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20:00:38

BNK FearX/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NK FearX/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BE400><tablebgcolor=#FBE400> 파일:FearX 로고.svgBNK FearX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FBE4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am BattleComics 2017 2018
SANDBOX Gaming 2019
2020
Liiv SANDBOX 2021 2022 2023
FearX 2024
BNK FearX 2024
}}}}}}}}} ||
BNK FearX 역대 시즌
Liiv SANDBOX
2023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1. 개요2. LCK 스토브리그/20233.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3.1. 1라운드3.2. 2라운드3.3. 스프링 총평
4.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4.1. 1라운드
5. 팀별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BNK FearX의 2024 시즌을 다룬 문서.

2. LCK 스토브리그/2023

서머가 끝난 직후 당무와 계약이 종료되었다.

이후 별 소식이 없다가 월즈가 진행되던 시기에 LEC 팀 아스트랄리스의 서포터였던 정훈과 계약에 합의했다는 루머가 나왔으며, C9조조편과 구두 계약까지 도달했다가 C9이 오퍼를 더 올리는 바람에 영입이 무산됐다는 소식도 들려왔다.#

스토브리그가 개장하자마자 클리어, 윌러와 2025년까지 재계약을 발표했고, 1군의 버돌, 클로저, 테디, 카엘, 김다빈 1군 코치, 그리고 2군의 따혁, 구티, 플랜B심영보 2군 감독과 계약이 종료되었다. 11월 23일에는 헤나와 정훈의 영입이 발표되었으며, 11월 25일 클로저와의 재계약도 발표하면서 1군 로스터가 확정되었다.

2군은 새 탑 라이너로 DRX 3군 출신의 야누스[1], 미드 라이너엔 LCO 팀 블리스 출신의 데이스타, 서포터에는 샌드박스 유스 출신이자 한화생명 2군에서 활동했던 듀로를 영입했으며, 이후 12월 5일 빈센조와 계약을 종료했지만 곧바로 브리온 출신의 랩터를 영입하며 2군 선수단 구성을 마무리했다.

2023년 12월 29일에는 감독과 2025년까지 계약을 연장했고, 박준석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팀 감독이 2군 감독으로 부임했다.[2]

2024년 1월 4일 발표된 로스터에서 김우섭 코치가 2군 서브 정글러로 이동했는데, 이는 통합 로스터 최소 11인 규정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 시즌 도중 운영사 SBXG가 4by4에 인수되고, KB국민은행과의 네이밍 스폰서십이 2023년을 끝으로 종료되면서 12월 15일 Goodbye SANDBOX Gaming 행사를 열고 이 자리에서 새로운 팀명 FearX로 리브랜딩을 발표함에 따라 이번 시즌부터는 FearX로 활동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준수한 폼을 보이던 클리어-윌러-클로저 3인방을 잔류시켰고, 부진을 면치 못하던 바텀 듀오를 브리온의 베테랑 선수 헤나와 LEC 출신 엑스큐트로 교체하였다. 로스터에 대한 평가는 갈리는 편이지만 대체로 한정된 자원 속에서 합리적이면서도 팀 컬러를 유지할 수 있는 라인업을 꾸렸다는 평가가 많으며, 커즈를 영입한 광동과 플옵권 진출을 놓고 다툴 것으로 보인다.

3.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FearX
파일:2024 FOX.png
감독 [[류상욱|유상욱
Ryu
]]
코치 [[최두성|최두성
DooTi
]]
분석 [[이영남(e스포츠)|이영남
Yvon
]]
로스터
<colbgcolor=#FBE400><colcolor=#000> 파일:TOP_icon_grf.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현민(프로게이머)|송현민
Clear
]]
파일:JGL_icon_grf.pn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현(2003)|김정현
Willer
]]
파일:MID_icon_grf.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현(프로게이머)|이주현
Clozer
]]
파일:ADC_icon_grf.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증환|박증환
Hena
]]
파일:SUP_icon_grf.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훈(2000년 2월)|이정훈
Execute
]]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경기 결과표
라운드 1라운드 R
1



2라운드 R
2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2023-2024).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2023-2024)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 주황).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 주황).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2023-2024).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2023-2024) 화이트.svg
세트 0 2 0 2 2 0 1 0 0 0 0 1 0 1 2 2 1 2
2 0 2 1 1 2 2 2 2 2 2 2 2 2 0 1 2 0
결과
전적 0 1 1 2 3 3 3 3 3 3 3 3 3 3 3 4 5 5 6 6
1 1 2 2 2 3 4 5 6 6 7 8 9 10 11 11 11 12 12 12
득실 -2 0 -2 -1 0 -2 -3 -5 -7 -7 -9 -11 -12 -14 -15 -13 -12 -13 -11 -11
순위 8 7 6 6 6 6 6 7 7 7 7 7 7 7 8 7 7 7 7 7

3.1. 1라운드

3.2. 2라운드

3.3. 스프링 총평

서부팀 상대로 매치 전패를 기록할 정도로 매우 부진했으나 동부팀 상대로는 1승 1패씩 기록한 광동, 농심을 제외하고 전부 승리를 거뒀고 2라운드 들어서 디플러스 기아와 한화생명을 상대로도 세트승이라도 따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에는 부족했고 결국 7위로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

이 팀의 스프링 시즌을 평가하자면 LCK의 박치기 공룡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분명 초반에는 킬을 올리면서 날카로운 설계를 통해 서부팀, 그 중에서도 최상위권인 T1과 젠지조차도 위기로 몰아넣을 뻔하기도 했으나, 번번히 한타에서 박치기를 하는 바람에 초반 이득을 전부 날려버리는 방식이 지속되었다. 그나마 동부팀들을 상대로는 이러한 방식이 잘 먹혀 승수를 많이 쌓을 수 있었지만 광동과 농심을 상대로도 1패씩 거둬 플옵 진출 실패에 영향을 미쳤으니 보완해야 될 점은 분명하다.

선수 개개인을 살펴보자면 클로저는 메이지 챔피언의 숙련도와 스킬샷 문제를 여전히 극복하지 못했고 윌러는 진 경기에서 초반 이득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모습이 나왔으며 신입생 엑스큐트는 유럽 출신답게 슈퍼 플레이와 쓰로잉을 번갈아가며 하는 유럽잼을 선보이면서 팀컬러가 박치기 공룡팀으로 변하게 되는 데에 일조했다. 그나마 클리어와 헤나는 매번 안정적인 폼을 보여주고, 어떨 때는 폭발적인 기량을 보여주면서 팀의 승리를 이끄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위의 클로저와 월러, 엑스큐트도 고점이 폭발하면 경기를 캐리하는 모습을 보이니 이 점은 피어엑스에게 긍정적인 전망이다.

서머에서 반등을 노리려면 앞서 말한 문제점들을 어느정도는 수정해야 플레이오프 막차를 탈 수 있을 것이다.

4.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BNK FearX
파일:2024 FOX summer.png
감독 [[류상욱|유상욱
Ryu
]]
코치 [[최두성|최두성
DooTi
]]
분석 [[이영남(e스포츠)|이영남
Yvon
]]
로스터
<colbgcolor=#FBE400><colcolor=#000> 파일:TOP_icon_grf.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현민(프로게이머)|송현민
Clear
]]
파일:JGL_icon_grf.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어진|전어진
Raptor
]]
파일:MID_icon_grf.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현(프로게이머)|이주현
Clozer
]]
파일:ADC_icon_grf.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증환|박증환
Hena
]]
파일:SUP_icon_grf.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훈(2000년 2월)|이정훈
Execute
]]

스프링 시즌 종료 후, 북미의 전통 강팀 Cloud9과의 친선전, BNK네이밍 스폰서 계약으로 BNK FearX로 팀명을 변경하고 오클리, 에어부산과 계약하는 등의 굵직한 사건이 있었으며, 이번 서머에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려면 윌러와 클로저,엑스큐트의 폼 상승이 절실한 상황이다.

2024년 6월 10일, 랩터가 1군으로 콜업되고 윌러가 2군으로 샌드다운되었다. # 윌러는 피어엑스의 차기 프렌차이즈 스타라며 영상에서 내세웠는데, 어째서 랩터를 콜업하고 윌러를 샌드다운했는지 의문이 돌고 있다.[3]

4.1. 1라운드

치열한 승부였지만 갓 콜업된 랩터의 활약과 클리어의 분전을 앞세워 2:1로 기분 좋게 첫 승을 거두었다. 스프링 때 지적되었던 과도한 공격성이 어느 정도 정제된 듯 무리하는 모습이 줄었고 팀적으로 단단한 교전 합을 보여주며 농심을 제압했다.
예상대로 젠지의 압도적 승리였다. 그러나 특유의 박치기 공룡 전략이 한타에서 몇 번 위력을 발휘하면서 젠지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다. 아쉽게 2세트에서 장로를 빼앗기며 패배했지만, 피어엑스의 전략이 충분히 강팀들에게도 통한다는 것을 보여준 경기였다.
상성상 매우 유리했고 스프링 때도 더블을 따냈기에 우세로 평가받았으나 그 때보다도 큰 폭의 성장을 이룬 DRX에게 0:2로 박살이 나면서 플옵 경쟁에 제대로 적신호가 켜졌다. 정글-서폿의 부진도 심각했지만 박치기 공룡이라는 플레이 스타일이 무색하게 계속 공략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아쉬움을 샀다.

5. 팀별 둘러보기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2024 시즌 팀별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GEN T1 KT DK HLE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BNK FearX 로고.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 주황).svg
DRX FOX BRO NS KD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4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스토브리그 중 쭈니에서 변경[2]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팀 감독직을 겸임한다.[3] 게다가 무려 팀의 주장이 2군으로 내려간 상황이다. 공백이 된 주장의 자리는 클로저 또는 헤나가 유력해 보였는데, 미디어데이나 여러 행사에 헤나가 대표로 참석한 것을 보면 아무래도 1군의 임시 주장은 헤나가 맡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