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국가를 의인화하는 것.2. 상세
국가 의인화는 특정 지역이나 국가, 해당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의인화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만화나 선전물에서 자주 나타나는데, 서구 세계에서 초기 의인화 작품들은 장엄한 지혜를 상징하는 미네르바/아테나와 같은 여신을 국가적 상징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 자유의 상징으로서 자주 등장하는 마리안(Marianne)과 같은 인물도 있으며, 미국 동전에도 의인화된 인물들이 표현된다. 이러한 의인화는 국가 자체를 상징하는 것 외에도 독일의 미셸, 영국의 존 불, 미국의 엉클 샘과 같이 특정 인물이나 시민을 대표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의인화는 아니지만 공 형태의 폴란드볼, 컨트리휴먼 등이 있다.
3. 특징
보통 국가 의인화 작품에서는 엉클 샘 같은 특정한 캐릭터를 만들기도 하지만 해당 국가에서 인상적이고, 바로 연상되는 스테레오타입을 적용시며 상징되는 집단이나 인물을 사용해 그려지기도 한다. 의인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한 국가 의인화 작품들은 제3자의 국가를 의인화하여 묘사할 때 많이 사용되었다.미국 | 카우보이 |
영국 | 신사[1] |
일본 | 사무라이 |
조선 | 선비 |
배틀물이나 스포츠물 등 토너먼트 경기가 나오는 작품의 "세계 대회" 편에서도 자주 나오는 기법 중 하나이다. 다양한 국적의 캐릭터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이쪽 장르와도 연관성이 나타나는 편이다.
4. 온라인 커뮤니티
5. 목록
5.1. 대중매체
소재가 소재이다 보니 국가 의인화물 장르 중에서는 괜찮은 짜임새를 갖춘 학습만화부터 자캐딸+뽕빨물 프로파간다까지 작품성이 천차만별일 수도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관람할 것.AXIS POWERS 헤타리아: 사실상 장르의 시발점이자 동시에 대표 문제작으로 거론되고 있는 수준이며 후술할 컨트리휴먼은 후발주자 역할로 떠오르고 있다.- Scandinavia and the World
- 니혼쨩
- 만약 세계가 한 반이라면: 지정학 보이즈와 비슷한 만화다. 지정학 보이즈가 회사로 표현했다면, 이쪽은 학교의 교실로 표현했다.
- 아후가니스탄
- 지정학 보이즈
- 천손의 시대
- 폴란드볼&컨트리볼: 다만 죄다 공모양이어서 의인화라고 보기보다는 캐릭터화한 만평에 가깝다.
컨트리휴먼: 파생 작품이지만, 실상은 헤타리아와 비슷하게 2020년대부터 대표 문제작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츠네 미쿠 - 브라질 미쿠 챌린지: X에서 유행한 챌린지. 브라질을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의 이미지를 하츠네 미쿠로 표현해 낸 것이 국가 의인화의 뜻과도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