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1:58:48

고무차륜열차

고무차륜 경전철에서 넘어옴

철도차량 관련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동력에 따른 분류기관차 (전기 · 디젤 · 가스 · 증기 · 수소) · 동차 (전기 · 자기부상열차 · 디젤 · 증기 · 수소) · 동력 구조
객차 (서비스 객차) · 화차 · 발전차 · 운전실
목적에 따른 분류 고속열차 · 저상열차 · 입환기 · 관광열차 · 전세열차 · 보수용 열차
군사적 (군용열차 · 열차포 · 장갑열차 · 특별동차 · 대통령 전용 열차)
수송량 (경전철 · 중전철 · 2층 열차) · 급커브 (틸팅열차 · 고무차륜열차)
위치에 따른 분류 선로 - 개수 (모노레일 · 제3궤조집전식) · 높이 (지하 · 저심도 · 노면(트램) · 고가 (현수식 · 과좌식))
도로 - 유도버스 (무궤도전차(선로유도) · 노면전차(구속유도) · 바이모달트램(자기유도))
}}}}}}}}} ||

도시철도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차량 종류중전철(지하철) ↔ 경전철(철제차륜/고무차륜) · 모노레일 · 노면전차(트램) · 선형전동기(LIM) · 자기부상열차
같이 보기 세계의 도시철도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대한민국의 경전철 차량 ·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안내방송 · 광역철도 · 광역급행철도
※ 차량 종류는 대한민국 도시철도법 제1장 2조의 정의에 따름
}}}}}}}}} ||
파일: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1.jpg
윗반송역으로 진입하는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출처
파일:20240701_185923.jpg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1. 개요2. 철제 차륜 대비 특징
2.1. 장점2.2. 단점
3. 노선
3.1. 대한민국
3.1.1. 예정 노선
3.2. 일본3.3. 중국3.4. 대만3.5. 싱가포르3.6. 인도네시아3.7. 프랑스3.8. 스위스3.9. 캐나다3.10. 멕시코
4.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바퀴가 고무 타이어로 된 열차를 말한다.

타이어를 쓴다는 점에서는 버스와 비슷하지만, 버스와는 달리 열차가 가이드레일(안내궤조, 案内軌條)이라고 불리는 궤도에 걸려 있어 이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정한 궤도 위만을 달린다는 점에서는 철도와 비슷하지만, 고무차륜열차의 가이드레일은 철도의 궤도와는 달리 열차를 특정 선로에 고정하기만 할 뿐 추진을 위한 접지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철선로와 비교하여 유연하게 건설,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주로 경전철에서 도입한다.

대한민국의 경전철은 철차륜 경전철이나 자체 개발한 한국형 고무차륜 경전철(K-AGT)을 주로 채택한다. K-AGT는 우진산전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함께 세계에서 4번째로 개발한 무인자동운전 고무 차륜 열차이다.우진산전 K-AGT 소개 K-AGT 기본 모델은 1량 혼잡도 100%의 경우 좌석 20여 명 입석 30여 명으로 약 50여 명의 정원을 가진다. 설계 최고속도는 시속 70km/h, 내구연한은 최소 25년, 전력공급방식은 제3궤조 방식을 채택했고 표준 궤간이 광궤인 1,700mm이다.[1]

고무차륜열차가 다니는 궤도는 일반 철도가 다니는 궤도와는 달리 바닥이 콘크리트 도상으로만 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대신 도상 인근에 한 가닥 내지는 두 가닥의 가이드레일이 있고 여기에 안내륜이라고 하는 바퀴를 걸어 열차가 정해진 선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고무차륜열차가 꼭 이런 식의 철궤도 없는 콘크리트 도상만을 다녀야 하는 것은 아니다. 중전철인 파리 메트로는 철제 차륜 열차와 고무 차륜 열차가 같은 표준궤 1,435mm 철길 위를 달리기도 하는데, 고무차륜열차는 1,435mm 궤도 두 가닥과 양 옆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륜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주행한다. 이 경우 철차륜 차량들도 구조적으로는 이들 선로에 호환이 된다.

일반적인 전기철도의 경우 철제 선로가 귀전선 역할을 해주지만 콘크리트 도상 위를 다니는 고무차륜열차는 철제 선로가 없으므로 전선을 두 개 깔아 하나를 급전선, 다른 하나를 귀전선으로 활용한다.

모노레일 역시 차륜에 따라서 철차륜 모노레일과 고무차륜 모노레일로 나뉜다. 국내에 유일하게 설치된 도시철도용 모노레일인 대구 3호선도 고무차륜이다. 그외 대중교통이 아닌 궤도운송법의 적용을 받는 모노레일은 철차륜으로 된 모델도 많다.

2. 철제 차륜 대비 특징

2.1. 장점

2.2. 단점

3. 노선

고무차륜 모노레일은 모노레일 문서 참조.

3.1. 대한민국

3.1.1. 예정 노선

3.2. 일본

3.3. 중국

3.4. 대만

3.5. 싱가포르

3.6. 인도네시아

3.7. 프랑스

3.8. 스위스

3.9. 캐나다

3.10. 멕시코

4. 관련 항목


[1] 의정부 경전철은 궤간이 1,620mm인데, 의정부 경전철은 설계 시점이 관련 법규가 정비되기 이전이어서 표준 궤간이 아니다.[2] 가감속 성능은 사실 차량의 모터 성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고무차륜 경전철인 K-AGT의 가속 성능은 3.5km/h/s인데 반해, 현대로템제 철제차륜 AGT의 가속 성능은 3.96km/h/s라 철제차륜이 오히려 더 높다.[3] 고무타이어가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이 더 좋을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철도는 제대로 만든다면 매끈하고 평평한 철제 선로 위를 돌아다니기 때문에 철제 차륜이라도 도로를 다니는 차량과 같은 충격이 없다.(선로와 선로 사이가 끊어져 있기 때문에 생기는 진동은 존재) 고무타이어가 다니는 선로 역시 콘크리트로 매끈하게 마감하여 충격이나 큰 진동이 발생할 일이 없으나 고무라는 특성상 수축 팽창이 이루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하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이 역으로 불편한 승차감을 유발하고는 한다.[4] 공전현상이 없으니 더 낫지 않겠냐 싶을법도 한데, 고무차륜의 선로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이기 때문에 물이나 눈이 쉽게 고이거나 얼고, 온도에 따라 물성의 유동성이 크다는 고무의 한계 때문에 오히려 외부에서 더욱 취약하다.[5] 신림선의 지선격으로 운행할 예정이다.[6] 부산4호선의 연장선으로 운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