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전략) 정치를 유지하기 위한 반혁명전 도구였다. 부흥사(남의사와 그 후신 조직을 의미)의 중요한 골간은 하충한[1], 다이리등이었고. CC단의 수령은 천궈푸,천리푸였다. 그러나 이 두 개조직의 많은 소자산 계급분자들은 강박당했거나, 기만당하여 가입한 자들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부흥사 내의 일부사람이란 주로 당시 국민당 군대 내의 일부 중급 및 하급 군관을 가리키며, CC단 내의 일부 사람들이란 주로 당시 권력을 잡지 못한 일부분의 사람들을 가리킨다.
김승일 역 모택동 선집 2 中.
김승일 역 모택동 선집 2 中.
CC단, 또는 CC계, CC파는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정치파벌이자 장제스의 반공, 반일 특무기관이다. 다이리의 남의사와 더불어 각종 살인과 테러, 음모를 꾸며온 비밀결사 조직이며, 장제스의 부하인 천궈푸, 천리푸 형제가 이끌었다. CC파라는 이름은 두 형제의 성인 '천(Chen)'에서 따왔다는 설과, 중앙구락부(Central Club Clique)의 약자라는 설이 있다.
2. 역사
CC단은 1927년 9월 상하이에서 설립되었다는 유력한 설이 있으며, 1932년 청천백일단이 창설되며 계파는 더욱 상세화된다. 주요 인물은 천리푸, 천궈푸, 여정당, 장려생, 엽수봉, 서은증, 장도번의 7명이었으며 1928년부터 국민당의 당무감찰기구인 당무조사과를 장악한다. 1932년 당무조사과는 특공총부로 개편되고, 1935년에 다시 당무조사처로 개편된다. 당시 처장은 서은증이 맡았으며, 1938년 4월 당무조사처는 남의사의 특무처와 합병하여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을 이룬다. 당무를 맡은 제1처와 정보수집을 맡은 제2처 중 당무조사처는 제1처를 구성했으며, 서은증이 계속 처장을 맡았다.그러다 중일전쟁 중인 1938년 3월 29일부터 열린 중국국민당 임시전국대표대회에서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은 3개의 조직으로 분할 개편된다.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1처를 기초로 중앙당부 비서처 산하에 중국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 조사통계국으로 개편한다. 국장은 국민당 중앙비서장인 주가화가 겸임하고 서은증을 부국장으로 임명해 실제 업무를 책임지게 한다.
1. 제2처는 군사위원회 판공청 산하에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으로 확대하고 초대 국장은 천리푸가 겸임하며, 부국장으로 다이리를 임명한다.
1. 군사위원회 판공청 산하에 제3처로 특검처를 신설하여 우편과 통신을 검열한다.
1. 제2처는 군사위원회 판공청 산하에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으로 확대하고 초대 국장은 천리푸가 겸임하며, 부국장으로 다이리를 임명한다.
1. 군사위원회 판공청 산하에 제3처로 특검처를 신설하여 우편과 통신을 검열한다.
이에 따라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 제1처는 중국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 조사통계국(中國國民黨中央執行委員會調查統計局), 약칭 중통으로 변경되고 각급 국민당 당부를 중심으로 정보수집, 정탐, 감시 등의 특무활동을 진행한다. 중통은 각 성과 시에 조사통계실을 설치하고 문화단체와 대학, 중요 고등학교까지 당원조사망을 연결하였다. 천궈푸, 천리푸 형제가 이끄는 중통은 다이리가 이끄는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군통), 즉 개편 전 조사통계국 제2처와는 미묘한 경쟁관계에 있었다. 1940년 이전에는 전국의 당부를 거점으로 세력을 연결한 중통의 세력이 더 강대했으나, 중일전쟁이 심화되며 일본군에 의해 지방당부가 위치한 지역들이 속속 함락당하자 중통의 영향력은 줄어들었고, 그 자리를 군통이 대신하며 반대로 군통의 세력이 강해지게 된다.[2]
중일전쟁이 끝난 후 1949년 2월, 중앙집행위원회 조사통계국은 행정원 내정부 조사국으로 바꾸었지만 여전히 CC계가 주축이 된 인적 구성은 바뀌지 않아 이들은 여전히 국민당 중앙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일부 사람들은 계속 중통 혹은 CC계라 불렀다. 국부천대 후인 1954년에는 사법행정부 조사국으로 변경되었고, 다시 법무부 조사국으로 개칭되어 정치사무와 함께 뇌물, 마약, 경제범죄 해결 업무를 주로 맡게 된다.
3. 남의사와의 관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의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의사#|]][[남의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기타
- 천리푸의 형이었던 천궈푸가 단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김구의 백범일지에 나오는 진과부가 바로 이 CC단 총수 천궈푸이다. 천궈푸는 독립운동 지원 공로로 사후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았다.
- 일제강점기 기사에 CC단에 대해 검색해보면 무서움이 넘쳐흐른다. 중화민국 내부의 파시즘 운동을 주도해왔다는 혐의를 깊게 받는 단체이다.
- 항일 독립운동가들이 남의사와 CC단의 지원으로 많이 활동했다. 그래서 남의사 총수 다이리과 더불어 CC단의 총수 천씨 형제는 독립유공자로 등록되어있다. 참고로 장제스와 쑹메이링도 등록되어 있다.
- 왕징웨이 정권의 특무기관인 76호의 수장인 딩모춘과 리스췬이 한때 중통 소속이었다. 이들은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으로 전향하여 76호를 구성하고, 중통과 경쟁관계였던 다이리의 군통과 상하이에서 한바탕 싸워 결국 이기고 만다.
복수
5. 참고 문헌
- 중국 친일 매국노 한간(漢奸), 이강범, 피엔에이월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