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75deg, #eda702, #073E90, #EC2720, #32a847)"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color=#fff> 조별리그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대한민국 경기 (D조) 폴란드전 (1차전) · 미국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 |||||||||
주요 경기 프랑스 vs 세네갈 (A조) | |||||||||
결선 토너먼트 | 16강 | 8강 | 준결승, 3PO | 결승 | |||||
대한민국 경기 이탈리아전 (16강) · 스페인전 (8강) · 독일전 (준결승) · 터키전 (3위 결정전) | |||||||||
대회 이후 | 결산 (대한민국 · 프랑스) | }}}}}}}}}}}} |
[clearfix]
1. 대륙별 8강 진출국
1.1. AFC(아시아) - 1/2
국가 | 16강 결과 | |
대한민국 | 16강 4경기 승 | |
일본 | 16강 8경기 패 |
같이 16강까지 올라온 일본은 튀르키예와 분전 끝에 0:1로 패배하여 최종 순위 9위로 마쳤다.[2]
1.2. UEFA(유럽) - 4/9
국가 | 16강 결과 | |
독일 | 16강 1경기 승 | |
스페인 | 16강 3경기 승 | |
잉글랜드 | 16강 5경기 승 | |
터키 | 16강 8경기 승 | |
아일랜드 | 16강 3경기 패 | |
이탈리아 | 16강 4경기 패 | |
덴마크 | 16강 5경기 패 | |
벨기에 | 16강 6경기 패 | |
스웨덴 | 16강 7경기 패 |
1.3. CAF(아프리카) - 1/1
국가 | 16강 결과 | |
세네갈 | 16강 7경기 승 |
1.4. CONCACAF(북중미/카리브) - 1/2
국가 | 16강 결과 | |
미국 | 16강 2경기 승 | |
멕시코 | 16강 2경기 패 |
1.5. CONMEBOL(남미) - 1/2
국가 | 16강 결과 | |
브라질 | 16강 6경기 승 | |
파라과이 | 16강 1경기 패 |
2. 8강 토너먼트
2.1. 1경기: 잉글랜드 1 : 2 브라질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1경기 2002.06.21.(금) 15:30 (UTC+9) | ||
시즈오카 스타디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 ||
주심: 펠리페 리조 라모스 | ||
1 : 2 | ||
잉글랜드 | 브라질 | |
23' 마이클 오언 | 득점 | 45+2' 히바우두 50' 호나우지뉴(FK) |
- | 퇴장 | 57′ 호나우지뉴 |
관중: 47,436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히바우두 |
중계 방송 | ||
서기철 | 허정무 | |
임주완 | 김주성 | |
SD | HD | 손석기 | 곽성호 |
박영웅 | 오일영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MBC 하이라이트 영상 |
여담으로 브라질이 2002년 한일 월드컵 본선에서 어웨이 유니폼을 입고 치른 경기는 이 경기가 유일했다. 나머지 경기에서는 모두 홈 유니폼을 입었다.
2.2. 2경기: 독일 1 : 0 미국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2경기 2002.06.21.(금) 20:30 (UTC+9)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 ||
주심: 휴 달라스 | ||
1 : 0 | ||
독일 | 미국 | |
39' 미하엘 발락 | 득점 | - |
관중: 37,337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클라우디오 레이나 |
중계 방송 | ||
전인석 | 이상철 | |
최창섭 | 차범근 | |
SD | HD | 송재익 | 신문선 |
박상도 | 김성남 |
중계 방송 | ||
시청률 32.2%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녹슨 전차군단이라는 비아냥을 듣던 독일이지만, 조별예선 아일랜드전을 제외하고는 무실점으로 의외의 선전을 하고 있었고, 미국 역시 포르투갈, 멕시코라는 강호들을 연속으로 제압하고 8강에 진출하면서 격돌했지만, 올리버 칸이라는 역대 최강급 괴물 골키퍼를 기반으로한 독일의 강력한 수비진은 허물지 못하고, 미하엘 발락의 헤딩골에 패배. 미국이 시종일관 골을 점유했고 슈팅 횟수도 훨씬 앞섰지만, 막강한 수비와 역습, 그리고 세트플레이로 정말 단순하지만 강력한 축구를 보여주는 독일을 넘지는 못했다. 그러나 미국이 독일을 훨씬 압도하는 경기력을 보여줌으로써 세계인들에게 미국 축구에 대한 강한 인상을 남긴 경기였다. 확실히 4년 전의 맞대결과 비교해 보면 미국은 180도 달라졌다.
사실 독일이 앞선 경기였다고 하지만 칸의 선방이 아니었다면 미국이 독일을 잡고 4강에 진출했을 가능성도 컸던 경기다. 미국에게도 기회가 여러 차례가 있었지만...
한편 이 경기에서도 결정적인 오심이 터졌다. 후반 초반 클라우디오 레이나의 코너킥을 받은 미국 수비수 그레그 버홀터[6]가 골문 안으로 차 넣은 유효 슈팅이 독일의 미드필더 토르스텐 프링스의 손을 맞고 나온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미국에 페널티킥을 줘야 될 상황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골로 인정해야 될 상황이었으나, 스코틀랜드 출신 주심 휴 달라스가 오심으로 그냥 넘어감으로써 미국 입장에서는 1골을 도둑맞은 셈이 됐다.
만약 미국이 독일을 이기고 4강에 진출했다면 브라질 대 터키전처럼 한국과의 리턴매치가 성사될 수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국이 대한민국을 이기고 결승전에서도 브라질을 이기고 월드컵 첫 우승을 따낼 수도 있었던 유일한 월드컵이 2002년 한일 월드컵이었다.
2.3. 3경기: 스페인 0 (A.E.T. 3 : 5 PSO) 0 대한민국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3경기 2002년 6월 22일 토요일 15:30 (UTC+9) | ||
광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 ||
주심: 가말 간두르 | ||
관중: 42,114명 | ||
0 : 0 A.E.T. (PSO 3 : 5) | ||
스페인 | 대한민국 | |
- | - | |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경기 최우수 선수: 이운재 |
승부차기 | ||||
스페인 GK: 이케르 카시야스 | 3 : 5 | 대한민국[7] GK: 이운재 | ||
후축 | 선축 | |||
페르난도 이에로 | 1 | [8] | 황선홍 | |
루벤 바라하 | 2 | 박지성 | ||
사비 에르난데스 | 3 | 설기현 | ||
호아킨 산체스 | (골키퍼 선방) | 4 | 안정환 | |
- | 5 | 홍명보 |
2.4. 4경기: 세네갈 0 (A.S.D.E.T.) 1 터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4경기 2002.06.22.(토) 20:30 (UTC+9) | ||
나가이 육상경기장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 ||
주심: 오스카르 루이스 | ||
| 0 : 1 (서든데스 연장전) | |
세네갈 | 터키 | |
- | 득점 | 94′ 일한 만시즈(골든골) |
관중: 44,233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하산 사슈 |
중계 방송 | ||
최승돈 | 최경식 | |
HD | 박영웅 | 오일영 |
SBS 하이라이트 영상 |
3. 총평
이번 대회 돌풍의 주역인 대한민국과 세네갈은 8강에서 엇갈린 운명을 맞았다. 먼저 대한민국은 스페인보다 이틀을 덜 쉬었고 이탈리아와 117분 동안 격투기에 가까운 혈투를 벌인 탓에 체력적으로 지쳐 있었다. 그러나 선수들의 투지와 수문장 이운재의 맹활약에 힘입어 스페인의 막강한 파상 공세를 120분 동안 잘 막아내며 무실점으로 틀어막아 승부차기까지 끌고 갔다. 그리고 승부차기 끝에 스페인을 5 : 3으로 제압하고 아시아 최초 4강 진출에 성공했다.세네갈 역시 프랑스와 스웨덴 등 어려운 상대들을 만나 여기까지 오느라 체력적으로 많이 지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키를 상대로 잘 싸우며 90분 동안 0 : 0으로 버텨냈다. 그러나 연장전 전반 4분 만에 일한 만시즈에게 골든골을 얻어 맞으며 결국 0 : 1로 패배해 아프리카 최초 4강 신화 달성에는 실패했다. 그런데 이렇게 첫 출전에 8강 신화를 쓴 세네갈은 이후 16년 동안 월드컵 무대에 등장하지 못했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야 다시 등장했다.
한편, 미리 보는 결승전으로 불렸던 브라질과 잉글랜드의 경기에선 끝내 브라질이 2 : 1로 승리했다. 잉글랜드는 원더보이 마이클 오언이 선제골을 넣으며 기선제압에 성공했으나 전반전 종료 직전 히바우두의 기습적인 동점골과 후반 5분, 호나우지뉴의 기묘한 프리킥 결승골을 허용하며 분루를 삼켰다. 다만, 호나우지뉴는 이 골을 넣고 대니 밀스의 발을 고의로 밟는 반칙을 해서 그만 가린샤 클럽 멤버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매 경기 1골 이상을 넣을 것이라는 선언을 했던 호나우두는 이 경기에서만큼은 골을 넣지 못하고 에디우송과 교체돼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독일과 미국의 경기는 예상대로 미하엘 발락의 결승골로 독일이 1 : 0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내용은 역시 썩 만족스럽지 못했다. 조별리그에서만 5골을 넣으며 득점왕 후보에 올랐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16강에 이어 이 경기에서도 완벽하게 침묵했다. 전반 43분에 클로제가 미국 문전을 향해 헤딩슛을 날렸으나 미국의 골대를 맞고 나와 클로제의 득점 신기록 작성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리고 경기 주도권은 오히려 미국이 쥐고 있었으며 미국 수비수 그레그 버홀터가 골문 안으로 차 넣은 유효 슈팅이 토르스텐 프링스의 손을 맞고 나온 상황이 벌어졌다. 미국에 페널티 킥을 줘야 될 상황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골로 인정해야 될 상황이었으나 스코틀랜드 출신 주심 휴 달라스가 오심으로 그냥 넘어감으로써 미국 입장에서는 1골을 도둑 맞은 셈이 됐다. 즉, 독일은 수문장 올리버 칸과 발락 둘이서 하드캐리한 덕에 간신히 이길 수 있었다.
스페인이 월드컵 5위, 잉글랜드가 월드컵 6위로 4강 진출에 실패하면서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8강에서 대륙별 예선 1위 팀이 전멸했다.[9]
여담으로, 만약 세네갈과 미국이 각각 터키와 독일을 이기는 데 성공했다면 유럽 팀이 8강에서 전멸하고 4강 진출팀들이 모두 다른 대륙 출신이 되는 진기록이 탄생했을 것이고, 미국은 대한민국과 4강에서 다시 만났을 것이다.
[1] 첫 번째는 북한이었으나, 이는 조별리그가 16개 국가이던 시절 1승을 따내어 가까스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물론 당시 북한 조에는 전설의 골키퍼인 레프 야신이 있는 강팀 소련이 있었다는걸 감안하면 그리 만만한 난이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 중에서 결선 토너먼트에 올라와서 1승을 거두고 다음 라운드에 올라온 것은 남한이 처음이자 2025년 현재까지도 유일하다.[2] 이로 인해 대한민국이 유일한 아시아 8강 진출팀이 되었으며, 對 스페인전에서 붉은 악마 서포터즈는 이를 기념하여 Pride of Asia라는 카드 섹션을 걸었다.[3] 그리고 호나우두는 이 경기에서 상당히 지쳐있는지 후반 중반에 에디우송과 교체됐다. 이후 나머지 두 경기에서 터진 세 골(준결승 터키전 1골 + 결승 독일전 2골)은 모두 호나우두가 넣었다.[4] 여담으로 호나우두는 유일하게 한 골도 넣지 못했던 이 잉글랜드와의 8강전에서 역시 유일하게 어웨이 유니폼을 입었다.[5] 프리츠 발터는 2002년 6월 17일 사망했다. 과거에는 영어식으로 프리츠 월터로 읽기도 했다.[6] 2019년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다.[7] 대한민국의 키커 5명은 우연일수도 있지만 키커 5명 전원이 모두 월드컵 본선에서 골을 넣은 경험이 있는 선수들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홍명보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은 이 대회에서 이미 득점을 기록했던 선수들이다.[8] 이케르 카시야스의 옆구리를 스치고 골라인 통과.[9] 터키와 독일은 각각 스웨덴과 잉글랜드에 밀려 유럽 플레이오프를 거쳐 올라왔고, 브라질은 아르헨티나와 에콰도르에 밀려 조 3위로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