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01:20:49

자주대공포

SPAAG에서 넘어옴
자주포의 분류
무장 및 용도별 분류
자주곡사포 · 자주평사포 · 자주대공포 · 자주박격포 · 대전차 자주포 · 공수자주포 · 자주무반동포 · 돌격포
사용 차체에 따른 분류
궤도형 자주포 · 차륜형 자주포 · 기타
파일:Flakpanzer_Gepard_-_Militärhistorisches_Museum_der_Bundeswehr_(MHM)_in_Dresden.jpg
Self-Propelled Anti-Aircraft Gun (SPAAG)
1. 개요2. 역사3. 특징4. 대공전차 혹은 대공장갑차5. 목록
5.1. 대전기 자주대공포5.2. 냉전기-현대 자주대공포
6. 미디어

1. 개요

차량에 대공포를 실어서 자체의 이동 능력을 부가한 대공포. 당연히 자주포의 일종이다. 한마디로 대공화기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발을 달아놓은 것이다. 보통 단거리 야전방공을 담당하며 지상용 기관포가 마땅치 않은 경우에는 지상 화력 지원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기 전부터, 적의 정찰용 비행 기구를 격추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대공포는 이때부터 등장했으며, 일부는 트럭에 경포를 올린 자주포 같은 물건이었다. 그러나 비싸고 효용이 의심되어, 널리 쓰이진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전투기폭격기가 등장하자, 대공포는 어느 정도 항공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수준으로 발달했다. 허나 기본적으로 대공포는 견인식이어서, 진지에 도착해서 방열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그 당시부터 일정부분 한계점에 봉착한 상태였다.

독일제국은 1차대전때 A7V 전차 차체에 2문의 대공포를 탑재해 3대의 A7V 대공전차를 생산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을 때쯤, 항공기는 무시무시한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모든 군대는 이런 고성능 비행기에 대한 대책을 어떻게든 마련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일단 트럭이나 차륜형 장갑차에 대공기관포나 다연장 기관총 따위를 달아서 대처했으나, 도로 바깥 야지에서 기동하기 어렵고, 방어력이 약해 기총이나 지근탄에 가볍게 제압당하는 문제에 도달했다. 결국 야지 기동능력이 충분하고 방어력도 있는 전차 차체에 대공포를 얹음으로써 대공전차가 탄생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lakpanzer_Is_in_the_Russian_winter.jpg
1호 대공전차

당시 독일군의 경우 제1선 전차로는 부족해진 1호 전차의 차체에 대공기관포를 달아서 대공전차를 만들었지만, 이것으로는 매우 부족함을 깨달았다. 1호 전차가 너무 작아서 승무원은 고사하고 탄약도 제대로 실을 수가 없었던 것. 그래서 점점 큰 차체를 쓰기 시작했고, 결국 4호 전차의 차체로 4호 대공전차 시리즈를 만들었는데, 오픈탑 포탑에 3,7cm Flak 43 대공포를 장착한 오스트빈트2cm Flakvierling 38 대공포를 단 비르벨빈트, 그리고 최종적으로 밀폐식 선회포탑을 채택한 쿠겔블리츠 등이 있다.[1] 독일군 이외에도 소련군T-90ZSU-37 대공전차, 영국군크루세이더 AA 대공전차, 캐나다군스킹크 대공전차, 일본군소키 대공전차 등 여러 대공전차가 개발되었다.
파일:external/www.wwiivehicles.com/m16-multiple-gun-motor-carriage-01.png
M16 MGMC

그러나 전차 1대 1대가 아쉬운 전시에 아까운 전차 차체가 필요한 대공전차들보다는, 양산이 쉬운 하프트랙이나 트럭에 대공포를 올려놓은 수준의 대공차량들을 더 많이 운용하였으며, 압도적인 항공력으로 야전방공의 중요성이 떨어졌던 미군 또한 본격적인 대공전차 대신 M3 하프트랙M2 브라우닝 중기관총 4정을 올린 M16 MGMC과 같은 걸 개발해서 야전방공과 동시에 보병 화력지원에도 유용히 써먹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ZSU-57-2_Hun_2010_02.jpg
냉전시기의 소련제 대공포 차량, ZSU-57-2

2차대전이 끝난 후 냉전과 현대전 시기부터는 특히 소련군이 자주대공포의 개발에 집중하였는데, 압도적인 항공력을 가진 미군에 맞서 자체적인 항공력으로만 그 넓은 영토를 커버하기엔 절대로 역부족이였기 때문이다. ZSU-37-2 예니세이, ZSU-57-2, ZSU-23-4 쉴카와 같은 자주대공포들이 등장하였으며, 현대 러시아군의 주력 자주대공포로 쓰이고 있는 2S6 퉁구스카와 현용 자주대공포 중에서 스펙 자체는 가장 높다는 평을 받는 판치르-S1까지도 개발되게 된다.

미군도 2차대전이 끝난 후 자주대공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과도기적인 M42 더스터라던가 M163 VADS를 개발한 이후 M247 서전트 요크라는 본격적인 자주대공포를 개발해봤지만, 레이더에서 심각한 문제점이 드러나 제식채용에는 실패한다. 사실 미군도 압도적인 항공력에도 불구하고 어느정도 제대로 된 자주방공체계를 원하기는 했는데, 나온 결과물들이 재앙에 가까운 물건이어서 자주방공체계를 도입하자는 소리가 쏙 들어가버렸다.

하지만 자주방공체계가 아주 필요하지 않을리는 없어서 M6 라인배커AN/TWQ-1 어벤저 같은 걸 만들었지만 이것들 또한 자주 방공 카테고리에 넣기도 부끄러운 수준의 물건들인 건 여전하다. 그저 휴대형 대공미사일인 스팅어를 차량에 올리고,[2] 하는 김에 암시장비도 달고 모션 트래커도 달은 정도에 불과하다. 그나마 LAV-25의 차체에 GAU-12 이퀄라이져 25mm 개틀링건과 스팅어를 올린 미 해병대의 LAV-AD 정도가 자주대공포의 구색을 갖추고 있기는 했다. 다만 2020년대 들어 미 육군에서 드론 요격에 초점을 맞춘 스트라이커 장갑차 기반의 SGT 스타우트를 도입함에 따라 미군도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자주대공포를 운용하기 시작했다.
파일:external/www.army-technology.com/gepard1.jpg
게파트 자주대공포

그 외의 국가에서는 독일의 게파트 자주대공포,[3] 이탈리아의 오토마틱드라코,[4] 스웨덴의 Lvkv 9040, 일본의 87식 자주대공포, 중국의 88식, 95/04식, 07식, 09식 자주대공포, 베트남의 방공 T-34, 대한민국의 K263 자주발칸포K-30 비호, K-30W 천호 등이 개발되었다.

사실 현대전에서 자주대공포라는 무기체계 자체가 현대 고성능 항공기의 대응책으로는 비용 대비 전투 효용성 측면에서 계속 의구심이 있었고, 당장 K-30 비호도 개발과정부터 도입/운용까지 계속 논란이 있어 왔다. 그나마 박격포나 로켓 등을 사용한 테러, 2010년대 이후 드론/무인기의 군사적 위협이 급부상 등 저속항공폭격의 지속되며, 박격포탄 요격에는 제트기 요격용 함대 방공포를, 드론 대응수단으론 SHORAD(단거리 방공체계)가 방산업계의 새 돌파구로 제시되기도 했으나 2021년이 되도록 효용성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미군도 드론/무인기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인정하고 임시적인 단거리 자주방공체계를 빠르게 도입하는 IM-SHORAD(Interim Maneuver-SHOrt Range Air Defense) 사업을 긴급하게 추진하는 중인데, 기존의 K-30 비호신궁을 결합시킨 복합형 비호를 포함한 여러 차량이 테스트를 받았다. 결국 스트라이커 장갑차를 개수하여 4면 AESA 레이더와 대공 무장으로 M230LF 기관포, FIM-92 스팅어, AGM-114 헬파이어 미사일을 장착한 SGT 스타우트가 선정되어 2021년부터 미 육군에서 운용되기 시작했다.[5]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독일이 게파트 자주대공포를 지원했다. 개발된지 50년만에 최초로 투입되어 드론격추나 공군기 견제등에 투입되고 있다.

3. 특징

일반적인 견인식 대공포와 구별되는 자주대공포이니만큼 자주대공포의 가장 큰 특징은 트럭이든, 소형전술차든, 차륜식/궤도식 장갑차든, 전차든 베이스가 되는 차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현대의 자주대공포는 탑재된 자체 레이더로 탐색과 조준을 수행하며, 주무장은 대부분 현대 대공포로 운용되는 기관포를 사용한다.[6] 기관포 대신 맨패즈같은 지대공 미사일만 장착한 형태도 있으며 근래의 추세로는 기관포와 대공 미사일을 모두 장착하여 두 체계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것이다.

대부분 2문, 많으면 4문 정도의 기관포를 장착하고 있다. 기관포를 여러문 장착하는 이유는, 항공기의 빠른 속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쪽도 사격과 화망 형성에 빠른 발사속도가 필요하기 때문. 1문의 기관포로는 대응 능력에 한계가 있다보니, 여러 문을 장착해 속도를 배로 늘려버린 것이다. 아예 발사 속도가 빠른 개틀링식 다총열 기관포를 얹는 경우도 있다. 이쪽은 원체 발사 속도가 빠르니 발사속도를 낮추기도 한다.

기본적으로는 대공용 무기라서 보병이나 차량 등의 지상 표적들에게 쏠 일은 별로 없을 것 같지만, 탑재한 기관포가 보병이나 소프트스킨 차량 잡기엔 워낙 적절한 물건이다보니 의외로 지상의 표적들을 공격하는 데도 자주 동원되었다.[7] 알보병에게 사용한다면, 맞는 쪽은 순식간에 분쇄육이 되어버린다. 대한민국 국군방공포병 장비인 승공포는 미군에서 한창 쓰였던 시절의 별명이 'Meat Chopper'였다. 직역하면 육류 분쇄기.[8] 자주대공포가 시가전에서 BMPT 같은 시가전 전용 장비가 없는 상황에서 꽤나 쓸만한 장비란 것은 러시아군이 체첸 내전을 통해서 증명했다. 일단 포의 고각이 전차와 다른 기관포에 비해 훨씬 크며[9] 웬만한 콘크리트 벽을 관통하니 옥상에 숨어서 매복한 적을 처리하기 좋았다. 그래서 체첸 반군들이 제거 1순위로 꼽은게 전차가 아닌 자주대공포였다.

다만 절대적 위력 자체는 확실하지만 지상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쓸데없이 높은 연사력을 가지고 있어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며, 자주대공포를 지상전에 사용한 것으로 유명한 소련-러시아군은 23mm 기관포 4문이 달린 쉴카의 지상공격 역할을 BMP-230mm 기관포 한문으로 대체해버렸다. 심지어 그 30mm 한 문도 지상사격시에는 연사력을 저속모드로 낮춰서 사용한다. 러시아군은 더 이상 시가전에 자주대공포를 사용하지 않으며 쉴카는 BMP-2와 BMP-3로 대체되었고 시가전, 산악전 특화 장비로 30mm 2문을 장비한 대 지상 병기로 BMPT 장갑차를 만들었으나 이 역시 장갑이 거의 없는 무인포탑의 파손 우려와 동시교전 능력 및 대공능력 상승을 위해 2문을 장착한 것이며 이마저도 57mm 한문으로 바꾸니 하는 이야기가 있다. 요약하면 자주대공포의 대지상병력 임무는 단순한 땜빵이며 기갑차량이나 보병들이 옮기는 기관포가 있다면 이쪽이 훨신 더 효율적이다. 즉,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별 문제없는 계륵같은 것이다.

병기의 특성상 장갑은 없거나, 파편과 총탄만 막는 수준의 경장갑 정도만 두른다. 초기에는 아예 사수가 밖에 노출된 구조였으나, 사수를 보호하기 위해 포방패 정도가 추가되다가, 지금에 이르러서는 아예 밀폐식 포탑을 장착하기도 한다. 하지만 밀폐식 포탑이라 해도 파편만 간신히 방어하는 수준으로 얇은 것이 보통. 현용 자주대공포임에도 포탑이나 장갑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 전차 차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차체만 충분한 방어력이 있지 포탑은 종잇장인 것이 보통이고, 무게 감량을 위해 원본 전차에서보다 장갑을 줄여서 차체 방어력이 원본만큼 안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장갑은 방공 무기로서 빠른 포탑 회전이 필요하고, 방공 무기에 두꺼운 장갑이 필요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대전차전이 주 목적인 차량도 아닌데 떡장갑을 둘러 무엇에 쓰겠는가? 물론 2차대전기에는 항공기의 기총소사 따위에도 당하는 일이 없게 약간의 장갑을 치기는 했었지만 정밀유도폭탄과 미사일이 난무하는 현대전에서 전투기가 기총소사로 굳이 자주대공포를 잡을 일은 없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자주대공포를 본격적으로 적 전차나 장갑차를 상대로 한 전투에 사용하기에는 조금 적합하지 않다.[10] 그래서 지상사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는 주로 대공방어를 담당하고 지상전투는 갑자기 적의 전차나 장갑차가 갑툭튀해서 자신을 방어할 목적으로 긴급전투만 치르거나, 인근의 아군을 위해 긴급하게 화력 지원을 하는 '없는 것보다는 나은' 상황의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가격이 대체로 비싼 것도 특징이다. 장갑차나 전차의 차체를 사용하는데다가, 대공장비 및 레이더같은 걸 다 고려해보면 비싸기로 유명한 자위대90식 전차가 8억엔인데, 자주대공포인 87식 자주고사기관포는 한 술 더 떠서 15억엔을 넘는다고 한다. 차체를 한 세대 전 전차74식 전차의 것을 사용했는데도 그렇다.

4. 대공전차 혹은 대공장갑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irbelwind_CFB_Borden_4.jpg
4호 대공전차 "비르벨빈트(Wirbelwind)"
간혹 대공전차, 혹은 대공장갑차라는 이름으로 이러한 자주대공포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플랫폼으로 어떤 차체를 썼느냐 하는 문제로서, 과거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 전차의 차체에 대공포를 올려 사용했던 것이 시초이다. 좁게는 대공전차라는 단어의 의미를 이 시기 독일군이 사용했던 전차 기반 대공포(Flakpanzer)만을 이르는 것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조금 더 넓게 잡을 경우 2차 세계대전부터 냉전시기까지라 말하기도 한다. 즉, 이와 같이 전차의 차체를 사용해 대공포를 탑재한 차량을 일컫는 말로 자주대공포의 하위 분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대공장갑차 역시 이와 맥락을 같이 하며, 장갑차의 차체를 이용한 경우를 일컫는다. 물론 이 역시 대공전차라는 호칭과 함께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단어. 아예 쓰이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대한민국 국군은 사용하지 않는 단어이다. K-30 비호만 해도 그냥 자주대공포라고 칭할 뿐이다.

결론적으로, 현대에는 차체가 어떤 것이건 간에(궤도, 차륜식가리지 않고) '자력 주행하는 대공포 탑재 차량'이라면 자주대공포라고 부른다. 궤도식 차량에 얹혔다는 이유로 간혹 전차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주포나 장갑차가 군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전차로 보이는 것과 일맥상통.

5. 목록

5.1. 대전기 자주대공포

5.2. 냉전기-현대 자주대공포

6. 미디어

6.1. 게임

6.1.1. 도미네이션즈

6.1.2. 멘 오브 워 시리즈

오스트빈트, 비르벨빈트, M16 MGMC, M19 더스터, ZSU-37, 크루세이더 대공전차 등이 등장한다. 공군 비중이 거의 없는 게임인 만큼 대보병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기관포급은 경차량도 잘 잡는다. 40mm 대공기관포로 건물 벽을 뚫고 전차의 측면을 털어주기도 한다.

6.1.3. 스틸 디비전 시리즈

비르벨빈트나 크루세이더 대공전차, 헝가리 님로드 등 각종 대공전차부터 대공기관총을 단 트럭이나 승용차 등 2차대전기의 거의 모든 대공차량들이 등장한다.

보병과 경차량도 잘 잡지만 적의 공군을 막느라 급급한 게임이라 후방에 숨어서 항공기만 노리는 경우가 대다수다. 대공부대가 많은 사단이라면 지상전에 쓰기도 한다. 대공기관총 차량의 경우 어떤 비행기도 막지 못하고 그대로 폭격을 허용하니 어차피 대공능력이 없는 셈이나 마찬가지라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그냥 보병제압에 쓰기도 한다.

6.1.4.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오스트빈트, 비르벨빈트, M16 MGMC 등이 등장한다. 비행기 상대로도 좋지만 공군 비중이 낮은 게임이라 대보병 용으로 자주 쓰인다. 하지만 전차 뽑을 기름이 아까워서 자주 쓰이진 않는다.


[1] 쿠겔블리츠의 경우 프로토타입만이 만들어진 상태에서 전쟁이 끝났다.[2] 사실 맨패즈라고는 해도 본격적으로 레이더와 연동하고 차량 발사대에 장착한다면 맨패즈의 단점인 긴 준비시간이 사라지기 때문에 크기에 비해 꽤나 매서운 무기로 변한다. 문제는 어벤저에는 레이더가 없고, 원본 스팅어의 성능도 휴대성을 중시한 견착식이라 거치식 맨패즈에 비해 밀린다.[3] 2012년에 전량 퇴역 후 복서 장갑차의 대공 개량형으로 대체. 재고는 우크라이나군에게 제공되었다.[4] 둘 다 소구경 기관포가 아닌 76mm 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5] 미군의 자주대공포는 타국군의 자주대공포와 달리 드론의 요격에 중점을 두고 있다.[6] 드물게 이탈리아의 오토마틱이나 드라코처럼 함포 기반의 대구경 자동장전 속사포로 무장한 차량들도 존재한다. 대전기 차량 중에는 천차 차대 위에 개방형 구조로 8,8cm FlaK 41 대공포를 올려둔 Pz.Sfl.IVc도 있다.[7] 기관포라는 것이 단순히 구경이 크기도 하지만, 사용 탄종이 기본적으로 고폭탄 계열이다. 항공기에 대한 공격능력 강화를 위해 소이탄이나 철갑탄 같은 게 복합되기도 한다.[8] 더 나아가 M24 채피를 베이스로 40mm 2연장 보포스 기관포를 얹은 M19와 M41 워커 불독을 베이스로 같은 무장을 얹은 M42 자주대공포의 별명은 Duster(먼지떨이)로, 맞으면 분쇄육 조각도 남지 않고 깨끗이 사라진다는 의미이다.[9] 다만 기관포를 장착한 IFV들은 헬기전을 상정한 60도~90도 수준의 고각 사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각능력은 큰 의미가 없다. 아프간에서 쉴카가 활약한 이유는 쉴카가 아니면 쓸 수 있는게 고저각도 부족하고 명중률도 낮은 73mm 2A28 저압포를 장착하여 산악전, 시가전 성능이 매우 나빴던 BMP-1이었기 때문이며 지상사격 역할은 고각사격이 가능한 30mm 2A42 기관포가 장착된 BMP-2가 배치되며 점차 대체되었다.[10] 전차 쯤 되면 대공포의 위력으로는 격파하기 부족하기도 하다. 일각에서는 30mm 정도를 마구 쏟아부으면 구형 전차에게는 어느 정도 먹히고, 비교적 신형 전차에 사용하더라도 외부에 노출된 조준경 등의 장비를 망가트려 장님으로 만들 수 있다고도 하지만 전차를 잡는 데는 같은 전차, 아니면 대전차 수단을 사용하는 게 확실하다. 만일 이쪽이 좋다면 왜 전차에 전차포가 올라갈까. 애초에 기관포로 격파시키기 전에 자주대공포측이 먼저 주포에 맞아 역으로 격파당할 가능성도 높다.[11] LAV-25에 어벤저를 올린 것이라는 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