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9:04:07

구주령

구주령
九珠嶺 | Gujuryeong
파일:Gujuryeong.jpg
구주령휴게소 부근[1]
파일:PXL_20210220_132025526.NIGHT.jpg
구주령 비석
지도
소속 <colcolor=#000,#ddd><colbgcolor=#fff,#38383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본신리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외선미리
위치 북위 36°76′03″ 동경 129°29′72″ (최고점)
분류 고개
산맥 태백산맥
높이 550 m (군 경계, 옥녀당 부근)
지질학적 형성 신생대 제3기 비대칭 요곡 운동
쾨펜의 기후 구분 냉대 습윤 기후 (Dfb)

1. 개요2. 역사3. 특징
3.1. 험한 고갯길3.2. 처참한 통행량3.3. 공도 레이싱의 성지
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구주령(九珠嶺)은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울진군 온정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영양군울진군의 경계이기도 하다. 88번 국도(한티로[영양군], 백암온천로[울진군]) 상에 있다.

2. 역사

파일:20210915_121504.jpg
▲ 정상 부근의 옥녀당

조선 시대인조 시기 영덕 영해의 공무원이던 아버지가 '옥녀'라고 불리는 자신의 딸에게 영양에 공문서를 전달하라는 명을 받고 영양에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중에 구주령에서 급병으로 사망하여 옥녀의 넋을 기리기 위해 옥녀당이란 사당이 세워졌다는 이야기가 구주령이 문헌에 최초로 언급된 부분이다. 이 옥녀당에 구슬(珠)이 9개(九)가 꿰어진 것 처럼 보인다 해서 구주령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다른 설로는 구슬의 경상도 사투리인 '구실'이 붙어 원래 '구실령'이라 불렸지만 일제강점기가 도래하고 일제가 이를 음차하기 위해 구실->구주([ruby(九珠, ruby=くず)])로 바꿔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설도 있다. 실제로 일제강점기에는 구주령이 쿠즈토게(九珠峠)라 불렸다.[4]

단순 임도였던 구주령에 차가 다니기 시작한 시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이 고개 도로를 정비하면서다. 이후로는 1995년에 아스팔트 재포장을 한 뒤, 일부 구간이 선형 개량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장기적으로 이 곳에 터널을 뚫을 거란 주민의 이야기가 있지만 고도차와 적은 통행량 문제로 계획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다. 터널을 뚫는다면 고도차 문제로 입구는 수비면사무소 소재지인 발리리 인근과 온정면 백암온천 부근이 될 것이라 하며, 수비면쪽에서 온정까지 지하차도마냥 아래로 내려가는 터널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렇게 개통된다면 '국내 최대의 급구배 터널'이 될 가능성도 있다.

3. 특징

3.1. 험한 고갯길

파일:IMG_7947 Large.jpg

연속 급커브에 깎아지른듯 까마득한 경사는 물론 도중에 가드레일이 끊겨있어 창 밖을 내다보면 아득한 낭떠러지가 코 앞에 펼쳐질 정도로, 조금만 실수해도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고 제한속도가 60km/h로 지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 구간에서 가변형 과속단속을 실시하며, 높낮이가 매우 극악한 이 고개의 난이도를 감안하면, 대부분 구간에서 60 km/h는 커녕 사실상 20 km/h 내기도 힘들다. #

고원지대라 평균고도가 높은 수비면 중심지에서 이 고개의 정상까지는 어느 정도 직선으로 뻗어있고 경사도 그나마 완만하지만, 울진군으로 접어들고 구주령휴게소를 지나는 순간 깎아지른 듯한 절벽과 아찔하고 까마득한 급구배, 커브가 난무하는 구간이 시작된다.

카카오 지도 기준으로 수도권에서 백암온천으로 가는 경로를 검색하면, 최적경로로 구주령 경유가 나온다. 돌아서 가더라도 그나마 편하게 가고 싶다면 창수령으로 돌아서 가는 방법도 있다. 길이 좋은 건 아니지만, 구주령보단 훨씬 덜 험하고 중간에 터널도 있다. 여긴 영해 - 영양간 시내버스가 수시로 다닌다. 더 돌아가면 서산영덕고속도로(영덕IC)나 선형이 개량된 36번 국도도 있지만 이 정도로 우회하면 아예 다른 곳을 들렀다 가는 식으로 가는 게..

온정면 선구리 내선미마을을 만나면서 구주령 고갯길은 끝나나, 이대로 직진하면 더티재라는 짧은 고개가 나온다. 선구리에서 69번 지방도와 만나는데, 동네 골목길 수준이라 표지판이 없으면 분기를 알아보기 힘들 수준이다.

이러한 난이도 때문에 역으로 온정면 인근 주민들은 이 곳에서 운전연습을 한다고 한다.

3.2. 처참한 통행량

대한민국에 험한 고갯길은 많지만 상대적으로 이 고개가 유명하지 않은 이유는 과장 좀 보태서 1~2시간에 한 대 보기 어려울 정도의 통행량 때문이다. 이 고개가 있는 영양군 수비면과 울진군 온정면은 국내에서도 인구수가 상당히 적고 인프라가 가장 낙후된 지역인데다, 수도권이나 대구에서 울진 온정으로 가려면 십중팔구 봉화 쪽의 36번 국도영덕 쪽의 34번 국도서산영덕고속도로를 타기 때문이다. 영양읍에서 온정을 간다 하더라도 918번 지방도를 타서 영해 쪽으로 가는 게 더 빠를 정도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이 고개를 이용할 이유가 없다.

때문에 2019년 태풍 미탁으로 인해 차로 하나가 유실되었을 때, 2021년 여름이 다 지나고서야 복구공사가 완료되었다. 2021년 3월 시점의 공사 구간 로드뷰 공사기간 동안 이 구간은 신호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신호수도 없는 경우가 많아 마주오는 차량이 서로 만나면 꼼짝없이 한쪽 차량이 후진해줘야 하고, 공사구간의 양쪽 끝이 급커브라 상대편 차가 오는지 시야확보도 되지 않는 매우 위험한 구간이었다.

그나마 이 고개를 탈 수밖에 없는 경우는 평해/온정이나 백암온천에서 인구가 1,600여 명 밖에 되지 않는 영양 수비로 가야 하는 경우 이외엔 없다. 수비면과 온정면을 오가는데 구주령을 이용하지 않으면 저 멀리 봉화 광비 쪽으로 크게 우회해야 하거나 영덕에서 영양으로 진입하는 918번 지방도를 타기 위해 비포장 도로를 타고 내려가는 선택지밖에 없다.

3.3. 공도 레이싱의 성지



2020년대 이후로 부쩍 늘었는데 주로 자정이 넘은 시각에 정상에서 온정으로 내려오면서 스포츠카 여러 대로 과속 드리프트를 하며 고개를 내려오는 마치 이니셜D에서나 볼 법한 묘기를 부리며 고개 아래로 내려오는 레이싱을 하는데, 레이싱 동호회에서는 구주령을 드리프트 숨은 맛집이라 불릴 정도로 아는 사람만 아는 명소라고 한다. 때문에 평일이라도 밤 늦은 시간에 가보면 본신리 쪽에 수많은 스포츠카들이 일렬로 정차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엔진음과 차량 스피커로 시끄러운 노래를 무분별하게 틀어서 인해 인근 마을(외선미리, 선구리)에서 수시로 소음 민원이 들어올 정도로 골치를 썩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경찰의 단속이 어려운 이유는 레이싱이 이루어지는 구주령휴게소 - 외선미리 구간은 울진군 소속이라 울진 온정 파출소에서 오지에 있는 이 고개에 진입하는데 길이 좋지않아 상당한 애로사항이 꽃피기 때문이다. 반면 수비면 파출소에서는 이 고개까지의 진입이 쉽지만, 레이싱이 이루어지는 휴게소-외선미리 구간은 영양군 관내가 아니니 단속에 걸리기 어렵다. 말 그대로 단속의 사각지대다. 단 정상 부근인 옥녀당에서 레이싱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영양군 관내라 수비파출소에서 출동을 한다.

폭주족뿐 아니라 단순히 MTB로드바이크, 또는 전기자전거를 타고 울진 온정에서 영양 수비 정상까지 업힐하는 자전거 동호회도 간간히 보인다.[5] 심지어는 도보로 넘어간 사람도 있다. #

4. 기타


날씨가 맑으면 정상 근처인 구주령휴게소 부근에서 동해바다가 보인다. 특히 비가 오고 안개가 끼어 있으면 한 장의 수묵화 같은 장관을 연출해낸다.

영양울진 사이 다른 행정구역인 봉화군이나 영덕군을 거치지 않고 차량으로 바로 오갈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통로다. 소천면 근처 광비 부근으로 크게 우회해서 갈 경우 아주 잠깐 동안 봉화군 땅을 밟게 된다. 영양 수비면에 있는 반딧불이로 구간 중 아주 잠깐 동안 울진군 월경지를 밟기는 하나 결과적으로 반딧불이로가 도중에 끊겨있어 논외. 차량 뿐 아니라 도보길까지 범위를 넓힐 경우 고초령도 있다.

옛날엔 이 고개를 넘는 평해 - 수비간 시내버스가 있었으나, 험한 고갯길과 인구 감소 등 여러 요인이 겹쳐 기점이 평해에서 온정으로 단축되고 운행횟수도 점차 줄다가 1990년대에 폐선되어 현재는 영양과 울진을 오가는 노선버스가 없다.

고원지대와 골짜기 특성상 울진군 전체를 통틀어서 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이며, 폭설이 오면 수시로 통제된다.

5.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
, 2.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정상은 아니며 사진 방향으로 100m 정도 가면 군 경계가 있는데 그 곳이 정상이다.[영양군] [울진군] [4] 어째서 을 놔두고 를 썼냐 하면 일본에선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이기 때문이다.[5] 코로나19 이전에는 1년에 한번씩 자전거대회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