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B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역 | 권역 | 시/군 |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 노선 | |
수 도 권 | 2 | 남양주 | |||
4 | 성남 | ||||
용인 | M4455[예] | ||||
화성 | M4448[민] M4449[예] | ||||
5 | 수원 | ||||
안양 | |||||
오산 | |||||
평택 | |||||
6 | 김포 | M6117[민] | |||
인 천 | 중구 | ||||
연수구 | |||||
남동구 | M6410[민] 시흥 | ||||
서구 | |||||
7 | 고양 | M7129[민] M7412[예] 광주 M7646[민] | |||
파주 | |||||
부산·울산권 | 거제 | ||||
준공영제 예정 노선[예] 민영제 노선[민] [[아웃 ○○ 노선|{{{#00BFFF 운행하는 지역의 면허가 아닌 노선}}}]]실제 면허지 |
1. 개요
신흥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55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462번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우미린1단지후문)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7:30 |
막차 | 19:00 | 막차 | 21:30 | ||
평일배차 | 20~290분 (1일 9회) | 주말배차 | 60~290분 (1일 6회) | ||
운수사명 | 신흥교통 | 인가대수 | |
경유 정류장 | ||
인천(영종국제도시) | ↔ | 서울(강남역) |
우미린1단지후문(상) 영종서희스타힐스정문(하) | 안골 | |
스카이시티자이.화성파크드림 | 서초아트자이아파트 | |
힐스테이트 | 서초역1번출구 | |
우미린2단지정문 | 교대역 | |
영종센트럴푸르지오자이.e편한세상센텀베뉴(상) 영종e편한세상센텀베뉴.센트럴푸르지오자이(하) | 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 | |
그린나래지하차도 | 양재역 | |
- |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 |
- | 양곡도매시장 |
3. 역사
- 2023년 10월 20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노선위원회에서 신설이 확정되었다.
- 2023년 11월 23일 사업자 공고를 냈으나 응찰한 업체가 나타나지 않았고, 2024년 1월 29일 2차 공고를 냈으나, 2차 공고에서도 응찰한 업체가 나타나지 않아 유찰됐다.
- 2024년 5월 16일 3차 사업자 모집이 올라왔다.
- 2024년 12월 28일에 3대로 먼저 신설되었다. #
- 2025년 상반기에 2대, 하반기에 3대가 증차될 예정이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NH시(평시) 1시간 20분, RH시(출퇴근시) 2시간 정도의 소요시간이 예상된다.
- M6336번을 제치고 역대 최장거리 광역급행버스로 등극했다.
- 광역버스의 황무지이던 영종국제도시에 최초로 생기는 서울행 광역버스이다.[2] 이전에도 광역버스와 유사한 역할의 117번이 있지만,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고 서울의 외곽에만 정차하며 9호선 급행열차 미정차역인 개화역까지만 진입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했다.
- 인천대교고속도로에 진입하기 직전 그린나래지하차도 정류장에 정차한다.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e편한세상 영종하늘도시, 호반써밋 스카이센트럴 II 외에도 운서역과 거리가 애매한 금호어울림, 운서역 푸르지오 더 스카이, 운서 SK뷰 스카이시티 등 아파트의 수요도 끌어올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영종구청 예정지인 행정타운의 아파트들이 입주하면 영종대로 상에 정류장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 특이하게 광역버스들이 많이 정차하는 선바위역도, 서초힐스아파트도 아닌 안골 정류장에 정차한다. 해당 정류장에서 4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선바위역 1번 출구 기준으로 약 900m 가까운 거리의 도보가 필요하며, 약 10~15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도보가 약간 불편하다면, 안골 정류소 하차 후 서초18번이나 11-3번과 같은 노선으로 환승 후 선바위역에 내리는 것을 추천하며, 목적지가 서울쪽이고 이것마저도 귀찮다면 그냥 서초역에 하차하여 2호선으로 환승 후 사당역에서 내려서 4호선으로 환승하거나, 영종하늘도시에서 320번을 탑승 후, M6405번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3]
- 바다 위의 섬으로 가는 최초의 광역급행버스 노선이다. 다만 바다를 건너는 것 자체는 M6405번이 최초이며[4], 섬으로 가는 노선도 여의도에 진입하는 M5609번(현 5609번)이 최초이다.
- 요금은 초승시 M버스 상한 요금인 3500원이다. 다만 환승으로 탑승 시 4000원 정도까지 될 수 있다. 초승 요금은 전철보다 약간 더 비싸지만 영종도 내에서 버스-공항철도 간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으면 오히려 이 노선이 비교적 저렴하다.
- 강남역 출발 기준 막차시간이 21:30분으로 매우 짧은 편에 속한다. 사전에 시간표를 확인하고 막차를 놓쳤을 경우 대체 수단으로 3호선,신분당선을 타고 9호선으로 환승한 다음 김포공항역에서 공항철도로 갈아타야 한다.
5. 영종->강남역 대체 노선
- 아직까지 배차간격이 긴 편에 속하여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5], 아래의 대체노선을 이용하자.
- 지하철
- 1. 영종역행 버스 승차 후 영종역 하차 -> 공항철도 영종역 승차 -> 홍대입구역 하차 및 2호선 환승 -> 강남역 하차(약 1시간 30~1시간 45분 소요)
- 2. 영종역행 버스 승차 후 영종역 하차 -> 공항철도 영종역 승차 -> 김포공항역 하차 및 9호선 급행 환승 -> 신논현역 하차 및 신분당선 환승 -> 강남역 하차 또는 신논현역 하차 후 도보[6]
- 2-1. 위 경로와 김포공항역까지 동일 -> 고속터미널역 하차 및 3호선 환승 -> 교대역 하차 및 2호선 환승 -> 강남역 하차 (약 1시간 40분 소요)
- 버스
- 1. 320번 승차[7] 후 송도더삽퍼스트월드(동문) 하차 -> M6405번 환승 후 강남역 하차 (약 1시간 55~2시간 5분 소요)
- 2. 320번 승차 후 캠퍼스타운역 하차 -> 9201번 환승 후 강남역 하차[8] (약 2시간~2시간 10분 소요)
5.1. 시간표
- 볼드체는 배차간격 280~290분(4시간 40~4시간 50분) 구간
광역급행버스 M6462번 운행시간표 2024년 12월 28일 기준 | |||||||||
횟수 | 평일 | 토,일,공휴일 | |||||||
우미린1단지후문 | 강남역 | 우미린1단지후문 | 강남역 | ||||||
1 | 05:30 | 07:30 | 05:30 | 07:30 | |||||
2 | 05:50 | 08:00 | 06:30 | 08:40 | |||||
3 | 06:10 | 08:30 | 11:20 | 13:30 | |||||
4 | 11:00 | 13:10 | 13:20 | 15:30 | |||||
5 | 12:20 | 14:30 | 16:40 | 19:00 | |||||
6 | 13:40 | 15:50 | 19:00 | 21:30 | |||||
7 | 15:50 | 18:10 | |||||||
8 | 17:30 | 19:50 | |||||||
9 | 19:00 | 21:30 |
- 평일 기준 6시 10분 영종 출발 차를 놓치면 7, 8, 9, 10시대에 차가 없고, 주말 기준 6시 30분 영종 출발 차를 놓치면 7, 8, 9, 10시대에 차가 없다. 위의 대체노선을 참고하여 이 노선이 10~30분 내에 도착하지 않으면 대체노선을 이용하자.
5.2. 일평균 승차인원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462번 | ||
<rowcolor=#00B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24년 | 명 | - |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6.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교대역, 서초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교대역, 양재역
- 서울 지하철 4호선: 선바위역[주의]
- 신분당선: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f72f08> | }}} |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마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f72f08><colcolor=#fff><nopad> 광역급행 | ||
간선급행 | |||
광역 |
인천 - 강남역간 버스 | ||||
광역급행 | M6405 | M6410 | M6439 | M6450 |
M6457 | M6458 | M6462 | ||
광역 | 9100 | 9200 | 9201 | 9300 |
9500 | 9501 | 9802 |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공항 | 6770 | 6777 | 6777-1 | |
광역 | 1000 | 1100 | 1101 | 1200 | |
1300 | | 1301 | 1302 | ||
1400 | 1500 | 1601 | 9100 | ||
9200 | 9201 | 9300 | 9500 | ||
9501 | 9802 | ||||
좌석 | 60-5 | 790,A/B, | 800 | 801 | |
111,B, | 117 | 302,B, | 303 | ||
303-1 | 304 | 306,A, | 307 | ||
308 | 310 | 320 | 330 | ||
급행간선 | 급행91 | ||||
간선 | 202,A, | 203,A, | 204 | 205 | |
221 | 223,A, | ||||
공영 | 중구6 | 중구7 | 중구8 | 동인천행 | |
영흥직행 | |||||
무네미로 경유 노선은 제외 | }}}}}}}}} |
[1] 평일 3대 / 주말 2대 운행, 추후 5대 증차 예정[2] 과거 폐선됐던 9800번이 수도권 전철 7호선의 부평구청역 연장으로 수요가 줄면서 기존 종점이었던 가좌동에서 영종도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신규 회사 입찰을 시도했으나 전부 입찰에 실패하고 폐선됐던 적이 있었다.[3] M6405번의 경우 이 노선과 달리 선바위역 바로 앞에 정차하여 도보 면에서 이점이 있다.[4] 송도국제도시와 인천 본토 사이의 물길도 서해의 일부로 취급되기 때문이다.[5] 평일 기준 6시 10분 출발 차를 놓치면 다음 차가 무려 11시에 있다.[6] 약 10~15분이 소요된다.[7] 우미린1단지->그린나래지하차도 까지 전 구간 이 노선과 중복이며, 이 노선이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들을 많이 정차한다.[8] M6405번과 경로 자체는 동일하지만 9201번은 시흥하늘휴게소에 정차하며,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더 많아 소요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주의] 안골 정류소 하차 후 도보. 하지만 약 1km으로 상당히 멀다.그래서 버스 환승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