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ff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통도사 | 부석사 | 봉정사 | 법주사 |
마곡사 | 선암사 | 대흥사 | ||
}}}}}}}}} |
25교구 및 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31916> 직할교구 | 제2교구 | 제3교구 | 제4교구 | 제5교구 |
조계사 | 용주사 | 신흥사 | 월정사 | 법주사 | |
<rowcolor=#231916> 제6교구 | 제7교구 | 제8교구 | 제9교구 | 제10교구 | |
마곡사 | 수덕사 | 직지사 | 동화사 | 은해사 | |
<rowcolor=#231916> 제11교구 | 제12교구 | 제13교구 | 제14교구 | 제15교구 | |
불국사 | 해인사 | 쌍계사 | 범어사 | 통도사 | |
<rowcolor=#231916> 제16교구 | 제17교구 | 제18교구 | 제19교구 | 제20교구 | |
고운사 | 금산사 | 백양사 | 화엄사 | | |
<rowcolor=#231916> 제21교구 | 제22교구 | 제23교구 | 제24교구 | 제25교구 | |
송광사 | 대흥사 | 관음사 | 선운사 | 봉선사 | |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 |
일제강점기의 불교 31본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 경기도 |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
충청도 | 법주사 · 마곡사 | |
경상도 |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 |
전라도 |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 |
강원도 |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 |
황해도 | 패엽사 · 성불사 | |
평안도 |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 |
함경도 | 석왕사 · 귀주사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colbgcolor=#000>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ansa, monastères bouddhistes de montagne en Corée | |
<colcolor=#fff> 국가·위치 |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충청남도 공주시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지정번호 | 1562 |
등재연도 | 2018년 |
등재기준 | (ⅲ)[1] |
링크 |
▲ 마곡사 5층 석탑
[clearfix]
1. 개요
한자 : 麻谷寺 / 로마자 : Magoksa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이다.
마곡사 일원은 2018년 1월 22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92호로 지정되었다. 2018년 6월 30일에는 전국 각지에 소재하는 산사들과 함께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 상세
삼국시대인 640년(백제 무왕 41년/신라 선덕여왕 9년)에 자장(慈藏)율사가 창건하였다.[2] 이후 후삼국시대쯤에는 폐사가 되어 도적의 소굴이 되었다가 고려 명종 때인 1172년 보조국사 지눌이 제자 수우(守愚)와 함께 왕명을 받고 중창하였다. 조선 시대에도 세조가 이 절에 들려 ‘영산전’이라고 사액[3]을 한 일이 있다.일제강점기 마곡사 전경 |
대웅보전에는 싸리나무 기둥 4개가 있는데, 저승에서 염라대왕이 "마곡사 싸리나무 기둥을 몇 번이나 돌았느냐?" 하고 물어봐서 많이 돌았으면 극락에 쉽게 가고 한 번도 안 돌았으면 지옥에 떨어진다고 하여 온 사람들이 모두 기둥을 돌기 때문에 반들반들 윤이 난다.
백범 김구 선생이 젊은 시절 한때 머문 적도 있다. 자세한 내력은 기타 항목에 서술.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2018년 6월 30일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 열린 제42차 회의에서 한국이 신청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우리나라가 등재 신청한 산사는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등이다.#
3. 문화재
- 충청남도 기념물 제192호 공주 마곡사(公州 麻谷寺)
- 보물 제269호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1 (紺紙銀泥 妙法蓮華經 卷一)[6]
보물 제270호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6 (紺紙金泥 妙法蓮華經 卷六)[7]
보물 제799호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五層石塔)
보물 제800호 공주 마곡사 영산전(靈山殿)
보물 제801호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大雄寶殿)
보물 제802호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大光寶殿)
보물 제1260호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釋迦牟尼佛 掛佛幀)
보물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塑造四天王像)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호 공주 마곡사 동제은입사향로(銅製銀入絲香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 공주 마곡사 동종(銅鐘)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공주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尋劍堂 및 庫房)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布敎堂 梵鐘)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大雄寶殿 木造三世佛像)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8호 공주 마곡사 영산전 목조칠불좌상 및 복장유물(靈山殿 木造七佛坐像 및 腹藏遺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2호 공주 마곡사 천왕문(天王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3호 공주 마곡사 국사당(國師堂)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 공주 마곡사 명부전(冥府殿)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5호 공주 마곡사 응진전(應眞殿)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6호 공주 마곡사 해탈문(解脫門)
4. 기타
서산영덕고속도로 마곡사IC가 사곡면에 있다. 다만, 일부 진출입이 제한되어 실질적으로 진출입은 유구IC를 이용하는 편.공주 버스 610, 611, 770을 타면 올 수 있다.
위치가 계곡 옆에 있다보니 여름이면 많은 사람들이 온다.
마곡사는 불화를 그리는 유명한 화승들을 많이 배출하여 남방화소(南方畵所)라 불렸다. 금호(錦湖)-보응(普應)-일섭(日燮)으로 이어지는 화승의 계보를 지니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화승들을 추모하는 불모다례제가 해마다 행해지고 있다.
백범 김구 선생이 젊은 시절 한동안 머문 적이 있다. 정확히는 치하포 사건으로 수감 도중 인천에서 탈옥해 전국을 돌며 도피 생활을 하던 중 이곳에서 하은당이라는 승려를 은사 삼아 '원종(圓宗)'이라는 법명으로 승려로 출가하였다. [8] 그러나 수사망도 좁혀지고 승려 생활도 하은당에게 갈굼만 당하는 등 영 좋지 못하자[9] 금강산으로 가서 더 큰 가르침을 받겠다는 핑계로 여섯 달만에 절을 떠났다. 그 뒤 백범은 부모의 설득을 이기지 못하고 환속하였고, 농촌 계몽운동을 거쳐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다. 백범은 오랜 시간이 지난 1946년, 임시정부 주석이 되어 마곡사를 다시 찾았고 사찰 경내를 둘러보며 "사찰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기상으로 나를 환영하여 주나, 48년 전의 승려들은 한 명도 볼 수 없었다."라고 백범일지에서 회고했다.
한편, 광복 이후 방문했을 때 경내에 무궁화와 향나무를 심었다고 하는데, 향나무가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2023년까지 마곡사 상업지구 내에 우편취급국이 있었으나 폐국되었다. 따라서 이 지역 주민들은 우편 업무를 보려면 사곡우체국이나 정안우체국에 가야 한다.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기년을 2개를 적은 것은 이 당시 마곡사가 있는 공주는 백제의 영토였는데 신라 승려인 자장이 창건했다는 내용 때문이다. 현재로선 정확한 경위는 알 수 없는데 먼저 640년에 백제 승려에 의해 절이 지어지고 백제 멸망 후 신라 승려가 중창한 것이 640년에 자장이 막 바로 지었다고 와전됐거나 혹은 당대 승려들은 쉽게 국경을 넘나들며 떠돌아다녔고 특히 유명한 고승이면 보통 어느 나라에서든 환영 받았기에 자장이 백제에 방문했을 때 무왕의 지원으로 창건되었을 수도 있다. 또한 공주시 홈페이지 문화재 소개란에는 640년이 아닌 643년에 창건되었다고 적혀있다.[3] 현판을 내려준다는 뜻이다.[4] 한국전통양식과는 동떨어진 특이한 상륜부가 특징이다. 티베트 불교에서 만드는 탑을 본떠 만들었기 때문이다. 낙산사 석탑도 상륜부가 이와 비슷하다.[5] 2024년 10월 31일 국보로 지정 예고되었다[6] 마곡사 소유이나 국립중앙박물관이 관리하고 있다.[7] 마곡사 소유이나 국립중앙박물관이 관리하고 있다.[8] 백범이 삭발했던 곳은 삭발바위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9] 출가한 뒤 인턴처럼 한동안 지내는 "행자"는 대접이 영 좋지 못하다. 속세와의 연을 완전히 끊도록 길들이려는 의도도 있고, 일정 기간 내에 포기하고 환속하는지 남아서 끝까지 승려 생활을 하는지 일종의 테스트를 하는 것이다. 오늘날에도 '사람과 짐승 사이에 낀 것이 행자'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저 백범의 은사인 하은당은 인성이 영 좋지 못했는지 툭하면 승려들을 갈궈대서 환속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