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1:23:37

구성시

구성군(평안북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신의주시
구성시 정주시 }}}
곽산군 구장군 녕변군 대관군 동림군
동창군 룡천군 박천군 벽동군 삭주군
선천군 신도군 염주군 운산군 운전군
의주군 창성군 천마군 철산군 태천군
피현군
}}}}}}}}}


구성시
龜城市 / Kusŏng City
파일:Kusong City in North Phyongan Province.svg
국가 북한
면적 652.5㎢
광역시도 평안북도
행정구역 25동 18리
시간대 UTC+9

파일:/pds/200902/26/20/a0114420_49a66ed73ad06.jpg
구성읍성의 남문인 진남루(鎭南樓)[1]

1. 개요2. 북한 기준 행정구역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북한 평안북도도시. 자강도가 잘려나간 뒤의 평안북도 중에서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면적은 652.5km²로 서울특별시와 비슷한 수준.

고구려 시대에는 만년군(萬年郡)이었다. 고려시대에는 귀주(龜州)라고 불린 북방의 중요 거점으로 제1차 여요전쟁서희의 담판으로 얻어낸 강동 6주 중 하나였으며, 제2차 여요전쟁 때는 고려군 최고의 명장 중 1명이였던 김숙흥의 관할지였고, 제3차 여요전쟁강감찬이 거란군을 대파하는 귀주 대첩으로 여요전쟁을 승리로 끝낸 곳이다.[2] 그리고 뒷날 몽골 제국과의 전쟁 당시에도 박서와 김경손이 몽골군을 맞아 철저히 항전한 곳이기도 하다. 그만큼 고려의 서북 방면 최중요 요새 중 하나이며 고려의 북방전쟁사와 관계가 깊은 도시이다.

이는 구성시가 한반도에서 압록강으로 가려면 사실상 반드시 지나야 하는 길목이었기 때문이었기도 하다. 실제로 평안북도에서 압록강을 넘으러 가는 길을 보면, 해안가를 따라 나있는 큰길을 제외하면 거의 다 구성시를 통한다. 철도는 평북선과 구성선이 갈라지는 분기점이며, 주요 도로망도 2개나 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군사적인 시설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시가지에서도 벽 안쪽에 둘러싸여 바깥과 달리 울창한 지역이 몇 군데 있고, 95호 탄약공장 같은 군수시설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주성 성벽이 있던 자리 한쪽에도 군사 시설이 있다. 또 해방 이래 모든 북한 주민들의 8촌까지의 출신성분을 분석한 주민등록 서류 원본이 구성시 지하갱도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그 갱도가 2024년 압록강 유역 대홍수로 잠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

대관군, 곽산군, 정주시, 천마군[3], 선천군 등과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인구는 2008년 북한 인구조사 기준 196,515명으로 대한민국이천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철도 노선으로는 평북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구성역에서 구성선이 분기한다.

2. 북한 기준 행정구역

총 25동 18리로 구성되어 있다.

25개 동 중 미사일 관련 시설이 밀집된 방현동평양시에 편입되었다.# 이는 미사일 산업 종사자들에게 평양 시민의 특권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신흥1동, 신흥2동, 남창동처럼 방현동과 연담화된 지역도 진입하는 길목에 초소가 보이거나 공장이 보여 마찬가지로 편입되어 방현동과 비슷한 관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정부상징.svg
신의주시
파일:정부상징.svg
의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용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철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선천군
파일:정부상징.svg
강계군
파일:정부상징.svg
정주군
파일:정부상징.svg
박천군
파일:정부상징.svg
태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영변군
파일:정부상징.svg
자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운산군
파일:정부상징.svg
구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창성군
파일:정부상징.svg
벽동군
파일:정부상징.svg
후창군
파일:정부상징.svg
삭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초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위원군
파일:정부상징.svg
희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신의주시 }}}}}}}}}


파일:정부상징.svg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정부상징.svg
구성군
龜城郡
Guseong County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구성면 좌부동
상위 행정구역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10
면적 652.5km²
인구 196,515명(2008년)
인구밀도 미정/㎢(2008년)
명예 군수 김승욱 (제22대)
명예 읍면장 10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구성군 소개

파일:구성군.jpg[4]

광복 당시 면적 1,241㎢였으며 10개 면이 있었다.

4. 출신 인물



[1] 994년 귀주성을 쌓을 때 건축되었으며 현재의 문루는 6.25 전쟁으로 파괴된 걸 1979년 복원한 것이라고 한다.[2] 다만, 전투가 벌어진 장소는 귀주성이 아닌 귀주성 동쪽의 들판이었다.[3] 광복 당시에는 구성군의 서부지역이었다.[4] 구성시는 광복 당시 군이었으므로 이북 5도 기준에서는 구성의 시 승격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