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삼성 라이온즈/2025년/7월]]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2025년 7월 20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열린 키움 히어로즈와 삼성 라이온즈의 9차전 경기에 대해 정리한 문서.2. 선발 라인업
9차전 양팀 선발 라인업 | ||||
키움 히어로즈 | 타순 |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ffffff> 포지션 | 선수명 | 선수명 | 포지션 | |
3루수 | 송성문 | 1 | 류지혁 | 2루수 |
좌익수 | 임지열 | 2 | 김성윤 | 중견수 |
중견수 | 이주형 | 3 | 구자욱 | 지명타자 |
1루수 | 최주환 | 4 | 디아즈 | 1루수 |
우익수 | 스톤 | 5 | 김영웅 | 3루수 |
지명타자 | 주성원 | 6 | 김태훈 | 좌익수 |
유격수 | 어준서 | 7 | 강민호 | 포수 |
포수 | 김건희 | 8 | 이성규 | 우익수 |
2루수 | 전태현 | 9 | 이재현 | 유격수 |
투수 | 알칸타라 | SP | 후라도 | 투수 |
| ||||
LF | CF | R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 ||
| ||||
LF | CF | R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 ||
3. 스코어보드
| 2025 신한 SOL Bank KBO 리그 2025 Shinhan SOL Bank KBO League | ||||||||||||||||||||||||
7월 20일 18:00 ~ 21:42 (3시간 40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관중: 24,000명 (매진)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 알칸타라 | 1 | 0 | 1 | 5 | 0 | 0 | 0 | 3 | 0 | 10 | 13 | 2 | 7 | |||||||||||
키움 | |||||||||||||||||||||||||
| 후라도 | 1 | 0 | 2 | 0 | 2 | 4 | 4 | 2 | - | 15 | 15 | 1 | 3 | |||||||||||
삼성 | |||||||||||||||||||||||||
승리: 이승현 · 패배: 이준우 | |||||||||||||||||||||||||
중계방송 채널: | |||||||||||||||||||||||||
<colcolor=#ffffff> 주요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5,#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c0c0><colcolor=#ffffff> 결승타 | 이재현(6회 1사 1루서 우월 홈런) | |||||||||||||||||||||||
홈런 | 디아즈30호31호(3회2점 7회1점 알칸타라 조영건), 스톤2호(4회3점 후라도), 구자욱13호(5회2점 알칸타라), 김영웅9호(6회1점 알칸타라), 김태훈2호(6회1점 알칸타라), 이재현10호(6회2점 이준우), 이성규3호(7회2점 조영건), 최주환7호(8회3점 김태훈) | ||||||||||||||||||||||||
3루타 | 임지열(1회) | ||||||||||||||||||||||||
2루타 | 구자욱2(1 3회), 김건희(4회) | ||||||||||||||||||||||||
실책 | 김영웅(4회), 어준서(6회), 전태현(7회) | ||||||||||||||||||||||||
도루 | 이주형(3회), 송성문(5회) | ||||||||||||||||||||||||
도루자 | 김건희(7회) | ||||||||||||||||||||||||
주루사 | 디아즈(5회) | ||||||||||||||||||||||||
병살타 | 임지열(2회), 강민호(8회) | ||||||||||||||||||||||||
심판 | 최수원, 권영철/ 차정구, 김갑수 | }}}}}}}}}}}} | |||||||||||||||||||||||
투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5,#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키움 히어로즈 투수 기록 | ||||||||||||||||||||||||
<rowcolor=#ffffff> 선수명 | 결과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 | ERA | |||||||||||||||
알칸타라 | 5 | 79 | 10 | 4 | 0 | 4 | 7 | 7 | 3.86 | ||||||||||||||||
이준우 | 패 | ⅓ | 21 | 1 | 1 | 1 | 1 | 2 | 1 | 7.48 | |||||||||||||||
박윤성 | ⅔ | 10 | 0 | 0 | 0 | 1 | 0 | 0 | 4.7 | ||||||||||||||||
조영건 | ⅓ | 21 | 2 | 2 | 1 | 0 | 4 | 3 | 6.79 | ||||||||||||||||
윤석원 | ⅔ | 16 | 2 | 0 | 1 | 1 | 2 | 2 | 12.19 | ||||||||||||||||
오석주 | 1 | 11 | 0 | 0 | 0 | 0 | 0 | 0 | 5.7 | ||||||||||||||||
TOTAL | 8 | 158 | 15 | 7 | 3 | 7 | 15 | 13 | 14.63 | ||||||||||||||||
삼성 라이온즈 투수 기록 | |||||||||||||||||||||||||
<rowcolor=#fff> 선수명 | 결과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 | ERA | |||||||||||||||
후라도 | 4 | 95 | 11 | 1 | 2 | 2 | 7 | 2 | 2.82 | ||||||||||||||||
이승민 | 1 | 22 | 0 | 0 | 1 | 2 | 0 | 0 | 4.41 | ||||||||||||||||
이승현 | 승 | 1 | 12 | 0 | 0 | 0 | 1 | 0 | 0 | 7.71 | |||||||||||||||
배찬승 | 홀드 | 1 | 21 | 0 | 0 | 2 | 2 | 0 | 0 | 4.19 | |||||||||||||||
김태훈 | ⅓ | 23 | 2 | 1 | 2 | 1 | 3 | 3 | 4.01 | ||||||||||||||||
양창섭 | 홀드 | ⅔ | 11 | 0 | 0 | 0 | 2 | 0 | 0 | 5.14 | |||||||||||||||
이호성 | 1 | 19 | 0 | 0 | 0 | 3 | 0 | 0 | 5.44 | ||||||||||||||||
TOTAL | 9 | 203 | 13 | 2 | 7 | 13 | 10 | 5 | 5 | }}}}}}}}}}}} |
4. 경기 내용
경기 하이라이트 |
4.1. 1회 ~ 3회
1회에 이주형의 적시타와 디아즈의 희생 플라이로 양 팀이 각각 1득점씩 하면서 출발했다. 3회 초 디아즈의 실책성 수비와 주성원의 내야안타로 키움이 1점을 추가,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3회 말 디아즈가 투런 홈런을 쳐내 재역전했다.4.2. 4회 ~ 5회초
4회 초 후라도가 선두 타자 김건희에게 2루타를 맞았으나 이후 2아웃까지 잘 잡았다. 그러나 2아웃 상황에서 임지열의 타구를 3루수 김영웅이 놓치면서 동점을 허용했다. 이 실책은 어마어마한 스노우볼로 굴러왔는데, 최주환의 적시타와 스톤의 쓰리런 홈런이 나오며 실책 하나가 5실점을 불러오고 말았다. 그렇게 점수차는 4점차까지 벌어졌고 분위기가 키움 쪽으로 기우는 듯했다.4.3. 5회말 ~ 7회
그러나 삼성이 무서운 기세로 추격을 시작했다. 5회 말에 구자욱의 투런 홈런이 나오며 격차를 2점차까지 좁혔다. 그리고 6회 말에 김영웅-김태훈의 백투백 홈런으로 동점을 만들더니 이재현의 투런포까지 터지며 역전에 성공했다. 역전한 후에도 삼성 타선은 폭주를 멈추지 않았고 7회 말에 디아즈의 홈런, 강민호의 희생 플라이, 이성규의 투런 홈런으로 점수차를 6점까지 벌렸다. 한편 키움 타선은 5, 6, 7회 내내 침묵하며 역전을 막지 못했다. 특히 7회가 아쉬웠는데, 배찬승이 흔들리며 2아웃 1, 2루 상황이 되었으나 김건희가 어이없게 견제에 걸려 주루사를 당해 이닝이 끝나 버렸다.4.4. 8회 ~ 9회
8회 초 김태훈이 안타와 볼넷을 내주며 불안하게 시작했고, 결국 최주환이 쓰리런 홈런을 쳐내 점수차가 3점차로 줄었다. 그러나 삼성이 8회 말 디아즈의 적시타와 김태훈의 야수선택 출루로 2점을 더 뽑아내며 점수차를 5점으로 다시 벌렸다. 이후 9회 초를 마무리 투수 이호성이 KKK로 끝내며 삼성이 승리했다.5. 총평
장타와 뒷심의 중요성이 돋보였던 경기. 양 팀의 선발 투수 후라도와 알칸타라는 똑같이 7실점으로 털렸고 안타 개수도 키움 13개, 삼성 15개로 비슷했다. 심지어 사사구는 키움이 더 많이 얻어냈다. 결국 차이는 홈런에서 나왔다. 삼성은 홈런을 무려 7개나 치며 홈런으로만 키움 타선이 낸 전체 점수를 뛰어넘는 11점을 냈다. 특히 6회 말에 홈런 3개가 몰아서 나온 것이 결정적이었다. 뒷심 차이도 돋보였는데, 키움 타선은 초반에 후라도를 두들겨 패며 먼저 7점을 냈지만 이후 8회에 3득점한 것 외에는 삼성 불펜진에 막히며 점수를 더하지 못했다. 반면 삼성은 어이없는 실책으로 한 이닝에 5실점을 허용하며 자칫 분위기가 가라앉을 수 있었지만 후반에 홈런과 안타를 몰아치며 야금야금 따라왔고, 결국 5~8회에만 12득점을 기록, 역전승했다.6. 여담
- 양팀은 원래 4연전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폭우로 3경기가 내리 취소되면서 선발 로테이션이 계속 밀리고 야수들도 정상적인 훈련이 불가능해 실전 감각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선발 투수들은 컨디션을 망친 데다가 좋지 않은 마운드 상태까지 겹치며 각각 7실점으로 부진했다. 야수진은 수비 실책이 총 3개 나오는 등 수비에서는 감각이 떨어진 모습이었으나 타격에서는 도합 28안타 9홈런을 기록하며 취소된 경기에서 쳐야 했을 안타까지 몰아쳤다.
- 삼성 라이온즈는 이날 경기에서 무려 한 경기 홈런 7개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팀 역사상 2위에 해당하는 진기록이다.[2] 또한 이 경기로 2025 시즌 팀 홈런 100개를 10개 구단 중 가장 먼저 달성했다.
- 이 경기를 끝으로 키움 히어로즈의 대체 외인 타자 스톤 개랫이 은퇴 의사를 밝혀 이 경기가 그의 커리어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스톤은 4타수 2안타(1홈런) 3타점으로 맹활약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