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규 음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James Blake(음반)| James Blak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668899; font-size: .8em; color: #fff"[[Overgrown| Overgrow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The Colour In Anything| The Colour In Anythi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77; font-size: .8em; color: #fff"[[Assume Form| Assume For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Friends That Break Your Heart| Friends That Break Your Hear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9D9181; font-size: .8em; color: #fff"[[Playing Robots Into Heaven| Playing Robots Into Heave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
- [ EP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25%> ||<width=25%>||<width=25%>||<width=25%>||The Bells Sketch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CMYK EP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Klavierwerke EP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Enough Thunde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Love What Happened Her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200 Pres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Befor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Cover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CMYK 00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 font-size: .8em; color: #fff"
- [ 콜라보레이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1000> ||<|2><width=75%> ||
(2024)
<colbgcolor=#003355><colcolor=#fff> James Blake | |
| |
아티스트 | James Blake |
발매일 | 2011년 2월 4일 |
장르 | 일렉트로니카, 덥스텝, 얼터너티브 R&B, 팝 |
길이 | 38:00 |
곡 수 | 11 |
레이블 | ATLAS, A&M |
[clearfix]
1. 개요
제임스 블레이크의 정규 1집. 'Klavierwerke'가 나오고 얼마 뒤인 2011년 2월에 발매되었다.2. 평가
| |
메타스코어 81 / 100 | 유저 스코어 8.3 / 10 |
상세 내용 |
|
9.0 / 10.0 |
|
★★★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9년 11월 26일 빌보드 스태프들이 선정한 2010년대 40대 댄스 명반 리스트. | ||||
<rowcolor=#fff,#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 | | | |
디스클로저 | 저스티스 | 제이미 xx | 캘빈 해리스 | LCD 사운드시스템 | |
Settle | Woman Worldwide | In Colour | 18 Months | This Is Happening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 | | | |
다프트 펑크 | 아비치 | 데이비드 게타 | 니콜라스 자르 | 잭 유 | |
Random Access Memories | True | Nothing But the Beat | Space Is Only Noise | Skrillex and Diplo Present Jack Ü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 | | | |
그라임스 | 스크릴렉스 | 플룸 | 포 텟 | 포터 로빈슨 | |
Visions | Scary Monsters and Nice Sprites | Flume | There Is Love in You | Worlds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 | | | |
에릭 프리즈 | 케미컬 브라더스 | DJ 코츠 | 제임스 블레이크 | 존 홉킨스 | |
Opus | No Geography | Knock Knock | James Blake | Singularity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 | | | |
카리부 | 다크사이드 | 에이펙스 트윈 | 게사펠슈타인 | 데드마우스 | |
Our Love | Psychic | Syro | Aleph | 4x4=12 | |
26위부터는 빌보드 선정 2010년대 최고의 40대 댄스 앨범 문서 참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Audioxide가 2019년 12월 31일 선정한 리스트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퀸즈 오브 더 스톤 에이지 | 켄드릭 라마 | 울프 앨리스 | 켄드릭 라마 | 프랭크 오션 | |||||
...Like Clockwork | To Pimp A Butterfly | Visions of a Life | good kid, m.A.A.d city | channel ORANGE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데이비드 보위 | PJ 하비 | 라디오헤드 | 플라잉 로터스 | 제임스 블레이크 | |||||
★ | Let England Shake | A Moon Shaped Pool | Cosmogramma | James Blake |
메타크리틱 81점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피치포크에서는 9.0으로 상당히 높은 점수를 부여했으며, 스핀에서는 이 음반을 "뛰어나고, 눈에 띄는" 작품이라고 평가하면서 호평했다.
과거의 EP들에 비해 덥스텝 스타일이 많이 희석되었기에 호불호가 갈렸지만, 앨범 자체는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앨범을 통하여 James Blake라는 뮤지션 자체가 인디 신의 슈퍼스타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의미로 2011년 한 해 동안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앨범이었다.
2010년 후반으로 가면서 뒤이어 등장한 얼터너티브 R&B 발전의 초석이 된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전자음악과 소울의 결합, 특유의 보컬 샘플링 등이 해당 장르의 주요한 문법이 되었기 때문. 해당 장르 외에도 본 이베어등의 뮤지션이 이 음반에 영향받아 본격적으로 전자음악을 도입하는 등 파급력이 큰 앨범이다.
3. 트랙 리스트
트랙리스트 | ||
<rowcolor=#fff> # | 제목 | 길이 |
1 | Unluck | 3:00 |
2 | The Wilhelm Scream (written by James Litherland and Blake) | 4:37 |
3 | I Never Learnt to Share | 4:51 |
4 | Lindisfarne I | 2:42 |
5 | Lindisfarne II (written and produced by Blake and Rob McAndrews) | 3:01 |
6 | Limit to Your Love (written by Feist and Jason "Gonzales" Charles Beck) | 4:36 |
7 | Give Me My Month | 1:56 |
8 | To Care (Like You) | 3:52 |
9 | Why Don't You Call Me | 1:35 |
10 | I Mind | 3:31 |
11 | Measurements | 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