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5:37:46

히틀러의 성공시대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d0200> 파일:히틀러투명 (1).svg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생애 · 평가(군사적 능력)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나치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사상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상징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사건사고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T4 작전 · 아기공장
조직 및 국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선전물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사고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인물
나치 관련 인물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추축국 정상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연합국 정상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타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장소 브라우나우암인 · 퓌러붕커 · 켈슈타인하우스
기타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히틀러의 성공시대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

파일:히틀러의 성공시대_1.jpg 파일:히틀러의 성공시대_2.jpg

1. 개요2. 특징3. 비판

1. 개요

십자군 이야기, 한나라 이야기 등으로 유명한 김태권의 만화.

2012년 1월 28일부터 2013년 3월 8일까지 한겨레매주 토요일 연재됐던 작품.

듣보잡 정치인에 불과했던 아돌프 히틀러가 정권을 잡는 과정을 그린 만화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굉장히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히틀러는 김태권의 세계인물 캐릭터 열전 2010년 7월 23일자의 소재이기도 했다. 이 글에서 작가는 "왜 아돌프 히틀러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것을 막지 못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실제로 연재되고 있는 만화를 보면 이 질문에 대한 나름 고민해보고 싶은 듯. 2013년 3월 8일로 종료, 마침내 2권의 단행본으로 나왔고 세트본은 작가의 사인이 들어가 있다. 김태권 작가의 첫 완결작.

히틀러를 비교적 본격적으로 다룸에도 불구하고 총통 히틀러가 제대로 안 나오는 물건이면서, 동시에 이게 미완성이 아니라 메롱 작가로 유명한 김태권의 첫 완결작이라는 것이 이채롭다. 전 2권 완결. 캐리커처적이면서도 당시를 나름대로 열심히 고증하는 그림체도 여전하다. 전작 십자군 이야기에 비해 패러디를 확실히 줄이면서[1] 보다 깔끔하게 볼 수 있다. 음모드립은 꽤 히트쳤다 그리고 아저씨스러운 말투도 여전하다

등장인물 이름과 웃음소리를 엮은 썰렁 개그가 많다. '히, 히, 히, 히틀러', '후, 후, 후, 후겐베르크', '헤, 헤, 헤, 헤르만 괴링', '슐라이허, 허, 허', '파하핫, 파펜' 등이 그렇다. 사실 김태권 개그가 다 그렇다

2. 특징

김태권 자체가 역사적 인물들을 코믹하게 희화화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주목할만한 점은 히틀러 역시 신비스럽고 공포스러운 모습이 아니라 한심하고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그렸다는 것.

많은 매체에서 히틀러를 뭔가 특별하고 신비스러운, 마치 일반적인 정상인들과는 다른 외계인처럼 그려진 것과는 정반대로, 히틀러의 성공시대에서는 히틀러를 일반적인 바보, 멍청이들과 전혀 다를 바 없는 인물로 그렸다.

여기에는 작가의 의도가 담겨있다고도 볼 수 있는데, 히틀러를 신비하고 특별한 인물이 아니라 현대 사회에도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반적인 바보로 그려냄으로서 일종의 "히틀러는 외계인 같은게 아니다. 고로, 우리 사회에서도 흔히 나올 수 있을 법한 인물이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다고 볼 수 있다.[2]

'히틀러'하면 보통 2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만 떠올리던 일반인들에게 바이마르 공화국의 민주주의 붕괴와 히틀러의 집권 과정을 쉬우면서도 상세히 소개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하다.

독일 근현대사에 처음 입문하거나 간단한 배경지식을 얻고자 한다면 좋은 책이지만 너무 진지하게 내용을 받아들이지는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묘하게 색감이 20세기 초반의 포스터 등에서 볼 수 있는 색감과 비슷하며, 이 만화의 경우 그림체가 스칸디나비아와 세계와 어느 정도 비슷하다고 하는 독자도 일부 있다.

3. 비판

서문에서는 진보언론인 한겨레 독자층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으려고 했다라고 썼지만 내용은 독자층에 아주 충실한 편이다.

나치당좌파들에 대한 개념 이해 자체가 부족했던 것인지 1923년 이후 히틀러 1인 지배 정당을 마치 반 히틀러 성향의 좌파가 있는걸로 묘사하는데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이 부분은 나치당 이념성향 참고. 그리고 나치당을 비롯한 우파에도 반 자본주의 성향이 강했기 때문에 그냥 우파 자본주의 우꼴타령은 조금 지나친 편이다.

특히 나치당 좌파에 대하여 괴벨스, 슈트라서 등에 대한 왜곡이 있다. (즉, 당내 좌파로 히틀러와 대립했다)을 담고 있고, 특히나 원래 좌파였던 괴벨스가 나치당내 좌파 뒷통수 치고 히틀러 지지자로 전향했다는건 김태권이 참고 도서로 써놓은 랄프 게오르그 로이트《괴벨스, 대중선동의 심리학 》, 이언 커쇼의 《히틀러Ⅰ,Ⅱ》원래 괴벨스는 히틀러의 팬이었다며 근거 없다고 써놓은 것을 작가가 이해가 부족해서인지 아니면 정말로 왜곡을 하려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틀린 내용을 적어놨다. 몇가지 예를 더 들면

다만 애초에 책의 내용이나 분위기만 살펴보아도 이 책에서 절대적으로 옹호되는 것은 사회민주당과 나치 이전의 바이마르 공화국이다. 막판에 나치가 이것저것 잡아들이는 부분에서도(공산주의자를 잡아들이고...사회민주주의자를 잡아들이고...) "사회민주당은 왜?"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다. 풍자가 많이 들어가다보니 복잡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독자들도 어떻게 하면 당시 한국 정권과 나치가 공통점이 있어야 된다며 연구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었고 말이다)

김태권 입장을 옹호하는 측에선 오히려 공산당을 옹호하려면 사회민주당을 비하해야 한다. 실제 공산당의 관점에서는 사민주의만한 웬수가 없는데 우파랑 손잡고 공산당 때려잡거나 노동자들의 불만을 해결못하는 등 정 공산당을 옹호하려면 사회민주당을 비하할 주장은 널리고 널렸다. 당시 공산당에 가담한 노동자들의 시선도 "사민당은 말만 좌파지 아무것도 해결 못한다"였다.

그렇지만 이것은 쉽게 반박할 수 있다. 공산당 성향의 노동자그룹이 있으나, 공산당 지지는 득표율로 봐선 바이마르 공화국은 계급투표 성향도 있지만 지역성향과 종교성향이 뚜렷했다.[3] 공산당 지지비율은 당시 비기독교인 비율과(15%) 거의 근접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내내 노동조합의 사회민주당 지지는 굳건했다. 어쨌든 작가 성향이 공산당은 곁가지로 보아 까는 걸 포기했다치고 온건 우파 정당과 온건좌파 사회민주당 정권의 당위성도 별로 보여주지 못한다.


[1] 없다고는 못하겠다.[2] 이 책의 마지막에도 "우리 사회는 안전할까? 정말로?"라는 일종의 경고의 메시지가 나온다.[3] 가톨릭 신도들은 가톨릭 중앙당만 죽어라 찍고, 바이에른 인민당(현재 기독교 사회당 전신)같은 지역정당들도 난립했다. 나머지 우파 정당은 바이마르 말기 나치로 쏠린다. 좌파 성향의 기독교인들은 절대 무신론을 표방한 공산당을 찍지 않았다.[4] 크루프사의 데릴사위로 들어가서 티센크루프로 합병한다. 나치당이 정권을 잡기전부터 히틀러 빠로 유명했고 재정지원을 해줬다가 1939년 돌연 "히틀러에게 속았다" 드립을 치며 외국으로 망명한다.[5] 나치당 당명이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이다.[6] 현재 인구 8000만 독일에서 가장 권위있는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이 60만부에 불과하다. 조중동-매경이 600만부씩 찍어대는 우리나라랑 전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