述 卷一~二)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7호 |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金剛般若經疏開玄抄 卷四~五)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100, 송광사 (신평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8호 | 청도 운문사 동호 (淸道 雲門寺 銅壺)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신원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09호 | 대전 회덕 동춘당 (大田 懷德 同春堂) | 대전 대덕구 동춘당로 80 (송촌동)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10호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安東 陶山書院 典敎堂)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11호 |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토계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12호 | 창녕 관룡사 대웅전 (昌寧 觀龍寺 大雄殿) | 경남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관룡사길 171(옥천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강원 삼척시 죽서루길 44 (성내동)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2] | |
214호 | 강릉향교 대성전 (江陵鄕校 大成殿) | 강원 강릉시 명륜로 29 (교동)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15호 |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서울 北漢山 舊基洞 磨崖如來坐像) | 서울 종로구 구기동 산 2-1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16호 |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報恩 法住寺 磨崖如來倚坐像)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사내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17호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 | 충남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 197번길 112 (구교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충남 논산시 관촉로 1번길 25 (관촉동)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3] | |
219호 | 논산 개태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論山 開泰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108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0-1호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榮州 北枝里 石造如來坐像)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1 부석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0-2호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榮州 北枝里 石造如來坐像)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1 부석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1호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및 如來坐像) | 경북 영주시 가흥1동 264-2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2호 |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陜川 緇仁里 磨崖如來立像)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85 (치인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3호 |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鐵原 到彼岸寺 三層石塔) | 강원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423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4호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 182-1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5호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驪州 神勒寺 多層石塔)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지번) 경기 여주시 천송동 282 신륵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6호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驪州 神勒寺 多層塼塔)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지번) 경기 여주시 천송동산 113-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7호 | 창녕 인양사 조성비 (昌寧 仁陽寺 造成碑) |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294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8호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지번) 경기 여주시 천송동산 113-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29호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지번) 경기 여주시 천송동산 113-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0호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지번) 경기 여주시 천송동산 113-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1호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앞 石燈)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지번) 경기 여주시 천송동 산113-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2호 | 논산 관촉사 석등 (論山 灌燭寺 石燈) | 충남 논산시 관촉로 1번길 25 (관촉동)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3호 | 부여 무량사 석등 (扶餘 無量寺 石燈)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만수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4호 | 군산 발산리 석등 (群山 鉢山里 石燈)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5호 | 서울 장의사지 당간지주 (서울 莊義寺址 幢竿支柱) |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 9길 1 (신영동) (지번) 서울 종로구 신영동 218-9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6호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益山 彌勒寺址 幢竿支柱)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3-1, 79, 80-2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박물관 (신촌동)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4] | |
238호 |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白磁 博山形蓋 香爐)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39호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粉靑 沙器象嵌牡丹文 梅甁) | 경북 경산시 대학로 280, 영남대학교박물관 (대동, 영남대학교)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0호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5] | ||||
242호 | 안동 개목사 원통전 (安東 開目寺 圓通殿) | 경북 안동시 서후면 개목사길 362, 개목사 (태장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3호 |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 대구 동구 팔공산로 201길 41, 동화사 (도학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4호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大邱 桐華寺 毘盧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 | 대구 동구 팔공산로 201길41, 동화사 (도학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5호 | 김천 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 (金泉 葛項寺址 石造如來坐像) | 경북 김천시 남면 오봉리 65-1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6호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 (구계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7호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大邱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 | 대구 동구 팔공산로 201길 41, 동화사 (도학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8호 |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ㆍ서 삼층석탑 (大邱 桐華寺 金堂庵 東ㆍ西 三層石塔) | 대구 동구 팔공산로 201길 41, 동화사 (도학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49호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榮州 浮石寺 三層石塔)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0호 |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 (釜山 梵魚寺 三層石塔) | 부산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청룡동) | 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1호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 경북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 1435-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2호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보경사 (중산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3호 | 합천 청량사 석등 (陜川 淸凉寺 石燈)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청량사 (황산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4호 |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 (大邱 桐華寺 幢竿支柱) | 대구 동구 팔공산로 201길 41, 동화사 (도학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5호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榮州 浮石寺 幢竿支柱)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17 부석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6호 | 공주 갑사 철당간 (公州 甲寺 鐵幢竿)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8번 지갑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7호 | 공주 갑사 승탑 (公州 甲寺 僧塔)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8-2, 갑사 (중장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8호 | 대구 산격동 사자주악장식 승탑 (大邱 山格洞 獅子奏樂裝飾 僧塔) | 대구 북구 산격3동 1370번지 경북대학교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59호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南陽州水鐘寺浮屠舍利莊嚴具) |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광교빌딩) | 미상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0호 | 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 목판 (柳希春 眉巖日記 및 眉巖集 木板)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1호 | 권벌 충재일기 (權橃 沖齋日記) | 경북 봉화군 충재길 60 (봉화읍, 충재박물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2호 | 근사록 (近思錄) | 경북 봉화군 충재길 60 (봉화읍, 충재박물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3호 | 순천 송광사 하사당 (順天 松廣寺 下舍堂)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지번)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4호 |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陜川 海印寺 石造如來立像)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85, 해인사 (치인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5호 |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陜川 淸凉寺 石造如來坐像)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청량사 (황산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6호 | 합천 청량사 삼층석탑 (陜川 淸凉寺 三層石塔)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청량사 (황산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7호 | 임실 진구사지 석등 (任實 珍丘寺址 石燈) | 전북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734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8호 |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粉靑沙器 象嵌蓮花文 扁甁) | 대구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박물관 (산격동, 경북대학교)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9-1호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紺紙銀泥妙法蓮華 經卷一)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69-2호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二, 四, 五, 六) |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 광교빌딩)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269-3호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3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三) | 부산 서구 구덕로 255,부민캠퍼스 동아대학교박물관 (부용동2가, 동아대학교) | 조선 | 2007년 10월 24일 지정 | ||
269-4호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 2007년 10월 24일 지정 | ||
270호 |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6 (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六)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1호 | 백지은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白紙銀泥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十) | 대구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도서관고서실 (산격동,경북대학교)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2호 | 장수향교 대성전 (長水鄕校 大成殿) | 전북 장수군 장수읍 향교길 31-14 (장수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3호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태안사 (원달리) (지번) 전남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20 태안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4호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71, 태안사 (원달리) (지번) 전남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산18-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5호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碑)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71, 태안사 (원달리) (지번) 전남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산18-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6호 |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群山 鉢山里 五層石塔)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6] | |
278호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광교빌딩)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79호 |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金銅地藏菩薩坐像)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0호 |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兜率庵 金銅地藏菩薩坐像)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1호 | 남원 광한루 (南原 廣寒樓) | 전북 남원시 천거동 75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2호 |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驪州 高達寺址 雙獅子 石燈)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5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3호 | 금보 (琴譜)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4호 | 금동여래입상 (金銅如來立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5호 |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삼국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6호 | 청자 상감포도동자문 매병 (靑磁 象嵌葡萄童子文 梅甁)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7호 |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 (粉靑沙器 剝地鐵彩花文 甁)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8호 | 청동 은입사 향완 (靑銅 銀入絲 香垸)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89호 | 정읍 피향정 (井邑 披香亭) |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0호 | 고창 선운사 대웅전 (高敞 禪雲寺 大雄殿)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1호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扶安 來蘇寺 大雄寶殿) |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2호 | 부안 개암사 대웅전 (扶安 開岩寺 大雄殿)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개암사 (감교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경남 통영시 문화동 62-1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7] | |
294호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咸陽 昇安寺址 三層石塔)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263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5호 |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昌寧 觀龍寺 龍船臺 石造如來坐像)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산328번지 관룡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6호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菩薩坐像) |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7호 |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ㆍ서 삼층석탑 (金泉 靑巖寺 修道庵 東ㆍ西 三層石塔) |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8호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康津 月南寺址 三層石塔)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854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299호 | 구례 화엄사 대웅전 (求禮 華嚴寺 大雄殿)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지번)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0호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求禮 華嚴寺 圓通殿 앞 獅子塔)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지번)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1호 |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三層石塔) |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 (지번)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2호 | 순천 송광사 약사전 (順天 松廣寺 藥師殿)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지번)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3호 | 순천 송광사 영산전 (順天 松廣寺 靈山殿)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지번)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4호 | 보성 벌교 홍교 (寶城筏橋虹橋) |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5호 | 안동 석빙고 (安東 石氷庫) | 경북 안동시 성곡동 산225-1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6호 | 안동 하회 양진당 (安東 河回 養眞堂) |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24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7호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 毘盧遮那佛坐像) |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8호 | 전주 풍남문 (全州 豊南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 3길 1 (전동)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09호 |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井邑 泉谷寺址 七層石塔) | 전북 정읍시 망제동 산9-2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0호 | 창녕 석빙고 (昌寧 石氷庫)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288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1호 | 노인 금계일기 (魯認錦溪日記) |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2호 |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密陽 小台里 五層石塔) | 경남 밀양시 청도면 소태리 1138-2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3호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1길 106-1 (월남리) (지번)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813-1, 815-1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4호 |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3~4 (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三~四)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5호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白紙墨書妙法蓮華經 卷一,三)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6호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94-12번지 운문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7호 |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淸道 雲門寺 石造如來坐像)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신원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8호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신원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19호 |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金泉 直指寺 石造藥師如來坐像) | 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직지사 (운수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0호 |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海南 大興寺 三層石塔) |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 (지번)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823, 산8-1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1호 | 봉은사 청동 은입사 향완 (奉恩寺 靑銅 銀入絲 香垸) |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 광교빌딩)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2호 | 제주 관덕정 (濟州觀德亭) | 제주 제주시 관덕로 19(삼도이동)/ (지번) 제주 제주시 삼도2동 983-1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3호 | 청도 석빙고 (淸道 石氷庫) | 경북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285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전남 여수시 군자동 472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8] | |
325호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 |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6호 | 이순신 유물 일괄 (李舜臣 遺物 一括) | 충남 아산시 현충사길 48 (염치읍, 현충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9] | |
327호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義城 氷山寺址 五層石塔) |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8호 | 금동약사여래입상 (金銅藥師如來立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29호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삼국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0호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扶餘 軍守里 金銅菩薩立像)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 국립부여박물관) | 삼국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1호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삼국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2호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3호 |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삼국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4호 |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 (通度寺 靑銅 銀入絲香垸)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 (지산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5호 | 석조비로자나불좌상 (石造毘盧遮那佛坐像) | 대구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박물관 (산격동, 경북대학교)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6호 | 정지장군 갑옷 (鄭地將軍 甲衣) | 광주 북구 비엔날레로 111,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용봉동)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7호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장곡사 (장곡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8호 | 금령총금관 (金鈴塚金冠)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39호 | 서봉총금관 (瑞鳳塚金冠)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 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0호 |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靑磁 鐵彩堆花蔘葉文 梅甁)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 | 서울종로구청와대로1,국립중앙박물관 (세종로) | 미상 | 1963년 1월 21일 지정 | [10] | |
342호 |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靑磁 陰刻牡丹 象嵌襆紗文 有蓋梅甁)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미상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3호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扶餘 外里 文樣塼 一括)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백제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4호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靑磁 陽刻葦蘆文 淨甁)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5호 |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 (白磁 象嵌牡丹文 梅甁)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6호 |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靑磁 象嵌銅彩牡丹文 梅甁)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7호 |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 (粉靑沙器 象嵌魚文 梅甁)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8호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粉靑沙器 象嵌牡丹文 飯盒)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49호 |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靑磁象嵌菊花牡丹唐草文母子盒)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0호 |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ㆍ사당ㆍ담장 (達城 道東書院 中正堂ㆍ祠堂ㆍ담장) |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1호 |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傳 楊平菩提寺 址大鏡大師塔) |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산11-1번지 이화여자대학교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2호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 |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3호 |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陜川 靈岩寺址 雙獅子 石燈) |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로 637-97 (둔내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4호 | 천안 천흥사지 오층석탑 (天安 天興寺址 五層石塔)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 190-2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5호 |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洪城 新耕里 磨崖如來立像) | 충남 홍성군 홍북면 신경리 산80-1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6호 |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무량사 (만수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7호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漆谷 淨兜寺址 五層石塔) |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8호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59호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0호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1호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楊平菩提寺址大鏡大師塔碑)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2호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昌原 鳳林寺址 眞鏡大師塔)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3호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昌原 鳳林寺址 眞鏡大師塔碑)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4호 | 나주 서성문 안 석등 (羅州 西城門 안 石燈)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5호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5가, 국립중앙박물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6호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西三層石塔 舍利莊嚴具)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7호 | 기축명아미타불비상 (己丑銘阿彌陀佛碑像)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명암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8호 |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 (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명암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69호 | 울주 석남사 승탑 (蔚州 石南寺 僧塔) | 울산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산232-2번지 석남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0호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蔚州 澗月寺址 石造如來坐像) |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온천4길 15(등억리) | 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1호 |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山淸 沙月里 石造如來坐像) | 경남 진주시 천수로 137번길 38(망경동)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2호 | 진주 용암사지 승탑 (晉州 龍巖寺址 僧塔) |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 용암리 산31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3호 |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 (宜寧 寶泉寺址 三層石塔) | 경남 의령군 의령읍 하리 797-1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4호 | 산청 율곡사 대웅전 (山淸 栗谷寺 大雄殿) | 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곡사길 182 (율현리)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5호 |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 (咸陽 德田里 磨崖如來立像) | 경남 함양군 마천면 덕전리 768-6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6호 |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咸陽 校山里 石造如來坐像) | 경남 함양군 함양읍 함양배움길 11(교산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7호 |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居昌 陽平里 石造如來立像) | 경남 거창군 거창읍 노혜3길 6-33(양평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8호 |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 (居昌 上林里 石造菩薩立像) | 경남 거창군 거창읍 미륵길 19-61(상림리)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79호 |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 (晉州 妙嚴寺址 三層石塔) | 경남 진주시 수곡면 효자리 447-1번지 | 고려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0호 | 하동 쌍계사 승탑 (河東 雙磎寺 僧塔) | 경남 하동군 화개면 목압길 103, 쌍계사 (운수리)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1호 | 합천 백암리 석등 (陜川 伯岩里 石燈) | 경남 합천군 대양면 백암리 90-3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2호 |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蔚州 靑松寺址 三層石塔) | 울산 울주군 청량읍 율리 1420번지 | 통일신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3호 | 창덕궁 돈화문 (昌德宮敦化門) | 서울 종로구 율곡로99, 창덕궁 (와룡동) (지번) 서울 종로구 와룡동 2-71, 2-77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4호 | 창경궁 홍화문 (昌慶宮弘化門)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5호 |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 (昌慶宮 明政門 및 行閣)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와룡동, 창경궁)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6호 | 창경궁 옥천교 (昌慶宮 玉川橋)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 조선 | 1963년 1월 21일 지정 | ||
387호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 (귀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비신) | 고려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88호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89호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앞 雙獅子 石燈)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0호 |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 (天安 廣德寺 高麗寫經) |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 광교빌딩)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1호 | 부산진 순절도 (釜山鎭殉節圖) | 서울 노원구 공릉동 사서함77-1호 육군박물관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2호 | 동래부 순절도 (東萊府殉節圖) | 서울 노원구 공릉동 사서함77-1호 육군박물관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3호 | 전등사 철종 (傳燈寺 鐵鍾)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 고려 | 1963년 9월 2일 지정 | [11] | |
394호 | 나주향교 대성전 (羅州鄕校 大成殿) | 전남 나주시 향교길 36-11 (교동) (지번) 전남 나주시 교동 32-3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5호 | 순천 선암사 동ㆍ서 삼층석탑 (順天 仙巖寺 東ㆍ西 三層石塔)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죽학리) (지번)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 통일신라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6호 | 여수 흥국사 대웅전 (麗水 興國寺 大雄殿) | 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60 (중흥동) (지번) 전남 여수시 중흥동 17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397호 | 남양주 봉선사 동종 (南陽州 奉先寺 銅鍾) |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봉선사 (부평리)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12] | |
399호 | 홍성 고산사 대웅전 (洪城 高山寺 大雄殿) | 충남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 127번길 35-99 (무량리)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400호 | 순천 선암사 승선교 (順天 仙巖寺 昇仙橋)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48-1번지 선암사 | 조선 | 1963년 9월 2일 지정 | ||
◀ 이전 목록으로 대한민국의 보물/201~400호 다음 목록으로 ▶ |
[1] 문화재청에 등재된 정식 명칭을 기준으로 한다.[2] 2023년 12월 28일 지정해제. 국보로 승격.[3] 2018년 4월 20일 지정해제. 국보 323호로 승격.[4] 2019년 5월 2일 해제, 국보 제326호로 승격.[5] 1997년 해제, 국보 제294호로 승격.[6] 2023년 12월 26일 해제, 국보로 승격.[7] 2002년 10월 14일 지정해제. 국보 305호로 승격.[8] 2001년 4월 17일 지정해제, 국보 제304호로 승격.[9] 지정 당시에는 장검(長劍) 2점(구 326-1호)과 옥로(머리장식, 구 326-2호), 요대(구 326-3호), 복숭아 모양의 잔과 잔받침(도배구대, 구 326-4호) 각 1점씩이 지정되었다가 2023년 8월 24일 장검 2점을 국보로 승격 지정해 분리하고 대신 요대함을 보물로 추가 지정하여 편입했다.(문화재청 보도자료)[10] 1963년 1월 21일 지정해제. 지정해제 사유는 어처구니 없게도 본 유물이 이미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116호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 착오로 인해 1달 뒤에 보물로 중복 지정되었기 때문. 이로 인해 보물 지정한 날 당일에 바로 보물 지정이 해제됐다.[11] 본래 전등사에 있었던 종이 아니다. 일제가 금속류를 강탈하면서 전등사에 있던 종을 가저갔는데, 해방 이후 종을 찾으러 간 전등사의 주지 스님이 부평군기창에서 원래 종은 발견 못하고 대신 가저온 것이다. 생김새가 한국 종과 달라 조사를 한 결과, 중국 북송 철종 4년때 주조된 것임을 밝혀냈다. 원래 종이 있던 곳은 중국 하남성 백암산 숭명사로, 일제가 중국에서 수탈했다 일본으로 가저가지 못하고 부평군기창에 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12] 2017년 1월 2일 해제, 국보 제320호로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