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노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단어 자체의 의미}}}에 대한 내용은 [[9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9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9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노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단어 자체의 의미: }}}[[9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9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9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Earth, Wind & Fire의 싱글 | ||||
"Got to Get You into My Life" (1978) | → | September (1978) | → | "Boogie Wonderland" (1979) |
September 수요 수상 |
|
September | ||
<colbgcolor=#000><colcolor=#DEBC36> 발매 | 1978년 11월 18일 | |
녹음 | 1978년 9월 | |
장르 | 디스코, 펑크, R&B | |
길이 | 3:35 | |
작사/작곡 | 모리스 화이트, 알 맥케이, 앨리 윌리스 | |
프로듀서 | 모리스 화이트 | |
레이블 | ARC / 컬럼비아 | |
B-사이드 | Love's Holiday Can't Hide Lov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
<rowcolor=#91C1E9> 공식 음원 |
미국의 펑크 밴드 Earth, Wind & Fire가 1978년에 발표한 노래. 정규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고, 컴필레이션 앨범인 The Best of Earth, Wind & Fire, Vol. 1에 최초 수록되었다.
제목답게 9월과 가을 노래 하면 자주 생각나는 매우 유명한 노래이다. 특히 코러스의 "빠 데야~"도 굉장히 유명한 후렴구. 다만 가사는 떠나간 연인을 그리워하는 서글픈 내용. 9월 1일 또는 9월 21일이면 전 세계 라디오에서 이 노래를 틀어달라고 신청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9월 21일에 유독 이 노래의 인기가 많은 이유는 가사에 9월 21일이 언급되기 때문이다.
2. 가사
September Do you remember the 21st night of September? 9월의 21번째 밤을 기억하나요?[1] Love was changin' the mind of pretenders 사랑이 위선자들의 마음을 바꾸고 While chasin' the clouds away 구름도 거둬들이고 있던 그 날 Our hearts were ringin' 우리 가슴은 뛰고 있었죠 In the key that our souls were singin' 우리의 영혼이 부르던 노래에 맞춰 As we danced in the night, remember 우리가 밤에 춤을 출 때 How the stars stole the night away, 별들이 어둠을 거두어 가던 걸 기억하나요? oh, yeah yeah yeah Hey, hey, hey! Ba-dee ya, say, do you remember? 기억하시나요? Ba-dee ya, dancin' in September 9월의 춤을 Ba-dee ya, never was a cloudy day 구름 한 점 없는 날이었죠 Ba duda, ba duda, ba duda, badu Ba duda, badu, ba duda, badu Ba duda, badu, ba duda My thoughts are with you 난 당신과 같은 생각을 해요 Holdin' hands with your heart to see you 마음으로 손을 잡고 당신을 봐요 Only blue talk and love, remember 우울한 대화와 사랑, 기억해요 How we knew love was here to stay 우리 곁에 이 사랑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Now, December found the love 지금은 12월이고, 우리는 that we shared in September 9월부터 나눠 온 사랑을 찾았죠. Only blue talk and love, remember 우울한 대화와 사랑, 기억해요 The true love we share today 오늘 우리가 나눈 진정한 사랑을 Hey, hey, hey! Ba-dee ya, say, do you remember? 기억하시나요? Ba-dee Ya, dancin' in September 9월의 춤을 Ba-dee ya, never was a cloudy day 구름 한 점 없는 날이었죠 There was a... Ba-dee ya, (dee ya dee ya) say, do you remember? 기억하시나요? Ba-dee ya, (dee ya dee ya) dancin' in September 9월의 춤을 Ba-dee ya, (dee ya dee ya) golden dreams were shiny days 금빛 꿈으로 빛나는 날이었죠 The bell was ringin', oh oh 벨 소리가 울리고 Our souls were singin' 우리의 영혼은 노래하고 Do you remember 기억하시나요? never a cloudy day, Yow 구름 한 점 없는 날이었죠 There was a... Ba-dee ya, (dee ya dee ya) say, do you remember? 기억하시나요? Ba-dee ya, (dee ya dee ya) dancin' in September 9월의 춤을 Ba-dee ya, (dee ya dee ya) never was a cloudy day 구름 한 점 없는 날이었죠 And we'll say... Ba-dee ya, (dee ya dee ya) say, do you remember? 기억하시나요? Ba-dee ya, (dee ya dee ya) dancin' in September 9월의 춤을 Ba-dee ya, (dee ya dee ya) golden dreams were shiny days 금빛 꿈으로 빛나는 날이었죠 Ba-dee ya, dee ya dee ya Ba-dee ya, dee ya dee ya Ba-dee ya, dee ya dee ya, dee ya! Ba-dee ya, dee ya dee ya Ba-dee ya, dee ya dee ya Ba-dee ya, dee ya dee ya, dee ya! |
3. 커버
'Gordon Goodwin's Big Phat Band'가 2008년 'Act Your Age' 앨범에서 커버한 버전이 있다. #2014년에 이 노래를 커버한 December가 나왔다. 12월 25일 밤을 회상하는 노래이다.
해외에서는 마크로스 델타 1기 엔딩곡인 ルンがピカッと光ったら(룬이 반짝 빛나면)와 매시업한 것도 유명하다.# #
4. 차트 성적
빌보드 R&B 차트에서 1979년 1월 둘째 주에 1주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79년 2월 둘째 주에 8위를 기록했고 3주 연속 10위권에,[2] 9주 연속 20위권에,[3] 11주 연속 40위권에 머물러 있었다.[4]197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78위에 올랐다.
5. 리듬 게임 수록
5.1. 응원단 시리즈
응원단 시리즈 중 도와줘 리듬히어로 (Elite Beat Agents)의 8번째 스테이지에서 나온다.
5.2.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TREME | |||
145 | 기타 표준 | 13 | 20 | 28 | |||
기타 오픈픽 | 16 | 23 | |||||
기타 베이스 | 13 | 21 | 30 | ||||
드럼매니아 | 13 | 29 | 48 | ||||
최초 수록 버전 | V4 Яock×Rock |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TREME |
170 | 기타 표준 | 1.30 | 2.05 | 3.55 |
기타 베이스 | 1.65 | 2.10 | 3.55 | |
드럼매니아 | 1.20 | 2.20 | 3.30 | |
최초 수록 버전 | GF DM XG | |||
삭제된 버전 | GITADORA |
5.3. 저스트 댄스 2017
프리뷰 영상 | |||
Equinox Stars - September | |||
난이도 | 보통 | 모드 | 트리오 |
픽토그램 수 | 113 | 골드 무브 | 3 |
Equinox Stars - September (디스코 피트니스 버전) | |||
난이도 | 보통 | 모드 | 솔로 |
픽토그램 수 | 151 | 골드 무브 | 4 |
저스트 댄스 2017에는 원곡이 아닌 Equinox Stars의 커버 버전을 사용하였다.
6. 매체
- GM대우 마티즈: 2006년 CF 배경음악으로 삽입되었다.
- 갤럭시 노트 2: 2012년 광고에 쓰였다.#
- 박물관이 살아있다!: 2006년에 개봉한 영화. 엔딩 장면에도 삽입되었다.
- 속 헤이세이 부부찻잔: 2002년 일본 드라마. 엔딩 장면에 삽입됐는데, 출연진들이 립싱크로 부르면서 플래시몹으로 춤추는 장면이 나온다. #
- 언터처블: 1%의 우정: 2011년에 개봉한 프랑스 영화로 September가 오프닝 곡으로 나온다. 주인공 중 한 명인 드리스(오마르 시 분)가 Earth, Wind & Fire의 팬이라는 설정.
- 트롤: 2016년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로 인트로와 엔딩 장면에 삽입돼있다.
- 로봇 드림: 2024년 3월에 개봉(동년도 9월에 재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로 중간 OST와 엔딩 장면에 삽입되었으며[5] 해당 영화의 주제가이다. 원작을 영화화하면서 감독 파블로 베르헤르가 주제가로 넣은 곡인데, "첫 가사를 보고 적격이라고 생각해서 삽입했다"라는 감독의 인터뷰대로 가사와 줄거리가 맞아 떨어진다.
7. 기타
- 공혁준: 하스스톤 방송 중 이 곡에 맞춰 춤을 춘 클립이 레딧 인기글 1위를 찍었다.# 곡선정 자체는 영상도네로 온 무작위 팝송이었지만, 파격적인 핸드파괴 콤보와 곡에 맞춘 신명나는 춤사위 덕분에 이후 매년 9월 21일마다 하스스톤 레딧에 이 영상이 올라오는게20182020202120222024 일종의 밈으로 자리잡았다.
- 배우 황정민은 아내가 분만실에서 아이의 출산을 앞두고 산통을 견디는 순간 생명의 탄생은 축복의 순간이니 이 상황을 즐겨야 한다는 생각에 고깔 모자를 쓰고 이 노래를 틀고 옆에서 춤추며 카메라로 그 순간을 촬영하다가 아내한테서 "나가 이 XX야!!!"라고 욕을 얻어먹었다. # 다만 쫓겨났다는 소문과 달리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즐겁게 남아서 끝까지 다 찍었다. 이 일화를 공감토크쇼 놀러와와 해피투게더에서 두 번 이야기했는데, 둘 다 유재석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한 이야기고 매번 그룹명을 '어스 앤 파인드'라고 틀리게 불렀다.
- 노래가 9월 21일을 기억하냐고 물으며 시작되기 때문에, 어느 유튜버가 'September but he can't remember'라는 제목으로 패러디했다. 9월 21일이 무슨 날인지 까먹었다는 컨셉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