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1:53:54

장제스/기타 창작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장제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aa> 파일:장제스 투명.svg장제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사상과 성격 · 여담 · 한국과의 관계 · 관련 문서 · 대인관계 · 창작물 · 4대가족
인물
가족 장사천 · 장조총 · 쑹아이링 · 쑹칭링 · 쑹메이링 · 쿵샹시 · 쑨원 · 장징궈 · 장웨이궈 · 장샤오옌 · 장완안
사건
사건 신해혁명 · 영풍함 사건 · 제1차 국공합작 · 광저우 상단 사건 · 국민당의 1차 동정 · 1925년 객군 반란 ·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 국민당의 2차 동정 · 중산함 사건 · 국민당의 1차 북벌 · 영왕운동 · 난창 군무선후회의 · 천도논쟁 · 4.12 상하이 쿠데타 · 영한합작 · 장제스-다나카 회담 · 장황사변 · 국민당의 2차 북벌 · 제남 사건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제1차 초공작전 · 제2차 초공작전 · 제3차 초공작전 · 제4차 초공작전 · 제5차 초공작전 · 탕산 사건 · 제1차 양광사변 · 만주사변 · 장왕합작 · 제1차 상하이 사변 · 왕징웨이 저격 사건 · 제2차 양광사변 · 7군자 체포 사건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중일전쟁 · 상하이 전투 · 동 공작 · 1939년 동계공세작전 · 대륙타통작전 · 국공내전 · 2.28 사건 · 재정경제긴급처분령 · 대만 계엄령 · 백색 공포 · 국부천대 · 국광 작전 · 장제스의 사망
단체 중화민국 국민정부 · 중국국민당 · 황포군관학교 · 국민혁명군 · 남의사 · CC단
기타 중정기념당 · 중정구 · 장공기념가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 장제스의 학설 · 신생활운동 · 탈장화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

1. 개요2. 영화3. 드라마4. 게임5. 소설

1. 개요

창작물에서 등장하는 장제스를 다루는 문서.

현대 중국 건국자의 숙적이었으나 중국 창작물에서는 의외로 카리스마 있는 거물로 나오곤 한다. 사실 그럴 법도 것이 그런 장제스를 쓰러트린 마오쩌둥을 간접적으로 띄우는 효과가 있기 때문.

이외에 저장 방언 욕설인 "냥시피(娘希匹, "젠장" 정도의 어감)"를 입에 달고 나오는 것도 특징이다.

2. 영화

1980년작 영화 <대도하>에선 배우 조항다(赵恒多)가 연기했다.

파일:external/gb.cri.cn/1817034080599067045.jpg

1982년작 영화 <풍우하종산>에선 배우 쑨페이후가 연기했는데, 그는 1986년작 <동릉대도>와 1988년작 <외외곤륜>, 198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40주년 기념 영화 <개국대전>, 1994년작 <중경담판>, 2008년작 <진관동> 등지에서도 같은 배역으로 나와 특히 <개국대전>에선 그야말로 간지 폭풍의 인물로 나온다.

1997년작 영화 <송가황조>에선 배우 오흥국이 분했고, 2008년작 영화 <주은재래풍경>에서도 마효위가 맡았다.

파일:external/korean.cri.cn/9001285917124868709.jpg

2009년에 건국 60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영화 <건국대업>에서 장국립이 맡았는데, 그는 2011년작 <중국 1945: 중경풍운>에서도 같은 배역으로 나왔다. 특히 <건국대업>에선 재평가된 장제스의 면모를 볼 수 있다. 장국립이 분했는데 마오쩌둥만큼은 아니지만 근엄한 걸물로 나오며 국민당은 국민당 손으로 망했다고 씁쓸하게 읊조리며 퇴장하는 등 가볍게 나오지 않았다.[1] 마오쩌둥의 공산당과 대립하면서도 나름대로 중국의 발전과 통일을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써 긍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타이완으로 쫓겨나기 직전 장징궈와의 대화가 인상적이다.

파일:/pds/201312/02/96/a0007296_529b6ab691381.jpg

후술할 드라마 장정에서 장제스 역을 맡았던 진도명은 중일전쟁 중의 허난성 대기근을 다룬 2012년작 1942(영화)에서 또 장제스 역을 맡았는데 여기에서 장제스는 카리스마는 있으되, 기근에 허덕이는 국민들은 별로 신경 안쓰는 암군으로 그려진다.

파일:존라베장개석.jpg

난징 대학살을 다룬 영화 존 라베에서도 잠깐 나오는데 큰 비중은 없다. 배우 임동보(林栋甫)가 분했다.

파일:건군대업장개석.jpg

한국에서 후난성 전투로 개봉한 영화 건군대업에서도 등장한다. 대만의 가수 겸 배우 곽건화가 분했다.

파일:건당위업장개석.jpg

2011년작 영화 건당위업에서는 대만 배우 장첸이 분했다.

2015년작 영화 <개라선언>에선 배우 마샤오웨이가 연기했는데, 같은 해 <백단대전>과 2016년작 <해당의구> 및 <동방전장>, 2017년작 <혈전상강>에도 같은 배역으로 나왔다.

3. 드라마

1984년작 중국 CCTV 드라마 <말대황제>에선 배우 조항다가 맡았고, 1985년작 한국 KBS의 국군의 날 특집드라마 <전웅실록: 오성장군 김홍일>에선 배우이자 한양대 교수였던 양동군이 연기했다.

파일:장정장개석.jpg

2001년 중국 CCTV에서 만든 공산당 창당 80주년 기념 드라마 장정에선 황제 전문 배우 진도명이 장제스 역을 맡았다.

2016년작 CCTV 드라마 <펑더화이 원수>에선 배우 마샤오웨이가 연기했고, 2020년작 <태행지척>에서도 심보평이 맡았다.

4. 게임

파일:호이4 장제스.jpg
4편 초상화[2]
Hearts of Iron 시리즈에서 중화민국 정부수반으로 등장하다 호이4에서는 중화민국 국가원수로 등장한다. 1.5패치와 Waking the Tiger DLC 출시 이후 일본의 침략에 맞서 대원수(방어 전쟁시 안정도 40% 부여)라는 개사기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게 얼마나 개사기냐면 다른 나라는 전쟁에 들어가면 안정도가 감소하지만 중화민국은 오히려 더 안정적으로 변한다. 1.5 버전까지는 약 41~42년정도까지 버티다가 붕괴되었는데, 1.6버전 이후 AI의 상향과 점령 시스템 페널티 기능이 추가되는등 조정이 되며 긴 소모전을 나름 구현해 두었다.. Road to 56 모드에서는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겸 야전원수로 나오는데 능력치가 무려 5티어 원수다! Eight Years' War of Resistance 모드에서는 1.5패치로 구현된 트레잇이 방어 집중 AI성향으로 바뀌었고 안정도 부여는 루산성명 디시전#으로 대체되었다. 디시전 자체가 지휘력 소모를 통해 15일이면 발동되니까 큰 부담은 없다.

같은 게임의 대체역사[3]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는 시작시점(1936년)에 이미 사망해서 등장하지 않는다. 설정에 의하면 랴오중카이 암살 미수 사건을 빌미로 후한민 등을 처형하며 국민당 우파의 어그로를 산 상태에서 소련 대신 프랑스 코뮌의 지원[4] 으로 국민혁명군을 강하게 무장해 북벌을 개시했다. 군벌들을 상대로는 승승장구 했지만 프랑스 코뮌을 극도로 경계하던 독일이 북양정부를 도와 한스 폰 젝트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을 보내 개입하자 최신 무기와 1차대전을 겪은 베테랑들에게는 상대가 되지 못했던 국민혁명군은 붕괴한다. 패배 후 일단 군을 추슬러서 광둥으로의 귀환을 시도하지만 국민당 우파의 사주를 받은 누군가에게 암살당한다. 장제스가 사망하고 리쭝런, 주페이더 등은 당을 떠나 지역군벌화되면서 당 내 우파는 쑨커 정도를 제외하면 완전히 사멸하고 국민당은 완전히 좌경화된 후 지하조직이 되었다. 카이저라이히 국민당 좌파 팩션으로 잡아서 중국 통일을 완수하면 국가집중을 통해서 쑨원과 장제스의 기념당을 지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체역사 모드인 TNO에서는 영프가 멸망하고 미국이 독일에게 진주만 핵공격을 받아 전쟁에서 이탈한 상황에서 마오쩌둥과 연합해 끝까지 일본과 싸웠지만 끝내 충칭에서 전사했다. 이후 룽윈이 그와 마오쩌둥에게 충성하는 이들을 다시 불러 모아 운남에서 호국군을 다시 일으켜세워 일본은 물론 그 세력인 대동아공영권과 싸우게 된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에서는 실제 역사와 다르게 소련의 침공을 받고 중국 대륙을 마오쩌둥에게 내어주게 된다. 처음에는 이념 대립으로 갈등했지만,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스탈린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현실 역사와는 다르게 이 세계관에서는 매우 적대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5] 그 이후의 행적은 불명.
"하나가 된 중국은 절대 정복되지 않습니다. 하나가 된 중국은 절대 항복하지 않을 겁니다."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 크라이사우 서클 아지트에 붙여진 신문에서.[6]
울펜슈타인 세계관에선 중국 공산당과의 성공적인 합동 작전으로 일본군을 후베이 성 위로 몰아내는 등, 중일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 그러나 유럽에서 승리한 나치 독일이 개입하면서 전세가 다시 기울고, 위 말을 중국 국민들에게 남기면서 항전을 시도하나 패전한다. 이후 행적은 불명, 똑같이 신문에서만 언급되는 스탈린처럼 실종 처리된 듯하다.

5. 소설

한국 대체역사소설에서는 통일 중국이 대한민국에게 부담스럽다는 현실적 문제 때문에 장제스 배드엔딩 세계관이 많다. 오죽하면 장제스 피폐물이냐는 드립이 있을 정도.


[1] 다만 실제 장제스를 묘사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장제스는 죽는 그 순간까지도 타이완을 잠시 머물 공간으로 삼았을뿐, 언젠가는 본토로 돌아가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2] 파일:장제스2.jpg이 사진을 기반으로 했다.[3] 1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이 승리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혁명으로 생디칼리즘 국가가 되었다.[4] 이 세계의 프랑스는 1차대전 패전 이후 분노한 민중과 군인들의 봉기로 영국과 사회주의 국가가 된 반면 러시아는 레닌이 멘셰비키에게 암살당하고 트로츠키가 전사하는 와중에 독일 제국이 백군과 불가침 조약을 대가로 지원을 해주면서 결국 백군이 승리하며, 의원 내각제 러시아 공화국이 생존하며 적화되지 않았다.[5] 특히 레드얼럿 세계관에서도 일본제국은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는데 히틀러가 존재하지 않아 영국과 프랑스의 대독 유화책이 성공적이어서 연합국이 되었기 때문에 영불 제국주의의 최대 라이벌인 소련과 아시아의 식민지를 늘려야 하는 일본제국과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일본제국의 물주 노릇을 한 것으로 보인다.[6] 이름이 직접 거론되지는 않고, 1948년 신문에 중국 주석이라고만 쓰여있다. 마오쩌둥이 주석이 된 게 1949년이니, 1948년에 중국 주석이라고 할 사람은 장제스 밖에 없다.[7] 우한은 장강을 기점으로 도시 3개가 합쳐진 곳인데, 장강 이남에 투하했다는 것을 보아 정확히는 한커우는 아니고 한양이나 우창으로 추정된다. 당시 핵폭탄의 위력을 고려하면 1개밖에 쓰지 않은 이상 둘 다 동시에 날아간 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8] 주인공은 미래인이라 핵의 위험을 알고 있었지만, 원 역사와 달리 2차대전 때 핵이 사용되지 않아 소련이 핵실험 데이터를 얻기 위해 베이징만 아니면 된다며 사용을 종용했고 주인공은 냉전을 열전으로 번지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핵의 공포가 필요했기 때문에 핵으로 인해 수백만의 민간인들이 고통받을 것을 알면서도 핵을 사용하게 유도하고 책임을 장제스에게 떠넘겼다.[9] 사실 차후 일어날 일을 알고 있던 주인공이 장제스에게 몇 년 안 가 돌아올 테니 안심하라 조언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남중국은 장제스 독재 외에 대안이 없다며 CIA를 통해 밀어주었다.[10] 사실 이들의 계획은 진작에 탄로 난 상태였고, 다이리가 장제스에게 알렸지만 장제스는 이를 무시하는 바람에 원 역사에서 시안 사건을 맞이했다. 그런데 여기서는 히틀러도 같은 말을 하자 장제스도 비로소 다이리의 말이 맞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히틀러가 나의 투쟁을 통해 대공황, 일본의 침략 행보와 중국의 비상을 예측하였기에 세계 각국에서 히틀러는 일종의 예언자로 여겨지고 있었기 때문에 장제스도 히틀러의 말을 믿었다.[11] 국민당은 조선공산당의 영향을 받아 좌익 성향이 다소 있었는데, 중국공산당과 국공합작을 벌인 것에 국민당 우파가 반발하여 분당하였다. '대공'이 본작에서 민족주의를 뜻하는 말이기 때문에 우파 정당임을 유추 가능하다.[12] 마오쩌둥이 국민당인 건 아버지 모이창이 국민당 창설자들과 친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본작의 국민당은 원 역사 마오주의와 유사한 조선공산주의 영향을 받았고 대공당이 우파 빅텐트인 이상 마오쩌둥은 좌파 빅텐트였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