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위치한 광주고에 대한 내용은 광주고등학교(경기) 문서 참고하십시오.
광주광역시 동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광주고등학교 |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 전남여자고등학교 |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 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5.18 사적지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4px -1px -11px" | 1호 | 전남대학교 정문 | 6호 | 구)광주 YWCA | 14호 | 주남마을 입구 | 22호 | 옛 광주교도소 |
2호 | 광주역 광장 | 7호 | 구)광주문화방송 | 15호 | 광목간 민간인 학살지 | 23호 | 구)국군광주병원 | |
3호 | 구)시외버스 터미널 | 8호 | 녹두서점 옛터 | 16호 | 농성광장 격전지 | 24호 | 망월동 5.18묘역 | |
4호 | 금남로 | 9호 | 전남대병원 | 17호 | 상무대 옛터 | 25호 | 남동성당 | |
5-1호 | 구)전남도청 | 10호 | 광주기독병원 | 18호 | 무등경기장 정문 | 26호 | 505보안부대 터 | |
5-2호 | 5.18 민주광장 | 11호 | 구)적십자병원 | 19호 | 양동시장 | 27호 | 들불야학 옛터 | |
5-3호 | 상무관 | 12호 | 조선대학교 | 20호 | 광주공원 | 28호 | 전일빌딩245 | |
5-4호 | 광주 YMCA | 13호 | 홍림교 | 21호 | 광주고등학교 정문 | 29호 | 홍남순 변호사 가옥 | }}}}}}}}} |
광주고등학교 光州高等學校 Gwangju High School | |
<colbgcolor=#b8860b> 개교 | 1951년[1] |
유형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
성별 | 남학교 |
운영형태 | 공립 |
교장 | 김선성 |
교감 | 강창현 |
교훈 | 학행일치(學行一致) |
학생 수 | 623명 (2023학년도 기준) |
교직원 수 | 60명 (2023학년도 기준) |
관할교육청 | 광주광역시교육청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 (계림동)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광주고등학교(光州高等學校)는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이다.공식 개교년도는 1951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1923년에 광주공립중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37년에 광주동공립중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가 1951년 광주서중학교와 병합하여 4, 5, 6학년이 편입되어 광주고등학교로 새로 개편되었다. 또한 1929년, 여기서 광주공립중학교를 다니던 후쿠다 슈조(福田修三)·스메요시 가쓰오(末吉克己)·다나카(田中) 등이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다니던 박준채와 마찰을 빚어 광주학생항일운동의 계기가 된 학교로도 알려져 있다.
2. 학교 연혁
- 1951. 09. 28 : 광주고 3년제 개교 - 설립 근거: 학제 개편(대통령령528호, 1951.8.14.)으로 6-3-3제로 변경 - 6년제이던 동중+서중의 4~6학년이 광주고등학교에 편입(1~3년)
- 1951. 10. 26 : 개교기념일 제정
- 1952. 03. 31 : 광주고등학교 제1회 졸업식 (469명 졸업)
- 1954. 05. 01 :광주고등학교 병설 광주동중학교 3년제 개교
- 1955. 10. 21 : 도서관(세종관) 준공
- 1958. 11. 01 : 교가 제정
- 1968. 08. 18 : 과학관 준공
- 1972. 01. 14 : 광주동중학교(3년제 중학) 제17회 졸업식 (최종 졸업) (1회~17회 졸업생 4,672명)
- 1973. 12. 03 : 체육관(홍익관) 준공
- 1975. 03. 01 :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개교
- 1991. 02. 25 : 본관 준공
- 1992. 01. 01 : 교문 확장 축조 및 수위실 개축
- 1998. 09. 25 : 식당(섭양관) 및 음악당 준공
- 2002. 05. 31 : 기숙사(우정학사) 준공
- 2002. 08. 16 : 과학관(창학관) 준공
- 2004. 03. 24 : 계림대 준공
- 2004. 09. 17 : 사이버 교실 설치
- 2004. 10. 01: 보아라! 우리 광고!! 창간호 발행
- 2004. 10. 09: 다목적 강당(홍익관) 리모델링 개관
- 2004. 10. 18 : 광주고등학교인재육성협의회 회칙 제정
- 2004. 10. 30 : 광주고등학교인재육성 프로젝트 창간호 발행
- 2006. 04. 19 : 4 · 19시비 제막
- 2006. 12. 08 : 아름다운 학교 최우수상 수상
- 2007. 05. 30 : 광고문학관(光高文學館) 개관
- 2007. 07. 13 : 제15회 한국수학경시대회 최우수학교 표창
- 2008. 03. 01: 제22대 김용하 교장 취임
- 2009. 12. 26: 2009학년도 학교평가 우수학교 표창
- 2010. 01. 11 : 2009학년도 수능성적 최우수학교 표창
- 2010. 02. 10 : 제59회 졸업식(366명 졸업, 졸업생 총수 30,309명)
- 2011. 02. 10 : 제60회 졸업식(343명 졸업, 졸업생 총수 30,652명)
- 2011. 03. 01 : 제23대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김용하 교장 취임
- 2012. 02. 09 : 제61회 졸업식(281명 졸업, 졸업생 총수 30,933명)
- 2012. 09. 01 : 제24대 김종근 교장 취임
- 2015. 10. 20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재지정(16.3.~21.2 5년)
- 2016. 02. 05 : 제65회 졸업식(278명 졸업, 졸업생 총수 32,147명)
- 2016. 03. 02 : 제68회 입학식(신입생 286명 입학)
- 2016. 09. 01 : 제25대 이영호 교장 취임
- 2017. 02. 10 : 제66회 졸업식(282명 졸업, 졸업생 총수 32,429명)
- 2017. 03. 02 : 제69회 입학식(신입생 270명 입학)
- 2019. 03. 04 : 제71회 입학식(신입생 230명 입학)[2]
- 2020. 01. 31 : 제69회 졸업식(266명 졸업, 졸업생 총수 33,252명)
- 2020. 09. 01 : 제26대 최동림 교장 취임
- 2022. 03. 01 : 제27대 진정준 교장 취임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기
3.3. 교목
3.4. 교화
3.5. 교색
3.6. 교가
4. 학교 시설
학교 내부가 크고 건물들이 많아 신입생들이 길을 잘 찾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4.1. 안내동(이발관)
광주고등학교 정문에 들어서면 바로 왼편에 보이는 곳. 주로 경비실이라고 불린다. 당직 교사가 항상 근무한다. ‘광주고등학교 정문 경비실’로 주소를 입력하고 택배를 보내면 당직 교사가 모두 보관해준다.경비실 바로 옆에는 이발소가 있다. 특이하게 고등학교 내에 이발소가 있는 것이다. 광주고등학교 동문 선배가 운영한다. 이용 고객은 대부분 광주고 동문 선배들이다. 광주고등학교 학생들도 이곳에서 이발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삭발만 가능하다. 가격은 5,000원이고 매주 수요일은 휴무일이다. 현재는 없어졌다.
4.2. 홍익관
건물 이름은 홍익관이지만 주로 강당이나 체육관으로 불린다. 입학식, 축제, 졸업식 등 여러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광주고등학교 농구부의 홈그라운드로 사용되고 있다. 유튜브 채널 ‘터치플레이’가 직접 이곳에 와서 광주고등학교 농구부 선수들과 시합을 한 적이 있다.#
4.3. 섭양관
건물 이름은 섭양관이지만 그 누구도 섭양관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음악당[3] 혹은 급식실로만 불린다. 1층에는 급식실이, 2층에는 음악당이 있다. 놀라운 점은 급식실과 비슷한 크기의 음악당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각종 행사가 음악당에서 열린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과 외국어 합창대회가 대표적이다. 음악 수업도 항상 음악당에서 한다.
4.4. 본관
오르막에 지어진 건물이라 1층이 좁고 2층이 거의 1층처럼 느껴진다. 1991년에 지어져서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다.
- 1층 행정실, 도움반, 발간실
- 2층 보건실, 교육정보실, 인성부실, 방송실, 본교무실, 교장실, 창의인재부
- 3층 1학년 교실, 1학년 교무실
- 4층 2학년 교실, 2학년 교무실
4.5. 후관
흔히 방통고(방송통신고) 또는 후관동이라 불리는 이곳은 방송통신고 교실이 있다. 하지만 평일에는 방송통신고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으므로 1, 2학년 교사들이 교과교실로 사용한다.
- 1층 미술실, 광고문학관
- 2층 방통고 교무실, 국어교실, 영어교실
- 3층 사회교실, 수학교실1, 수학교실2
미술실 옆에는 광고문학관이 있는데, 따로 통하는 길은 없고 광고문학관 정문으로만 드나들 수 있다. 광고문학관은 광주고 출신 문인들의 작품들을 전시해놓은 곳이다. 고등학교 내 문학관이 있는 경우는 전국에서 유일하다. 하지만 쉽게 구경할 수 없는 곳이기도 하다. 평소에는 문을 잠가 두고 특별한 날[4]에만 개방한다.
4.6. 계림동산
광주고의 성지. 수업에 지친 학생들이 점심을 먹고 매점에서 먹을거리를 사들고 산책하기 좋은 장소이다.
광주고등학교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계림동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光高에는 우리지역 최고의 명당이라 전해져 내려오는 야트막한 동산이 있습니다. 光高의 별칭이기도 한 '계림동산'이 바로 그것입니다. 7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光高의 상징이자 터전이지요. 光高의 교화이기도 한 아카시아가 많다고 하여 '아카시아동산'이라고도 부릅니다. 光高人이라면 교훈인 '學行一致'와 더불어 '계림동산, 아카시아동산'을 늘 가슴에 새기고 지냅니다. 세종관(도서관)에서 공부하다 지친 光高人들은 계림동산에서 휴식을 취하며 미래의 꿈과 인생을 생각합니다. 계림동산은 사색의 공간이요, 상상의 공간입니다. 光高 출신의 문인들이 유독 많은 까닭이 계림동산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光高人들의 인성과 우정이 남다른 것도 상서로운 기운을 품고 있는 계림동산이 사시사철 그들을 포근히 감싸고 있기 때문입니다. 계림동산은 光高의 소중한 전통이자 뿌리입니다.”
4.7. 세종관
세종관 자습실[5]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
4.8. 기숙사
1, 2학년이 같이 사용하는 웅비관과 3학년 따로 사용하는 계림관으로 나뉘어져 있다. 시설이 굉장히 좋지 않은데, 웅비관은 금간 벽이 인상적이며, 계림관은 바퀴벌레와 지네 등 다양한 동물과 교감하며 살 수 있다. 독이 있는 왕지네에 물려서 병원에 간 경우도 있다.특히 여름에는 모기, 나방, 매미유충 등이 엄청 많아서 벌레가 싫다면 절대 안들어가야한다. 웅비관도 만만치 않다. 여름에 자고 일어나면 기본 모기 5방을 물린 자신의 팔을 확인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실[6]에 들어가면 모기를 5마리 정도는 기본으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2023년 기숙사 새단장을 하였고 현재는 시설또한 좋아졌다.[7]
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 체육대회
- 광주고 축제
- 광주고 외국어 합창 대회
6. 출신 인물
- 강대형
- 강신석
- 강윤구 (공무원)
- 강정수
- 고귀남
- 고중석
- 김동환
- 김기홍
- 김만기
- 김병조 (희극인)
- 김보현
- 김상열
- 김상용(1950)
- 김수
- 김순호
- 김양배
- 김영룡
- 김완기
- 김재철
- 김종천 (군인)
- 김중배
- 김태정
- 김홍연
- 김화진 (국민의힘 전라남도당 위원장)[13]
- 나석호
- 나승포
- 나종민
- 노경필
- 류인학
- 류준상
- 명동성
- 모성준
- 문순태
- 민병록
- 민용태
- 민화식
- 박관현
- 박대문
- 박봉우
- 박봉환
- 박상천
- 박석무
- 박성룡
- 박성철
- 박승주
- 박우철
- 박윤흔
- 박재승
- 박정구
- 박주선
- 박태영 (1941년)
- 배만운
- 배용태
- 백군기
- 백남기
- 백형구
- 서범석
- 서병조
- 소재섭
- 손금주
- 손수익
- 손학래
- 송상락
- 송재구
- 송주호
- 신계륜
- 신일순
- 신재호 (농구 선수)
- 심상명
- 안정남
- 안종운
- 안주섭
- 양동관
- 양성철
- 양희승
- 오순택
- 오점록
- 오종렬
- 위성복
- 유두석
- 유수택
- 윤관
- 윤영철
- 윤종록
- 이규현(1959)
- 이균범
- 이기권
- 이기현
- 이동진
- 이명흠
- 이문옥
- 이병구
- 이병완
- 이상하
- 이성부 (시인)
- 이승훈 (농구 선수)
- 이용근
- 이용선
- 이이화
- 이재근
- 이정빈
- 이정현
- 이철원
- 이환의
- 이홍길
- 이효계
- 장석웅 : 전라남도교육감
- 장재식
- 장현
- 장휘국 : 광주광역시교육감
- 전정규
- 정봉채
- 정의찬 (정치인)
- 정채기 (정치인)
- 정현경
- 조상호(1950)
- 조영표
- 조우현
- 조태일
- 주봉현
- 지건길
- 천경송
- 최성락
- 최문휴
- 최수병
- 최정원 (1949년)
- 표명렬
- 한갑수
- 한창기
- 황일웅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 학교 앞 : 매월06, 문흥39, 운림54, 석곡87, 송정98, 용전184, 228, 419, 518, 남구715
- 계림사거리 정류장 : 160(나주), 322(-1, 2)(담양), 동광담양고속 광주 착발노선들
- 4.19기념관 정류장 : 송정19, 금남55, 용봉83
8. 사건 사고
- 광주 학동 건물 붕괴 사고로 이 학교에 재학 중이던 김OO 군(향년 17세)이 사망했다. 동아리 활동으로 학교에 다녀오는 길에 참변을 당했다.
9. 기타
- 야자 분위기는 엄격하다. 핸드폰으로 자유롭게 신청한다.
- 독서실 시설이 좋고, 학생 모두 야자시간에 독서실 같은 좋은 공간에서 야자를 한다. 이 점은 다른 학교에 비해 좋은 메리트.
- 가끔 수능 보기 전에 광주고 출신 전 광주광역시교육감 장휘국이 와서 악수해주고 간다.
[1] 실질적으로는 1923년 광주공립중학교로 개교.[2] 2019학년도는 각 학년당 8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전교생 총수는 735명이다.[3] 음악당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음악실이라고 부를만한 크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진짜 매우 크다.[4] 광고백일장, 교내축제 등[5] 출처: 광주고등학교 홈페이지[6] 컴퓨터실[7] 학교 옆 두산아파트를 지을때 조망권 침해에 대한 보상으로 10억원을 받았는데 그 돈 일부를 기숙사 새단장하는데 썼다고.[8] 전통적으로 매년 학생회 부스가 계림동산 앞에서 운영된다. 컨텐츠는 먹거리와 물풍선. 1,000원에 물풍선 3개를 살 수 있고 학생회 임원 2명을 지목하여 세워놓고 물풍선을 던져 맞출 수 있다. 학생회 임원들이 음식을 팔고 물풍선을 맞아가며 힘겹게 모은 돈으로 고3 선배들이 수능을 치를 때 초콜릿을 산다.[9] 사회자는 2학년 회장과 2학년 부회장이다.[10] 이때 다른 학교 여고생들이 많이 놀러오기 때문에 학생들이 눈에 불을 켜고 번호를 따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11] 2~3팀[12] 코로나19로 인하여 모두 온라인 경기로 대체되면서 E스포츠 경기를 하고 교사들이 사회를 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었다. 여담으로 그 덕분에 방송부가 고생을 했다.[13] 방송에서 전라도 도민의 절반 이상이 종북세력이라고 말했던 그 인물이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