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4:58:51

구미 버스 180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5년 8월 개편 때까지 운행했던 180번에 대한 내용은 구미 버스 19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33a0>
파일:구미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KTX
리무진
좌석
지선
간선
공단순환
마을 수점동 마을버스
}}}}}}}}} ||

파일:DSC_3672.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구미역에서 구미시 공단동 공단본부를 거쳐 구미시 구평동 구평영무예다음2차아파트까지 운행하는 구미시 시내버스.

2. 노선 정보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시내버스 180번
기점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구미역) 종점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구평예다음아파트)
종점행 첫차 06:05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19:35 막차 20:45
운수사명 구미버스, 일선교통 배차간격 120~180분 (1일 7회)
노선 구미역 - 금오산네거리 - 푸르지오캐슬아파트 - 송정동번개시장 - 시청후문 - 동아백화점 - 구미종합터미널[1]/오성예식장[2] - 신평사거리 - 신평1동 - 롯데마트 - 코오롱구미공장 - 공단본부 - 구미세무서 - 동락공원입구 - 수도가압장 - 삼성전자후문 - 진평동 - 인동시립도서관입구 - 진평중학교입구 - 인동고등학교입구 - 구평부영아파트 - 구평1동 - 구평영무예다음아파트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구미역→예다음아파트 예다음아파트→구미역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다.

4.2. 사건사고

파일:external/ph.kyongbuk.co.kr/950081_233517_0121.jpg
(출처: 페이스북 김용재/경북일보)
2016년 2월 6일 구미역 앞에서 운행중이던 일선교통 전기버스에 연기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긴급 출동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시험 운행 과정에서 코스트 절감을 위해 장착한 중국산 배터리라고 하며, 사고가 난 차량이 2년 동안 60건 이상의 고장을 일으켰다는 지적이 나오며 구설수에 올랐다. 이 사고를 계기로 자일대우버스가 제작한 무선충전 전기버스에는 중국산이 아닌 LG제 배터리가 장착되었다. 잦은 잔고장으로 프리머스 전기버스는 2020년 7월에, BS110 전기버스는 조기대차 혹은 말소되었다.

5. 연계 철도역


[1] 기점행만 정차[2] 종점행만 정차[3] 상용화 전 사례까지 하면 2009년부터 KAIST 에서 운행중인 구내 셔틀이 세계 최초. 버스가 아닌 자동차로서의 기술 개발 자체는 1997년에 독일에서 이미 이루어졌다.[4] 아마 전기버스 차량의 안전 문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BS110 차량과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차량이 하루마다 돌아가며 운행하는 것 같다. 이마저도 힘들 때는 그날 운행이 없는 저상버스나 일반, 좌석차량을 투입한다.[5] 스마트폰 무선 충전과 같은 원리다.[6] 개통 초기에는 인동정류장과 황상동을 한 바퀴 도는 경로였다.[7] 좌석노선인 구 180번과는 무관하다. 해당 노선은 구미역에서 출발하여 금오공대를 거쳐 해평까지 가는 노선으로, 개편으로 192번으로 변경되었다.[8] 여담으로 06:50에 180번을 운행한 좌석버스 차량은 구미역 도착 후 900번 노선을 운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