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7B7B79><colcolor=#fff> 릭 제임스 Rick James | |
| |
본명 | 제임스 엠브로스 존슨 주니어 James Ambrose Johnson Jr. |
이명 | 리키 매튜스 Ricky Matthews |
출생 | 1948년 2월 1일 |
뉴욕 주 버팔로 | |
사망 | 2004년 8월 6일 (향년 56세) |
캘리포니아 주 할리우드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편곡자, 음반 프로듀서, 댄서 |
장르 | R&B, 소울, 펑크, 펑크 록, 두왑 |
악기 | 보컬, 베이스 기타, 기타, 건반 악기, 드럼, 타악기 |
활동 | 1965년 ~ 1990년 1996년 ~ 1998년 2004년 |
신체 | 181cm |
배우자 | 켈리 미즈너 (1974년 ~ 1979년, 이혼) 타냐 히자지 (1996년 ~ 2002년, 이혼) |
파트너 | 실빌 모건 (? ~ ?) |
자녀 | 릭 제임스 주니어[A] 타엔자 제임스[A] 트레이 하디스티 제임스[3] 타즈만 제임스[4] |
종교 | 유신론(가톨릭?)[5][6] |
링크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음반 프로듀서.댄스 펑크가 인기를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제임스 브라운처럼 흑인 사회에서 존경받는다. 다만 생전에는 방탕하게 살면서 범죄까지 저지렀고 여성혐오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B]
2. 생애
2.1. 초기
1948년 2월 1일, 뉴욕 주 버팔로에서 8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C] 그는 성당 합창단에서 노래하기 시작했다.[D] 아버지 제임스 엠브로스 존슨 시니어는 8살 때까지 가족에게 학대를 일삼았고, 어머니 마벨 글라덴은 낮에는 청소부로 일하다 밤에는 버팔로에 거주하던 마피아들 때문에 불법적인 일에 참여했다.[B][C] 다만 그는 가족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회상했다.[B]열살도 안 됐던 시기, 어머니가 그를 나이트클럽으로 데려갔을 때 제임스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날 밤 에타 제임스의 공연을 본 그는 음악가를 꿈꾸게 된다.[C] 실제 그는 고등학교 밴드에서 콩가와 봉고를 연주한 바가 있다.[D] 십대 때 밴드에서 기타와 베이스 기타를 연주했고, 처음엔 버팔로, 나중엔 뉴욕 시에서 재즈 밴드의 드러머로 활동했다고 한다.[E]
그는 가톨릭 학교에 다녔지만 여러 번 퇴학당했다. 결국엔 고등학교에서 두 번 퇴학당하고 자퇴했다.[C] 그는 징집되기 싫어서 15살[F]에 나이를 속여 해군에 입대했다. 하지만 1964년에 소집 영장을 받았고 이에 1965년[E] 그는 토론토로 도망쳤다.[G]
2.2. 활동
토론토에서 그는 '리키 제임스 매튜스'란 이름으로 살았고 밴드도 결성했다. 밴드는 모타운 레코드에 소속될 기회를 얻었지만, 1966년에 모타운 측에서 그가 병역기피를 한 걸 알게 되었고 그가 사실을 밝힐 때까지 어떤 음반도 발매하지 않았다. 결국 그는 FBI에 자수했고 반년 간 중노동할 것을 선고받았다.[C][F]1967년 석방된 그는 작곡가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2년 후 듀오를 결성하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헤븐 앤 어스란 그룹과 음반 작업을 했다. 이후 그는 핫 립스, 스톤 시티 밴드 두 밴드를 결성했고 1978년부터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C] 참고로 릭 제임스란 이름은 1974년부터 사용했으며, 사용 전에 스티비 원더에게 리키 제임스란 이름을 제안받았다고 한다.[E]
솔로 활동을 시작한 해부터 "You and I", "Mary Jane"란 히트곡을 내놓았으며 프린스 · 티나 마리와 투어를 하기도 했다.[C] 그는 프린스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E][26] 1981년에 그의 대표곡 중 하나인 "Super Freak"가 포함된 가장 성공한 앨범 "Street Songs"를 발매했다.[27] 1984년에는 메리 제인 걸스의 In My House를 작사, 작곡 및 프로듀싱했고, 1985년엔 에디 머피의 노래 Party All the Time을 작사, 작곡 및 프로듀싱했다. 곡에 직접 참여도 했다. 하지만 1980년대 말부터 그의 인기는 시들해지기 시작했고, 1990년엔 워너 브라더스와의 계약이 끝나버렸다.[C]
같은 해 MC 해머가 U Can't Touch This에서 그의 곡을 무단 샘플링하자 소송을 걸어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액수의 저작권료를 받아가기도 했다.
2.3. 범죄와 이후
다음 해 그는 당시 연인이었던 타냐 히자지에게 폭행, 펠라치오 강요, 위협, 코카인 강요를 한 혐의로 체포되었다.[29] 1993년엔 타냐와 레코드사 경영진을 20시간 동안 폭행을 가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결국 1994년 유죄 판결을 받고 폴섬 감옥에서 2년 간 복역했다.[30]석방 후 타냐와 1996년 결혼했다. 하지만 1명의 자녀를 두고 2002년 이혼했다. 이혼 후에도 그녀와는 음악 일을 하면서 친하게 지냈다.[C] 1997년에 발매한 앨범 "Urban Rapsody"는 상업적으론 별로였지만 비평가들에게 좋은 평을 받았다. 1998년엔 콘서트를 하던 중 뇌졸중이 발생해 반쯤 은퇴한 상태가 됐다.[32]
결국 2004년 8월 6일, 할리우드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33] 죽기 전 당뇨병에 시달리고 있었고, 경미한 뇌졸중과 심장마비를 겪었다고 한다.[E] 사후 몸에서 코카인 · 필로폰을 포함한 9가지의 각자 다른 약물이 검출됐다.[E][H]
3. 여담
- 운 좋게 살았던 적이 있었다. 비벌리 크레스트에 위치한 샤론 테이트의 집에서 열린 파티에 초대를 받았지만, 전날 밤 술에 쩔어서 생긴 숙취로 갈 마음이 없어 불참했다. 그리고 파티가 열린 날 파티 참석자 5명은 찰스 맨슨 패밀리로 인해 전원 살해당했다. 본인도 이를 알고 충격받았다고 언급했다.[39][40]
- 9살 혹은 10살 때 14세 여성과 첫 관계를 맺었다.[H]
- 퇴폐적인 삶을 살았으나 지인들은 그를 좋게 평가했다.[D]
- 칸예 웨스트의 Runaway, 켄드릭 라마의 DNA, Look At ya! 라고 하는 소리는 릭 제임스의 음성이다.궁금하면 들어보자.
- 2000년대 중반에 데이브 샤펠이 본인의 코메디 쇼에서 에디 머피의 형인 찰리 머피가 들려주는 "True Hollywood Stories"라는 코너를 통해 갑작스레 회자가 되었다. 찰리가 동생인 에디가 슈퍼스타가 된 후 같이 동생을 돌보고 다니면서 겪은 경험담을 코믹하게 재구현하면서 전미를 폭소하게 했는데, 찰리의 이야기에 따르면 릭이 본인에게 몇번 시비를 걸었다가 선을 넘으면 릭을 흠씬 두들겨패줬다고(...) 그리고 이를 통해 수많은 젊은 세대가 "I'm Rick James, Bitch!"라는 캐치프레이즈로 그를 알게 되었다는 건 덤. 직접 보자.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 Come Get It! (1978)
- Bustin' Out of L Seven (1979)
- Fire It Up (1979)
- Garden of Love (1980)
- Street Songs (1981)
- Throwin' Down (1982)
- Cold Blooded (1983)
- Glow (1985)
- The Flag (1986)
- Wonderful (1988)
- Kickin' (1989)
- Urban Rapsody (1997)
- Rick James Forever (2005)
- Deeper Still (2007)
4.2. 싱글
4.2.1. 빌보드 R&B 차트 1위
- You and I (1978)
- Give It to Me Baby (1981)
- Cold Blooded (1983)
- Loosey's Rap (featuring Roxanne Shanté) (1988)
4.2.2. 빌보드 핫 100 1 ~ 40위
- You and I (1978) - 13위
- Give It to Me Baby (1981) - 40위
- Super Freak (1981) - 16위
- Cold Blooded (1983) - 40위
- 17 (1984) - 36위
4.2.3. 빌보드 핫 100 41 ~ 100위
- Mary Jane (1978) - 41위
- High on Your Love Suite (1979) - 72위
- Bustin' Out (1979) - 71위
- Standing on the Top (Part 1) (1982) - 66위[43]
- Dance wit' Me (Part 1) (1982) - 64위
- Ebony Eyes (1983) - 43위[44]
- Can't Stop (1985) - 50위
4.2.4. 그 외 싱글
- Ghetto Life (1981) - 빌보드 핫 100 102위
- U Bring the Freak Out (1983) - 빌보드 핫 100 101위
- Glow (1985) - 빌보드 핫 100 106위
[A] 실빌 모건 소생.[A] [3] 어머니 불명.[4] 타냐 히자지 소생.[5] Stephen Thompson, "Is There A God?", 「The A.V. Club」, 2002.10.9., 2022년 12월 20일 확인[6] "Rick James", nndb.com, 2022년 12월 20일 확인[B] Candice Frederick, "Coming to Terms With the Legacy of Rick James", 「뉴욕 타임즈」, 2021.9.1.[C] Rheanna Todd, "RICK JAMES/JAMES AMBROSE JOHNSON (1948-2004)", blackpast.org, 2018.10.24.[D] Deidre Williams · Jay Rey, "RICK JAMES LAID TO REST WITH A FITTING FUNERAL", 「The Buffalo News」, 2004.8.15.[B] [C] [B] [C] [D] [E] Ian McCann, "Super Freaky: The Unbelievable Life Of Punk-Funk Badass Rick James", 「uDiscoverMusic」, 2022.2.1.[C] [F] Garth Cartwright, "Rick James", 「더 가디언」, 2004.8.9.[E] [G] Jim Farber, "‘There’s a lot to unpack’: the dark, difficult life of Rick James", 「더 가디언」, 2021.9.2.[C] [F] [C] [E] [C] [E] [26] 정작 릭은 프린스를 싫어했다고 한다.[27] Biography.com Editors, "Rick James", biography.com, 2014.4.2.[C] [29] Aaron Curtiss · Jack Cheevers, "Pop Singer Arrested on Torture, Drug Charges : Violence: Grammy-winner Rick James and a girlfriend are accused of imprisoning a woman at his Mulholland Drive home.", 「Los Angeles Times」, 1991.8.3.[30] Jack Whatley, "The troubling life of funk pioneer Rick James", 「Far Out Magazine」, 2020/21[C] [32] William Ruhlmann, "Rick James: Biography", 올뮤직[33] Billboard Staff, "Coroner: Rick James Died Of Heart Attack", 「빌보드」, 2004.9.17.[E] [E] [H] Larry Getlen, "Rick James’ insane life of sex, drugs and music", 「뉴욕 포스트」, 2014.7.5.[E] [G] [39] Tim Molloy, "Rick James Avoided the Manson Murders Because of a Hangover", 「MovieMaker Magazine」, 2021.9.3.[40] Rick James, "The Confessions of Rick James: Memoirs of a Super Freak" (Colossus Books · 2007), 95쪽, #[H] [D] [43] with The Temptations[44] with Smokey Robin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