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07:04:42

교토유신회

파일:교토시 문장.svg
교토시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립여당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19석
]]
[[공명당|공명당
11석
]]
입헌민주당
2석
민주시민포럼
2석
중립
[[교토유신회|교토유신회
10석
]]
[[지역정당 교토당|지역정당 교토당
5석
]]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
3석
]]
야당
[[일본공산당|일본공산당
14석
]]
[[무소속|무소속
1석
]]
재적
67석
/ 결원
0석
※ '민주시민포럼'은 무소속으로 구성된 회파이다.
}}}}}}}}}}}} ||
파일:교토유신회 로고.png
京都維新の会 | 교토유신회
<colcolor=#6cba2a><colbgcolor=#f5f5f5,#2d2f34> 창당일 2012년 10월 5일
전신 자유민주당 (일부)
이념 지방분권·도주제
규제완화·민영화
주소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 604-8241
(604-8241 京都府京都市伏見区)
대표 마에하라 세이지
대표대행 가미쿠라 기요유키
부대표 니이미 쇼헤이, 우사미 켄이치, 쿠보타 마사키
간사장 하타모토 요시마사
정무조사회장 마쓰야마 마사유키
참의원
1석[1] / 245석 (0.4%)
중의원
1석[2] / 465석 (0.2%)
부의회
9석 / 60석 (15%)
교토시의회
8석 / 67석 (12%)
당 색
연두색 (#6CBA2A)
초록색 (#03876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소속 정치인
3.1. 국회의원

1. 개요

교토유신회교토부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정당[3]이자 일본유신회의 산하정당이다.

2. 역사

2012년 10월 5일, 타사카 이쿠타 교토시의회 의장[4]을 중심으로 자유민주당을 탈당한 교토부 정치인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10월 6일 일본유신회하시모토 도루, 마쓰이 이치로와의 회담을 통해 일본유신회와 협력을 결정했고, 10월 24일 협약을 통해 협력 관계에 놓였다. 이후 모두의 당 소속 정치인들도 합류했다.

일본유신회가 유신당으로 합당한 후에는 유신당의 교토부 지역 조직으로서 기능했다. 유신당 분당 조짐이 보이자 2016년 1월 오사카유신회 산하로 들어갔다. 동년 4월 교토부 제3구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에 모리 나쓰에 후보를 공천했으나 유신당의 후신인 민진당이즈미 켄타 후보에게 참패했다. 이에 교토유신회 간사장을 역임하던 도요타 다카시 교토시의원이 책임을 지고 간사장 직, 시의원 직을 사임하고 탈당했다.

2017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모리 나쓰에 후보가 교토부 제3구에 다시 출마했다. 5명 중 4위를 차지했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이후 모리 나쓰에 의원은 교토유신회 대표가 되었다.

2019년 4월 7일, 제19대 통일지방선거 당시 교토부의회 선거에서 현직 1명과 신인 1명 총 2명이 당선되었다. 교토시의회 선거에서는 5명의 당선자를 배출해 시의회 교섭단체를 형성했다.

2020년 교토시장 선거를 위해 후보를 모집했으나 최종 후보 공천에 실패했다. 대신 교탄고시의원 배출에는 성공했다.

2022년 4월 10일, 현의회 보궐선거에서 신인 하타모토 요시미쓰가 교토시 기타구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2022년 8월 5일, 교토시의회에서 교토당과 함께 새로운 파벌을 결성했다.

2023년 4월 9일, 제20회 통일지방선거에서 교토부의회 의원 9명, 교토시의회 의원 10명이 당선되었다.

2024년 12월 15일,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유신회 공동대표가 대표로 임명되었다.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교토부 선거구에 출마한 니이미 쇼헤이 후보가 1위로 당선되었다.

3. 소속 정치인

3.1. 국회의원

교토유신회 소속 중의원 의원
마에하라 세이지
(교토 2구, 11선)
교토유신회 소속 참의원 의원
2031년 개선 니이미 쇼헤이
(교토부, 초선)

기타 지방의원들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지역구 1석[2] 지역구 1석[3] 일본 공직선거법에서 국회의원이 5명 미만이거나 국정선거에서 2% 이상 득표하지 못한 정당은 정당으로 인정되지 않기에, 법적으로는 정치단체이다. 교토유신회 소속 국회의원들은 국회에서 모두 일본유신회 소속으로 활동한다.[4]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 일본유신회 소속으로 교토부 제1구에 출마하나 2위로 낙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