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0:18:12

국조(고려)

시조(고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추존
국조 의조 세조
대종 안종
비정통
안경공 승화후 덕흥군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추존 국왕
국조 | 國祖
본관 개성 왕씨
배우자 정화왕후
자녀 1남
묘호 국조(國祖) 또는 시조(始祖)
시호 원덕대왕(元德大王)

1. 개요2. 모호한 기록
2.1. 태조실록2.2. 편년통록/편년강목2.3. 고려사 지리지2.4. 이제현 논평
3. 조선왕조의 결론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려 왕조의 추존 왕.

일반적으로 알려진 묘호는 '국조(國祖)', 시호는 '원덕대왕(元德大王)'. 태조가 등극한 뒤 추존한 세 임금 중 한 명이다.

2. 모호한 기록

현존 기록을 보다 보면 모든 게 꼬여 있고 확실한 게 없다.

보통 한 왕조의 건국자는 자신으로부터 4대조를 군주로 추존하는데[1] 고려는 이상하게 세 명만 추존했다. 그 이유를 추정해보자면 제대로 된 기록이 없어서 왕건 자신조차도 고조부의 이름조차 모르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왕건의 가문은 결과적으로 왕건이 고려의 왕으로 올랐으니까 주목받은 것이지, 그 조상은 신라 중앙(서라벌)에서도 한참 거리가 있는 북방 변경 지방의 세력가였으므로, 비슷한 수준의 다른 호족 가문들에 비해서 더 자세한 기록이 많이 있었던 것이 더 이상한 일일 것이다.[2] 당장 태조 왕건의 3대조 중 그나마 기록이 확실한 건 세조 왕륭뿐이고, 작제건은 거타지 설화 복붙이나 당숙종과 혈연을 연결시키는 등 윤색하다가 생긴 빈틈이 많이 보인다.

그러다보니 조선 왕조는 태조 왕건 이전의 족보를 기록한 《고려사》의 '<고려세계(高麗世系)>'에 '기록이 없어서 모름!' 이라고 깔끔하게 시작한다. 대신 고려시대에 전해지던 여러 기록들을 싸그리 모아 적고 그에 대한 종합 평론을 썼다.

《고려사》는 '《태조실록》', '《편년통록》', '《편년강목》', '이제현의 <논평>', 이제현이 인용한 '《왕대종족기》와 《성원록》의 단편적 기록'을 모아 놓았다.

2.1. 태조실록

묘호 <colbgcolor=#ffffff,#191919>시조(始祖)
시호 원덕대왕(元德大王)
이름 ?
아내 정화왕후(貞和王后)
태조와의 관계: 증조부

《고려사》가 인용한 이 《태조실록》은 고려가 직접 편찬한 《고려왕조실록》 중 태조의 실록을 의미한다. 즉 그나마 정설에 가장 가까운 기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문제는 국조에 대해 딱 한 줄만 썼다.
(태조) 즉위 2년, 왕의 3대조고(三代祖考)를 추존하니 책(冊)을 올려 시조(始祖)의 시호를 원덕대왕(元德大王)으로, 비(妣)는 정화왕후(貞和王后)라 하였다.
《고려사》 <고려세계>가 인용한 《고려 태조 실록》.

《태조실록》엔 '국조'의 묘호를 '시조(始祖)', 시호를 '원덕대왕(元德大王)', 아내를 '정화왕후(貞和王后)'라고 했다. 태조와의 관계는 나와있지 않다. 3대조고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아 증조부일 가능성이 높지만.

2.2. 편년통록/편년강목

고려 건국설화의 등장인물 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경
강충의 어머니(전처) | 평나산신(후처)
강충
구치의
이제건 보육(손호술)
덕주
덕주
보육
진의
당숙종
진의의 언니 작제건
저민의(서해용녀)
강씨부인 용건
몽부인(성모천왕)
왕평달
도선 왕건 왕식렴
아랫첨자는 배우자를 나타낸다.
보라색 바탕은 혈연 관계가 없는 인물.
}}}}}}}}}
묘호 <colbgcolor=#ffffff,#191919>국조(國祖)
시호 원덕대왕(元德大王)
이름 손호술(損乎述) → 보육(寶育)
아내 덕주(德周)
태조와의 관계: 증외고조부

《고려사》가 인용한 '《편년통록(編年通錄)》'이란 의종 때 김관의란 신하가 쓴 설화 형식의 책이다. 《편년통록》은 진실과 전설, 고려의 의도적 포장까지 모조리 다 담고 있어 매우 논란이 많다. 어쨌든 《고려사》는 이걸 인용해 보다 상세한 족보를 서술했다. 족보는 문단 상단의 틀 참조.

여기까지가 《편년통록》의 기록이다. 이후의 이야기는 《고려사》가 인용한 《편년강목(編年綱目)》에서 그대로 이어지는데 이는 충렬왕 때 민지(閔漬)라는 신하가 쓴 책이다. 《고려사》에 따르면 민지는 1317년(충숙왕 4년)에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을 저술했는데 총 42권이었으며, '국조 문덕대왕(國祖 文德大王)'부터 고종 안효대왕까지의 역사를 기록했다고 한다. 《고려사》는 《편년통록》의 이야기를 《편년강목》에서 이어가는데 《편년통록》과 《편년강목》은 같은 설화를 기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편년강목》의 기록상 정화왕후는 국조의 딸로 표현된다. 그리고 국조는 태조 왕건의 외고조부다. 게다가 《편년강목》은 당숙종이 태조의 직계 증조할아버지란 설을 집어 넣어 고려가 당나라 천자의 직계 혈통이라는 정통성 아닌 정통성을 만들어 냈다...
우선 위에 적힌대로 국조의 할아버지는 '호경', 아버지는 '강충', 어머니는 '구치의'다. 형으로 이제건이 있었다.

이름은 원래 손호술, 나중에 '보육(寶育)'으로 이름을 바꿨다.

그는 부잣집 아들로 태어나 매우 똑똑했다고 하며 지리산(智異山)에 도를 닦으러 갔다가 곧 할아버지 호경이 신으로 있는 평나산(平那山)의 북쪽에 잠시 머물렀다. 그후 다시 가족이 있는 마아갑(摩訶岬)으로 돌아왔다.

어느날 잠 좀 때리다가 꿈을 꿨는데 곡령(鵠嶺)(지금의 송악산) 남쪽에다가 오줌을 싸니 천하가 은빛바다로 잠겼다.[4] 깨어나 형 이제건에게 썰을 푸니 형은
"넌 분명히 하늘을 지탱할 기둥(支天之柱)을 낳을 것이다."
《고려사》의 《편년통록》 중.
라고 말하며 자신의 딸 덕주(德周)와 결혼시켰다.

조카인 덕주와 결혼한 보육은 환속한 승려, 즉 거사(居士)가 되어 움막을 짓고 살았다. 어느날 한 신라 술사(新羅術士)가 와서 말하길:
"이 곳은, 대당천자(大唐天子)가 사위가 될 곳이다."
《고려사》의 《편년통록》 중.
라고 한 뒤 떠났다고 한다.

그 뒤 보육은 딸 둘을 낳았는데 첫째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고 둘째의 이름은 진의(辰義)였다. 진의는 매우 아름다웠으며 똑똑했다고 한다.

첫째딸도 제 아버지처럼 꿈을 꾸니 이번엔 오관산(五冠山)에 올라가 오줌을 누어 천하가 뒤덮혔다. 역시 일어나 동생 진의에게 썰을 푸니 진의는 언니의 꿈을 치마를 주고 사겠다고 했다. 그러자 언니는 꿈을 던지는 시늉을 세 번하며 진의에게 팔았고, 진의는 그걸 받는 시늉을 하니 무언가 따뜻한 기운이 느껴졌다고 한다.

어느 날, 당나라의 숙종이 난을 피해 신라의 송악까지 와 잠시 머물렀다. 보육은 당숙종을 모시게 됐는데 당숙종이 딸을 보고 반했다고 한다. 당숙종이 옷을 기워달라고 부탁하자 보육은 첫째를 시켰으나 첫째는 가다가 넘어져 코피를 흘렸고, 둘째 진의가 대신 가 당숙종과 있게 되었다.

1년이 지나 당숙종은 다시 당나라로 돌아갔고, 진의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으니 그가 바로 작제건, 즉 고려 의조 경강대왕이다. 《고려사》가 인용한 《편년강목》엔 국조의 이야기가 이게 끝이다. 《편년강목》엔 국조의 외손자인 '작제건'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자세한 건 작제건 문서 참조.

《편년통록》, 《편년강목》의 보육에 대한 기록은 여기까지이다. 보면 알겠지만 신라의 전설, 전통신앙, 중화사상에 불교까지 다 섞어 놓았다는 걸 알 수 있다. 《편년통록》의 기록은 신라 문희, 보희의 전설(김유신의 여동생)을 두 번이나 베껴오고[5] 평나산 여신, 신라의 술사(術士) 등 전통신앙과 거사(居士) 같은 불교 이야기까지 융합되어 있다.

2.3. 고려사 지리지

고려 건국설화의 등장인물 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경
강충의 어머니(전처) | 평나산신(후처)
강충
구치의
이제건 보육(손호술)
덕주
덕주
보육
진의
당숙종
진의의 언니 작제건
저민의(서해용녀)
강씨부인 용건
몽부인(성모천왕)
왕평달
도선 왕건 왕식렴
아랫첨자는 배우자를 나타낸다.
보라색 바탕은 혈연 관계가 없는 인물.
}}}}}}}}}
묘호 <colbgcolor=#ffffff,#191919>국조(國祖)
칭호성골장군(聖骨將軍)
우봉군(牛峯郡)은 본래 고구려(高句麗)의 우잠군(牛岑郡)【우령(牛嶺)이라고도 하고, 수지의(首知衣)라고도 한다.】으로,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이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顯宗) 9년(1018)에 평주(平州)의 속현(屬縣)이 되었고, 문종(文宗) 16년(1062)에 내속(來屬)하였다. 예종(睿宗) 원년(1106)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구룡산(九龍山)【국조(國祖) 성골장군(聖骨將軍)의 사당(祠堂)이 있는데 그래서 성거산(聖居山)이라고도 한다.】
牛峯郡本高句麗牛岑郡【一云牛嶺, 一云首知衣.】. 新羅景德王, 改今名, 顯宗九年, 爲平州屬縣, 文宗十六年, 來屬. 睿宗元年, 置監務. 有九龍山【國祖聖骨將軍祠在焉, 故又號聖居山.】
고려사 권56 지 권제10 지리1(地理) 왕경 개성부 우봉군 中

고려사 지리지 개성부 우봉군 조에서는 성골장군 호경(신라)을 국조로 기록되어 있다. 호경 설화에 대한 내용은 항목 참조.

2.4. 이제현 논평

묘호 <colbgcolor=#ffffff,#191919>국조(國祖)
시호 원덕대왕(元德大王)
이름 ?[6]
아내 정화왕후(貞和王后)
태조와의 관계: 증조부

《고려사》가 인용한 이제현의 <논평>은 여러 방면에서 위의 《편년통록》, 《편년강목》을 비판했다.

라고 우선 비판을 던졌는데 전부 맞는 말이다...

그래서 이제현은 이하 《왕대종족기》, 《성원록》을 인용해 고려가 추존한 '국조 원덕대왕'과 설화 속 '보육'이 서로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이제현이 정리한 국조의 가계도는 이렇다.

사실 이제현의 주장대로 하면 얼추 맞는다. 여전히 당나라의 숙종이 태조의 직계 조상이란 건 유지되지만.

이제현의 논평이 인용한 '《왕대종족기(王代宗族記)》'는 '《왕씨종족기(王氏宗族記)》', '《종족기(宗族記)》'라고도 불리며 이젠 대체 뭔지 알 수 없는 기록이다. 이제현은 단편적으로 인용했다.
국조(國祖)는 태조(太祖)의 증조(曾祖)다. 정화(貞和)는 국조(國祖)의 비(妃)다.
이제현이 인용한 고려 《왕대종족기》.
이제현은 《왕대종족기》엔 국조의 성씨가 왕(王) 씨로 기록돼있다고 하였다.

이제현은 더불어 '《성원록(聖源錄)》'이란 기록도 인용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성원록》은 두 줄이 남아있다.
보육성인(寶育聖人)이란 자는 원덕대왕(元德大王)의 외조(外祖)다.
이제현이 인용한 고려 《성원록》.

이제현의 주장은 사실상 《성원록》과 《왕대종족기》에 기초하고 있다.

3. 조선왕조의 결론

조선왕조는 고려의 정사(正史)라고 할 수 있는 《태조실록》을 수중에 가지고 있었다. 그러니 《태조실록》의 단편적 기록을 정설로 하였다.

그러나 지나치게 단편적이니 자세한건 다른 사서를 찾아볼 수 밖에 없었다. 그것이 편년 시리즈, 이제현의 <논평>이다. 세 기록에 대한 평가는:

4. 기타

5. 둘러보기

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국조 ~ 문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조(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의조(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왕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문원대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대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
2
성종(개령군) ·
3
경장태자
[[안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정간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국왕 · 왕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1] 조선왕조의 목조, 익조, 도조, 환조, 대한제국의 장조, 정조, 순조, 문조가 대표적이다.[2] 송악 근처 다른 패서지역 호족들, 평주 호족 박지윤, 정주 호족 류천궁, 황주 호족 황보제공 등의 가문 내력 기록은 3대 조상의 이름이나 칭호, 출신지 딱 이 정도가 대부분이다. 왕건 가문의 조상들도 조상대에는 비슷한 급의 일개 호족 가문이었으므로 원래 남아있던 기록의 양도 비슷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비슷한 사례로 중국 남북조시대에 단명 왕조 후한(侯漢)을 세웠던 후경이 있는데, 후경은 갈족 출신으로 북위의 회삭진(懷朔鎭)을 지키던 일개 병졸 출신이라 딱 아버지의 이름까지만 알고 있었고, 그래서 왕조를 개창하고 칠묘를 세울 때 난감해 했었는데, 그나마 부하들 중 할아버지 이름은 알던 사람들이 있어서 2대조까지는 어찌어찌 적었으나 그 윗대는 도저히 알 방도가 없으니 나머지 위패 5개에는 아무 이름이나 적어넣었던 바가 있다(이것도 칠묘 자체가 뭔지도 몰랐기 때문에 부하인 왕위가 친절하게 가르쳐주면서 세웠던 것이다).[3] 부소산의 부소(扶蘇)는 고구려 때 송악의 이름이다.[4] 신라 태종 무열왕의 비인 문명왕후 김문희 전설과 비슷하다. 현종(고려)도 이 전설을 가졌는데 당시 고려에서 즐겨 활용된 설화인 듯하다.[5] 다만 보육 쪽은 대체적으로 후대에 가필된 것으로 본다.[6] 이제건(伊帝建)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7] 국조 이제건(?)-의조 작제건-세조 용건-태조 왕건[8] 다만 당숙종의 아우 중 하나인 영왕 이교가 안동도호부의 도호를 역임하기는 했다. 문제는 이게 727년의 일이라 시간 차이가 더 벌어져서 그렇지... 하여튼 이 영왕 이교라는 사람은 718년부터 783년까지 살았던 사람이라 임명 이후 죽을 때까지 실제 안동도호부에 상주했다면 당나라 이씨 황족 중 그나마 왕건의 직계 조상일 가능성이 높은 인물이라 할 수 있겠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