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6:29:33
}}}}}}}}} ||
KB금융지주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aeaea><colcolor=#000> 시중은행 금융지주 | [[KB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농협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우리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iM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하나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신한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지방은행 금융지주 | [[BNK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JB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비은행 금융지주 | [[한국투자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메리츠금융지주|{{{#!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지로코드순 정렬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24년 순위 | 기업명우선주 제외 | 시가총액 | 1 | ![파일:삼성전자 로고.svg]() ![파일:삼성전자 로고 화이트.svg]() 삼성전자 | 317조 5,924억원 | 2 |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SK하이닉스 | 126조 5,996억원 | 3 | ![파일:LG에너지솔루션 로고.svg]() LG에너지솔루션 | 81조 4,320억원 | 4 | ![파일:삼성바이오로직스 로고.svg]() 삼성바이오로직스 | 67조 5,441억원 | 5 |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svg]()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현대자동차 | 44조 3,962억원 | 6 | ![파일:셀트리온 로고.svg]() ![파일:셀트리온 로고 화이트.svg]() 셀트리온 | 40조 7,022억원 | 7 | ![파일:기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기아 | 40조 456억원 | 8 | ![파일:KB금융지주 로고.svg]() KB금융지주 | 32조 6,235억원 | 9 | ![파일:네이버 로고.svg]() 네이버 | 31조 5,131억원 | 10 |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svg]() HD현대중공업 | 25조 5,223억원 | 11 | ![파일:신한금융지주회사 베이직 로고.svg]() 신한금융지주 | 23조 9,892억원 | 12 | ![파일:현대모비스 로고.svg]() 현대모비스 | 21조 9,933억원 | 13 | ![파일:포스코홀딩스 CI.svg]() 포스코홀딩스 | 20조 9,453억원 | 14 | ![파일:고려아연 CI.svg]() 고려아연 | 20조 8,275억원 | 15 | ![파일:삼성물산 로고.svg]() 삼성물산 | 20조 4,096억원 | 16 | ![파일:메리츠금융지주 로고.svg]() 메리츠금융지주 | 19조 8,349억원 | 17 | ![파일:삼성생명 로고.svg]() 삼성생명 | 18조 9,600억원 | 18 | ![파일:LG화학 로고.svg]() LG화학 | 17조 6,481억원 | 19 | ![파일:삼성SDI 신 로고.svg]() 삼성SDI | 17조 192억원 | 20 | ![파일:삼성화재 로고.svg]() 삼성화재 | 16조 9,839억원 | 21 | ![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 카카오 | 16조 9,441억원 | 22 | ![파일:SK이노베이션 로고.svg]() SK이노베이션 | 16조 9,159억원 | 23 | ![파일:하나금융지주로고.svg]() 하나금융지주 | 16조 3,153억원 | 24 | ![파일:HD한국조선해양 로고.svg]() HD한국조선해양 | 16조 1,363억원 | 25 | ![파일:HMM CI.svg]() HMM | 15조 5,592억원 | ▶ 코스피 상위 26위~50위 | ▶ 코스닥 상위 25위 | ▶ 미국기업 상위 25위 | }}}}}}}}} ||
}}}}}}}}} ||
|
1. 개요2. 역사3. 자산 규모4. 지배 구조5. 사건사고6. 기타
KB금융그룹의 지주 회사. 국내 총 자산 1위, 리딩 금융그룹이다.
2023년 The Banker 기준 세계에서 60번째 규모의 금융지주사이다.- 2008년 하반기 금융지주회사로 출범하고 유진투자증권을 인수하려다 유진그룹의 매각 철회로 실패하였다.
- 2012년 상반기 제일저축은행을 인수하여 KB저축은행을 출범하였다.
- 2012년 하반기 ING생명을 인수하려다 실패하였다.
- 2013년 하반기 우리투자증권을 인수하려다 실패하였다.
- 2014년 상반기 예한솔저축은행을 인수하여 KB저축은행에 흡수합병하였고 우리파이낸셜을 인수하여 KB캐피탈을 출범하였다.
- 2015년 상반기 LIG손해보험을 인수하여 KB손해보험을 출범하였다.
- 2016년 상반기 현대증권을 인수하여 2017년 상반기 KB투자증권과 합병 후 KB증권으로 재출범하였다.
- 2019년 상반기 롯데캐피탈을 인수하려다 롯데그룹의 매각 철회로 실패하였다.
- 2019년 하반기 미래에셋생명을 인수하려다 실패하였다.
- 2020년 하반기 푸르덴셜생명을 인수하여 2023년 상반기 KB생명보험과 합병 후 KB라이프로 재출범하였다.
- 황영기 (2008~2009)
- 강정원 (2009)
- 어윤대 (2010~2013)
- 임영록 (2013~2014)
- 윤종규 (2014~2023)
- 양종희 (2023~ )
3. 자산 규모
총 자산 규모 | 기준 분기 |
1158조 원 | 2022년 4분기 |
4. 지배 구조
2023년 10월 기준. 주주명 | 지분율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국민연금공단 | 8.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블랙록 | 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사주 | 5.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FS 인터내셔널 | 4.7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SBC | 4.43% |
5. 사건사고
자세한 내용은 KB금융그룹 전산교체 내분 사태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금융그룹 전산교체 내분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금융그룹 전산교체 내분 사태#|]][[KB금융그룹 전산교체 내분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