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3:06:15

금석문


1. 개요2. 목록
2.1. 한국의 주요 금석문2.2. 외국의 금석문

1. 개요

금석문()은 이나 금속 따위에 새겨진 글, 기록을 뜻한다.

정의 범위를 넓히면 목간은 물론 도자기, 불상, 범종, , 암각화(서석), 벽화(묵서명), 심지어 직물에 쓴 포기(布記) 등까지 범위가 마구 늘어나기도 한다.

고대 한국사사서로 남은 기록이 부실하고 남아있기도 힘들뿐더러[1], 현재까지 전하는 역사서 중 가장 오래된 정사 삼국사기 역시 삼국시대가 아니라 몇백 년은 지난 고려 때 쓰인 것이다. 이렇게 기록이 부족한 상황에서 광개토대왕릉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같이 금석문은 얼마 남지 않은 당대에 기록된 1차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예를 들면 신라 태조 성한왕에 대한 기록, 백제매국노 예식진에 대한 기록, 연남생의 묘비에 기록된 연개소문 가문의 가계도 등 사서에 없거나 부족한 부분을 금석문으로 알 수 있다.

한국사에서 유독 고구려와 신라는 각지에 비석을 많이 세웠고 영토 확장, 지방 시찰, 법령과 판결, 외교관계, 수묘법 등 국가의 통치 행위에 관한 중요한 내용을 기록하고 알리는 데 활용하는 면모가 두드러진다. 반면 백제나 그 영향을 받았을 고대 일본은 다른 기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석문을 많이 남기지 않은 편이고, 내용도 국가적 기록보다는 사찰 건립이나 지역 단위의 기록이 많다.

발견된 금석문을 기록하거나 알리기 위해 본뜨는 행위로 탁본이 있다. 요철이 자세히 드러나므로 사진보다 훨씬 알아보기 쉽고, 이보다 자세히 기록하는 방법은 3D 스캐너 정도밖에 없다.

2. 목록

2.1. 한국의 주요 금석문

나무위키 문서가 있는 한민족 국가별 금석문 목록
고구려 |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진흥왕 순수비
眞興王巡狩碑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창녕 진흥왕 척경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파주 감악산비는 진흥왕 순수비 중 하나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음.

2.2. 외국의 금석문



[1] 무엇보다 책은 누가 베끼기 전에 불타거나 씻기거나 썩으면 그걸로 끝이지만 돌에 새긴 것은 웬만하면 수백 수천 년도 버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