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21:04:58

88번 국도

파일:대한민국_국도.svg [[국도|{{{#000 대한민국의 국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종축 <colbgcolor=#fff,#1f2023> 1 · 3 · 5 · 7 · 11 · 13 · 15 · 17 · 19 · 21 · 23 · 25 · 27 · 29 · 31 · 33 · 35 · 37 · 39 · 43 · 45 · 47 · 59 · 67 · 75 · 77 · 79 · 87
횡축 2 · 4 · 6 · 12 · 14 · 18 · 20 · 22 · 24 · 26 · 28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48 · 56 · 58 · 82 · 88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44bd><tablewidth=300px>
88
국도 88호선
National Route 88

}}}
파일:국도 88호선.png
시점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암삼거리
종점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교차로
총 구간 38.5km
경유지 경상북도 영양군, 울진군

1. 개요2. 구간
2.1. 일월 - 수비 구간2.2. 수비면 - 온정, 구주령 구간2.3. 온정 - 평해 구간
3. 역사4. 특징5. 관광지6. 도로명

1. 개요

국도 제88호선은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에서 시작하여 구주령과 더티재를 거쳐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서 끝나는 국도이다. 총길이는 38.5km.
(영양 쪽 시점, 울진 쪽 시점)

현존하는 남한의 국도들중 가장 큰 번호를 가지고 있다.[1][2]

2. 구간

영양군 일월면, 수비면 - 울진군 온정면, 평해읍

2.1. 일월 - 수비 구간

일월면 문암삼거리에서 31번 국도와 분기하며 출발한다. 해발 430m의 한티재를 넘는다. 영양군 구간에서는 그나마 선형개량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이다. 뒤에 넘을 구주령에 비하면 애들 장난이다 한티재를 넘으면 바로 수비면 소재지가 나오는데, 수비면 소재지 구간은 중앙선이 없는 왕복 1.5차로 구간이다. 발리삼거리에서 917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발리삼거리에는 낙동정맥로 표시만 있으므로 917번 지방도로 진입을 하고 싶은 운전자는 주의할 것.

2.2. 수비면 - 온정, 구주령 구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주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주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주령#|]][[구주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온정 - 평해 구간

백암온천을 지난다. 백암온천이 울진군에서 네임드 관광지 중 하나다 보니, 온정 - 평해 구간은 그나마 신경써서 개선공사를 하는 편이다. 소태2리에서 69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구불구불하게 흐르는 남대천을 따라가다 보면 평해읍이 나오고, 평해삼거리에서 우회전 후 평해교차로에서 7번 국도와 만나며 끝난다. 단, 평해교차로는 88번 국도에서 7번 국도 울진 방향으로는 진입로가 없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가려면 평해읍 소재지를 통과한 후 월송교차로를 이용해야 한다.

2017년 9월, 울진군은 802억원을 들여 온정면 선구리(온매로교차로)부터 88번 국도 종점인 평해삼거리까지 도로 개선 공사를 시작되었고, 2022년 8월 시점, 공사가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
2024년 12월 27일, 온매로교차로(구주령과 외선미리의 분기점) - 온정교차로(백암온천 관광특구) 4.9㎞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2025년 6월, 평해삼거리까지 14.6km 전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기존도로는 기하구조 불량 및 도로폭원 협소로 교통사고 위험이 높았으나, 동 사업이 완료되면 선형이 개량되고 터널 및 교차로 등이 신설되어 88번 국도의 일부인 평해삼거리 - 구주령 초입길 구간 만큼은 도로이용자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금천마을 주변부 도로를 터널로 우회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통행거리를 단축(0.5km)하고 종점부 도심지 구간에는 회전교차로(2개소)가 신설되어 지역 관광명소인 백암온천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교통 안전성 및 지역 접근성이 확보될 예정이다. 하지만, 구주령 구간은 개선할 가망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3. 역사

1994년 정부에서 발표한 신규국도지정 예정도로 계획(하남 ~ 평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재정상의 문제로 1995년에 국가지원지방도가 생기면서 전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인 88번 지방도에 포함되었다. 그 이후 도로 관리의 문제 때문에 2001년 8월 25일부터 영양 ~ 울진 구간만 88번 국도로 승격되었고, 하남 ~ 영양 구간은 88번 지방도로 남아있다.

4. 특징

이 국도에는 특징이 몇 개 있는데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5. 관광지

주요 관광지로는 백암온천이 있다. 구주령의 경치도 볼 만하다.

6. 도로명

한티로 - 백암온천로 - 월송정로

[1] 원래는 99번 국도가 가장 큰 번호였으나 1139번 지방도로 격하되었다.[2] 북한까지 합하면 94번 국도가 가장 큰 번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