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수도)을 가리키는 옛 표현
京城하술할 일제강점기 경성부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일제 잔재니 사용하지 말자'는 호도를 할 때가 있는데, 잘못된 내용이다.[1]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고려사에서 개경을 일컫거나 삼국사기 신라본기에서 서라벌을 가리킬 때도 쓴 오래된 어휘며 동아시아인 중국과 일본의 옛 기록에서도 서울(수도)을 뜻하는 일반명사로 많이 사용하던 어휘다. 중국에서 그냥 京城(한어병음:jīngchéng, 국립국어원식 한글 표기: 징청)이라고 하면 장안(한나라, 당나라 시절에), 베이징(영락제 이후 명나라 및 청나라 시절)을 의미한다.
1.1.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京城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성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성부#|]][[경성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함경북도의 지역 경성 (鏡城)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성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성군#|]][[경성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경북도에 있는 군. 면적 2,801.01㎢(1945년). 8.15 광복 당시에는 경성면 일리동(鏡城面 一里洞)에 군청을 두고 2읍(어대진·주을), 4면(경성·어랑·주북·주남)으로 이루어졌다.
3. 경성대학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사립대학으로 이 쪽은 한자가 慶星이다.(경상도 할 때의 그 '경'자다.) 과거 경성제국대학의 해방 직후 명칭인 경성대학의 경우는 1번 항목과 마찬가지로 京城이다.4. 케이세이 전철
일본의 16개 대형 사철 중 하나로, 한자로 줄여서 말하면 경성(京成)이 된다. 일본어로는 케이세이.5. 轻声 (輕聲)
중국어 음성에서 성조가 없는 것을 일컫는 단어. 중국어의 음절 중 본래의 성조를 잃고 짧고 가볍게 발음된다.6. 응우옌꽝또안의 연호 景盛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성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성제#|]][[경성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