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4 13:58:57

범어사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svg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유색배경).svg
25교구 및 본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31916> 직할교구 제2교구 제3교구 제4교구 제5교구
조계사 용주사 신흥사 월정사 법주사
<rowcolor=#231916> 제6교구 제7교구 제8교구 제9교구 제10교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rowcolor=#231916> 제11교구 제12교구 제13교구 제14교구 제15교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범어사 통도사
<rowcolor=#231916> 제16교구 제17교구 제18교구 제19교구 제20교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선암사
<rowcolor=#231916> 제21교구 제22교구 제23교구 제24교구 제25교구
송광사 대흥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파일:종교표지_불교_흰색.png 일제강점기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경기도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충청도 법주사 · 마곡사
경상도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전라도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강원도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황해도 패엽사 · 성불사
평안도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함경도 석왕사 · 귀주사
}}}}}}}}} ||

파일:201802012560.jpg
범어사 전경
파일:external/cafe.cha.go.kr/7371675462683796.jpg
1902년 8월 14일 범어사 조계문(일주문)

1. 개요2. 역사3. 현황4. 교통5. 기타6. 외부 링크

1. 개요

한자 : 梵魚寺 / 로마자 : Beomeosa (Temple)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 중턱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고찰[1]이며, 해인사, 통도사와 함께 영남 3대 사찰이기도 하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의 역명이 여기서 유래했다.

2. 역사

파일:범어사 전경 국립중앙박물관 수정.jpg
일제강점기 범어사 전경
창건에 대하여는 2가지 설이 있으나, 그 중 삼국유사의 678년(문무왕 18년)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빛이 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산(金井山)으로 이름짓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梵魚寺)를 건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참고로 '범어(梵語)'라고도 알려져있지만 창건 설화에서 물고기가 등장하는 만큼 물고기 어 자를 쓴 '梵魚'가 올바른 표기이다.[2]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버려 10여 년을 폐허로 있다가 1602년(선조 35년) 중건하였다. 그러나 또다시 화재를 당하였고, 1613년(광해군 5년) 여러 고승들의 협력으로 중창하여 법당, 요사채, 불상, 시왕상(十王像), 필요한 모든 집기를 갖추었다. 신라시대 창건 당시의 흔적은 3층석탑과 당간지주, 각 건물의 기단 등 석조 부분에 남아있다.

범어사는 역사적으로 많은 고승대덕을 길러내고 선승을 배출한 수행사찰로 오랜 전통과 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의상대사를 비롯하여 원효, 표훈대덕, 낭백선사, 명학과 그 대에 경허선사, 용성선사, 성월선사, 한용운, 동산선사 등 한국 역사 속의 고승들이 수행 정진하여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1950년대 동산스님이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고, 이후 한국근대불교를 이끌었으며, 2012년 11월 선찰대본산 금정총림으로 지정되었다.

3. 현황

현재 보물 제434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3층석탑(보물 250호), 당간지주(幢竿支柱), 일주문(一柱門), 석등(石燈), 동-서 3층석탑 등의 지방문화재가 있다. 이 밖에 많은 전각(殿閣), 요사, 암자(庵子), 누(樓), 문 등이 있다.

양익 큰스님이 선무도의 원형인 금강영관을 창시한 사찰이기도 하다.

2010년 12월 15일, 범어사 입구에 위치한 천왕문에 누군가가 방화를 저질러 전소되었다. 숭례문 방화 사건 때처럼 불이 기와 밑으로 붙어들어가버려서 진화가 어려웠다고 한다. 기와는 비에 목재가 훼손되지 않도록 방수 효과가 있는데 기와 아래만 불이 붙어있으니 소방차가 물을 쏘아도 잘 듣지 않았던 것.

당시 기사를 보면 사천왕상을 성보박물관에 보관하여 무사했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성보박물관에 보관했던 것은 '사천왕상 탱화'로, 화재시 사천왕상도 모두 소실되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할때, 이런 커다란 사천왕상을 성보박물관에 보관할 수 있을 턱이 없다.

이전부터 있어왔던 단군동상 목 자르기 테러처럼 개신교 광신도가 저지른 짓이 아니냐고 뒤숭숭했으나 정작 이틀 뒤 잡힌 용의자는 개신교와는 관련이 없었다고 한다. 범어사 인근 어떤 암자에 사는 거사로 밝혀졌는데 자신이 뜻하는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화를 저질렀다고 한다.

현재는 복원된 상태. 다만 방화 자체는 꽤 크게 보도가 됐는데, 나중에 범인이 검거되고, 심지어 불교계 내부에서도 기복신앙화된 불교계에 대해 자성의 시간을 가지고 나서도 정작 이에 대한 보도는 잘 되지 않아 아직도 개신교인이 방화를 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물론 이 사건을 잘 아는 사람들의 경우 "불교는 자신을 수양하는 종교인데 왜 기복신앙으로 되었냐"며 한국 불교계 내부를 비판하면서 한국 불교계의 현실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범어사에 대한 개신교측의 태도도 마냥 깨끗하다고 할 수는 없어서 범어사 천왕문 방화에 즈음해 2006년 부산 벡스코에서 ‘Again 1907 in Busan’이라는 주제로 열린 개신교 계열의 집회에서는 "부산을 축복하자"며 각 구별로 등장하는 프레젠테이션 화면. 특히 금정구 화면에는 ‘사찰이 무너지도록’이라는 문구 아래 부산의 대표적인 불교문화유적인 범어사와 안국선원이 지목되는 등 충분히 종교 차별이라고 볼 만한 장면이 있었던 것이 뒤늦게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3]#

201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지적을 받아온 보제루를 해체하고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새로운 보제루를 지었다.

2010년 일제강점기에 범어사 삼층석탑(梵魚寺 三層石塔, 보물 제250호)을 수리하며 추가한 기단과 울타리를 제거했다.
이 때, 탑의 사리공에서 사리 장엄구가 발견될 것을 기대하였으나, 사리 장엄구 대신 일본 신문지에 싸인 유리함이 발견되었으며, 유리함 안에 있던 무언가를 기록한 종이는 모두 삭아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석탑을 수리하며 사리 장엄구를 반출하고 대신 넣어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주문이 보이기 시작할 때 길 왼쪽을 보면 등나무 군락지로 가는 길이 있다. 숲이 상당히 험하지만 느낌도 좋으니 한번 가 보는 것도 추천한다. 한 바퀴 돌고 나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30분.

최근 국토부와 부산광역시의 합작으로 증축 가능 면적이 대폭 늘어났다. 이에 범어사는 그동안 다른 절들에 비해 영 작았던 성보박물관을 새로 크게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여기저기에 새로 건물을 세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새로 지어 2022년 개관한 성보박물관은 절에서 500미터 정도 내리막길을 걸어야 하는 위치로 옮겨졌다. 위치상 범어사에 들린 뒤 내려갈 때 들리는 게 적당하고 대중교통 부산 버스 90도 시가지로 내려갈 때 성보박물관을 지나가게 되어있다.

4. 교통

위에 서술한대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이 있긴 하지만 엄청나게 먼 데다 산 중턱까지 올라가야 하므로 여기서 내려서 걸어갈 생각은 포기하는 게 좋다. 참고로 범어사까지 걸어 올라가는 길은 산복도로가 아닌 도보용 산길이 따로 있는데 지역 주민들은 범어사 걸어가는 산길을 운동삼아 애용하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범어사역 5번과 7번 출구 사이에 있는 골목길로 쭉 들어가다 보면 나오는 범어사입구 정류장에서 부산 버스 90을 타는 것. 148번, 29번, 51번, 131번, 80번, 49번, 300번, 301번도 범어사입구에 도달하므로 이 버스들을 이용하여 90번으로 환승할 수도 있고, 노포역까지 올라가 광역환승센터에서 90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물론 부처님 오신 날이나 수능 시즌은 방문객들로 범어사입구에서부터 만차임으로 주의할 것.

범어사로를 따라 차를 끌고 가거나 택시를 타고 간다면 상행길과 하행길이 구분되는 일방통행로이니 주의하자. 2018년 12월 7일부터 하행길은 양방통행으로 변경되었다. (상행길은 여전히 일방통행)

금정산성, 황령산과 함께 부산 업힐의 메카 중 하나이다.(그 밖에 이기대, 만덕, 개좌, 달맞이 고개 등이 있지만.) 다만 접근성 문제로 인해 원도심 지역을 베이스로 한 자전거 라이더를 제외한 거의 모든 라이더들이 찾는다.[4]

2017년 9월 현재 범어사 주차공간 옆에 GS25 편의점이 생겼고 다운힐 구간 아스팔트가 새로 깔렸다.

참고로 범어사로는 굉장히 특이한데 어느 정도 번화한 구.삼신교통 본사 일대[5]를 벗어나고 나면 상행길은 그야말로 사방이 나무밖에 안보이는 산지이지만 하행길은 상대적으로 탁 트여있고 행락객 대상 카페나 음식점 등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자가로 범어사로 갈 때 주차료 3000원을 지불하여 주차할 수 있다.

5. 기타

6. 외부 링크



[1] 범어사 이외에 부산에서 유명한 사찰로, 대한불교 천태종에서 두번째로 거대한 대규모 사찰인 '삼광사'나 동해 바다와 어우러진 경치로 유명한 '해동용궁사', 직할교구 소속 사찰이자 유치원으로 유명한 '내원정사'도 있다. 그러나 이곳들은 현대에 창건된 신생 사찰이라 천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온 범어사를 대표로 꼽는 경우가 많다. 덜 유명하지만 역사가 오래된 사찰로는 기장의 장안사와 터만 남은 만덕동의 만덕사를 꼽을 수 있다.[2] 양산신도시에 있는 범어 지구와는 한자가 다르다. 이쪽의 범어는 凡魚.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3] 여담으로 동영상의 앞부분에는 행사를 축하하고 개신교인 청년들을 격려하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축하메시지도 실려 있다.[4] 원도심 라이더들의 경우 중앙대로 혹은 충장대로를 지나야 하기 때문이며, 무엇보다도 서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라니가 될 위험이 매우 크다.[5] 흔히 팔송이라고 불리는 지역.[6] 寺下村. '절 아래 마을'이라는 뜻이다.[7] 홍콩에서 사극풍/무협풍 찍으려는데 중국 본토를 못 가니 결국 갈 데는 대만 아니면 한국뿐이다. 물론 대만에도 많이 갔는데 가끔 한국에서도 찍은 것이다. 한국이면 태권도 인구도 많아 무술 엑스트라 구하기도 쉽고. 일본도 있지만 거긴 건축양식이 달라도 좀 많이 다르게 생긴데다 결정적으로 물가가 비싸다. 홍콩 무협물을 찍기는 좀 그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