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7:54:45

Dinosaur with Stephen Fry



1. 개요2. 에피소드 목록3. 직접 등장 생물4. 간접 등장 생물5. 고증오류
5.1. 1화5.2. 2화5.3. 3화5.4. 4화
6. 여담

1. 개요

스티븐 프라이가 주연을 맡은 4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 2022년 2월 12일에서 2023년 3월 5일까지 방영했다.

2. 에피소드 목록

1부: Dawn of the Dinosaurs
스티븐 프라이가 놀라운 컴퓨터로 만든 세계를 통해 1억 8000만 년 전의 공룡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번 에피소드에서 그는 디플로도쿠스와 알로사우루스를 만난다.

2부: When Dinosaurs Ruled the Earth
스티븐 프라이는 1억 2500만 년 전 백악기 전기로 간다. 이 시대에는 공룡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무시무시한 유타랍토르를 만난다.

3부: Killer Dinosaurs
스티븐 프라이는 6800만 년 전 백악기 후기의 거대한 숲에 도착한다. 이 곳은 모든 공룡 중의 포식자 중 가장 치명적이고, 교활하고, 무서운 티라노사우루스의 서식지이다.

4부: The Struggle of Survival
스티븐 프라이는 6600만 년 전 공룡의 멸종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그 시대의 비밀을 밝혀내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포식자에 맞서 초식공룡들이 어떻게 싸웠는지 살펴본다.

3. 직접 등장 생물

4. 간접 등장 생물

5. 고증오류

5.1. 1화

판게아가 쥐라기에 존재했다고 한다. 실제로 판게아는 쥐라기 이전에 다른 여러 대륙으로 분리되어 쥐라기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고 디플로도쿠스의 무게를 처음에는 15t이라고 했다가 나중에는 30~40t이라고 한다. 이는 디플로도쿠스의 두 종(카르네기종과 할로룸종)을 혼동한 것으로 본다. 마찬가지로 알로사우루스도 처음에는 2~2.1t이라고 했다가 나중에는 15t이라고 한다. 전자는 표본들 중 가장 큰 표본의 크기이며 후자는 1.5t을 잘못 쓴 듯하다.
알로사우루스가 무는 힘이 약해서 도끼처럼 위턱으로 먹이를 내리쳐서만 사냥했다고 한다. 실제 알로사우루스는 무는 힘도 꽤 강해서 위턱과 아래턱을 모두 사용해서 먹이를 사냥했고 디플로도쿠스가 꽃을 먹는 장면이 나온다. 실제로는 꽃은 쥐라기에 등장하지 않았다.
니아사우루스가 2m라고 나온다. 실제로는 3m이고 티타노사우루스류가 디플로도쿠스와 분류학적으로 가깝다고 나온다. 실제 티타노사우루스류는 디플로도쿠스와는 분류학적으로 거리가 꽤 있었으며 오히려 브라키오사우루스, 카마라사우루스와 더 가까웠다.

5.2. 2화

에피소드의 배경인 시대가 1억 2500만 년 전인데 작중 등장한 공룡 대부분이 이 시기에 살지 않았고 유타랍토르는 1억 3500만 년 전에서 1억 3000만 년 전까지 살았다. 이구아노돈류는 이 시대 내내 존재했지만 이구아나콜로수스는 1억 3900만 년 전에서 1억 3400만 년 전까지 살았고 벨로키랍토르는 7500만 년 전에서 7100만 년 전까지 존재했다. 유타랍토르가 쥬라기 공원 시리즈벨로키랍토르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나온다. 실제로 유타랍토르는 소설은 물론 영화가 나온 후에 발견되었다.

5.3. 3화

아르겐티노사우루스의 무게가 100t에 가까웠다고 한다. 실제로는 60~75t 정도였을 것이고 다 자란 티라노사우루스가 케찰코아틀루스를 적극적으로 사냥한다. 실제로는 다른 먹이도 많은데 굳이 잡기 힘든 케찰코아틀루스를 주로 사냥하려 하지는 않았을 것이고 티타노사우루스가 2014년 이전의 구식 복원도로 등장는데 티라노사우루스의 속도가 시속 5, 10, 20마일로 나온다. 실제로는 시속 약 15마일로 움직이거나 더 느렸을 것이다.

5.4. 4화

탈라루루스가 66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나온다. 실제로는 그 이전인 캄파니안절에 살아서 백악기-팔레오기 멸종 사건 이전에 멸종되었다.

6. 여담

작중 등장한 티타노사우루스류와 스테고사우루스와 익룡의 모델은 게임 ARK: Survival Evolved의 것을 차용해서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