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03:25:09

김약국의 딸들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01~2005
파일:내 마음의 보석상자 로고.png
(2001)
파일:보고싶은 얼굴 로고.png
(2001~2002)
파일:내 이름은 공주 로고.png
(2002)
파일:황금마차 MBC 로고.png
(2002~2003)
파일: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MBC 로고.png
(2003)
파일:성녀와 마녀 로고.png
(2003~2004)
파일:열정 MBC 로고.png
(2004)
파일:빙점 MBC 로고.png
(2004~2005)
파일:김약국의 딸들 MBC 로고.png
(2005)
파일:자매바다 로고.png
(2005~2006)
둘러보기

2001~20052006~20102011~20152016~2018
}}}}}}}}}}}} ||


1. 개요2. 등장인물3. 평가4. 미디어 믹스
4.1. 영화4.2. 드라마
4.2.1. 기획의도4.2.2. 제작진4.2.3. 등장인물
4.2.3.1. 주요 인물4.2.3.2. 기타 인물

[clearfix]

1. 개요

박경리의 장편소설. 작품성과 대중성 면에서 모두 인정받은 작품이자 시장과 전장, 파시 등과 함께 작가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로 불리는 작품이다.

경남 통영의 유지인 김약국과 그의 다섯이나 되는 딸들의 이야기다. 위키백과에 등재된 줄거리.

이혼한 첫째 용숙, 남자의 배신으로 노처녀로 늙어가는 둘째 용빈, 모든 악의 근원 셋째 용란, 비참한 결혼생활을 하는 넷째 용옥, 어린 막내 용혜가 바로 그 딸들.

1962년 연재 없이 을유문화사에서 바로 출간된 전작소설인데, 박경리의 장편소설 중 이렇게 전작 형태로 발표된 작품은 이 작품과 함께 시장과 전장 단 두 편밖에 없다. 발표 당시에도 큰 인기를 누렸을 뿐만 아니라 30여 년 뒤 나남에서 재출간되었을 때 또다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2. 등장인물

3. 평가

그야말로 꿈도 희망도 없는 줄거리를 가진 작품. 20세기 초반, 지방의 부유층 집안이 어떻게 무너지는지를 처절하게 볼 수 있다. 다 읽고 나면 뭔가 찝찝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줄거리다. 몰락하는 한 가문의 비극과 일제강점기 치하 도덕적으로 타락해가는 당대의 시대상, 샤머니즘과 운명론 속에서 흔들리는 개인들의 군상을 그려낸 걸작.

사회학자 송호근은 박경리와 한 대담에서 박경리 소설의 대부분에서 등장하는 비극 구조의 절정, 비극의 장엄한 교향곡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4. 미디어 믹스

4.1. 영화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유현목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nt-size: .7em;"
파일:교차로(유현목).png 파일:유전의애수.png 파일:잃어버린청춘.png
교차로 (1956) 유전의 애수 (1956) 잃어버린 청춘 (1957)
파일:그대와영원히.png 파일:인생차압.png 파일:구름은흘러도.png
그대와 영원히 (1958) 인생차압 (1958) 구름은 흘러도 (1959)
파일:아름다운여인.png 파일:오발탄.png 파일:임꺽정.png
아름다운 여인 (1959) 오발탄 (1961) 임꺽정 (1961)
파일:아낌없이주련다.png 파일:성웅이순신.png 파일:김약국의딸들.png
아낌없이 주련다 (1962) 성웅 이순신 (1962) 김약국의 딸들 (1963)
파일:푸른꿈은빛나리.png 파일:잉여인간.png 파일:아내는고백한다.png
푸른 꿈은 빛나리 (1963) 잉여인간 (1964) 아내는 고백한다 (1964)
파일:춘몽.png 파일:순교자.png 파일:푸른별아래잠들게하라.png
춘몽 (1965) 순교자 (1965) 푸른 별 아래 잠들게 하라 (1965)
파일:태양은다시뜬다.png 파일:특급결혼작전.png 파일:막차로온손님들.png
태양은 다시 뜬다 (1965) 특급 결혼작전 (1966) 막차로 온 손님들 (1967)
파일:종야.png 파일:공처가삼대.png 파일:한(유현목).png
종야 (1967) 공처가 삼대 (1967) 한 (1967)
파일:수학여행(유현목).png 파일:악몽(유현목).png 파일:한(속).png
수학여행 (1968) 악몽 (1968) 한(속) (1968)
파일:아리랑(유현목).png 파일:여(김기영).png 파일:몽땅드릴까요.png
아리랑 (1968) 여 (1968) 몽땅 드릴까요 (1968)
파일:카인의후예.png 파일:나도인간이되련다.png 파일:여보(유현목).png
카인의 후예 (1968) 나도 인간이 되련다 (1969) 여보 (1970)
파일:분례기.png 파일:불꽃(유현목).png 파일:문(유현목).png
분례기 (1971) 불꽃 (1975) 문 (1977)
파일:옛날옛적에훠어이훠이.png 파일:장마(유현목).png 파일:다함께부르고싶은노래.png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1978) 장마 (1979) 다함께 부르고 싶은 노래 (1979)
파일:사람의아들.png 파일:상한갈대.png 파일:말미잘(유현목).png
사람의 아들 (1980) 상한 갈대 (1984) 말미잘 (1994)
상세정보 링크 열기
}}}}}}}}}}}}}}}}}} ||

출간 1년 후인 1963년 유현목 감독이 영화로 만들었다.

4.2. 드라마

MBC 아침 드라마
빙점 김약국의 딸들 자매바다
MBC에서 오전 9시에 2005년 1월 10일부터 2005년 7월 30일까지 방영 된 아침 드라마이다. 총 화수 는 174화이다.

4.2.1. 기획의도

파일:external/img.imbc.com/kim_img.jpg

4.2.2. 제작진

파일:external/img.imbc.com/m_im1.gif

4.2.3. 등장인물

4.2.3.1. 주요 인물
4.2.3.2. 기타 인물


[1] 하지만 사인은 파상풍으로, 독사에게 물린 상처의 피를 빨아내려고 상처를 절개한 도구인 은장도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2] 말이 그렇지 거의 정신병 수준의 광증을 가지고 있다.[3] 아름다운 외모에 차가운 성격, 자신은 낳지못한 아들을 시집오자마자 바로 낳은 것 등.[4] 이는 성수의 고모이자 시누이 봉희의 반발로 무산되지만 그 뒤로도 약방 열쇄를 본인이 지니고 다니며 본디 김씨 집안 남자들의 일인 약재 성수가 아닌 사위를 데리고 다녔다.[5] 정작 연순은 자리보전도 겨우 할 정도로 병약한 시한부 인생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맺는것도 불가능 했고, 그저 사후 처녀로 남지 않게하기 위한 명목상의 혼인인것을 송씨를 포함한 모두가 알고 있었다.[6] 전처는 봉룡에게 시집온 지 이태(2년)만에 사망했는데 봉룡이 가정폭력을 행해 사망했다는 의혹이 있다.[7] 아이러니하게도 큰어머니 송씨의 만류 때문. 통영을 떠나던 본인을 쫓아온 송씨와 연순의 남편을 보고선 자신에게 더 빼먹을게 있어 왔다고 생각해 자금으로 가져온 패물을 던져주는데, 역시나 패물을 받자마자 돌아서는 연순의 남편과는 다르게 송씨는 어떻게 이럴수가 있냐며 통곡을 한다. 비록 성수를 학대하고 미워했지만 갓난아기 때부터 키웠던 정도 있었고 무엇보다 성수가 떠나면 가문의 대가 끊기기 때문.[8] 사업을 위해 정국주에게 배를 샀으나 배 한 척이 침몰하고 승객이 전원 사망한다. 어장도 고기가 제대로 안 잡혀서 망하고, 정국주에게 논문서까지 잡혀 모든 재산을 잃는다.[9] 셋째딸 용란은 머슴과 불륜을 했는데 남편이 감옥에 간 뒤에도 관계를 지속했다. 그런데 한실댁은 어느 날 불길한 꿈을 꿨고 용란네로 찾아가는데 마침 용란은 머슴의 아들과 함께 있다가 감옥에서 나온 남편에게 딱 걸린 상황. 그 과정에서 용란의 남편이 머슴의 아들은 물론 딸 보러 찾아온 장모 한실댁까지 살해해버렸다.[10] 의사가 유부남이었고 의사와 불륜하던 중 사생아가 생기게 된다.[11] 이 때 용숙은 도박과 장사를 해서 부자가 된 뒤였고 김약국집은 가세가 거의 다 기울었다.[12] 그나마 후반에 등장하는 태윤의 동지 강극이 있는데, 강극이 용빈을 좋아하는 눈치가 있기는 하나 용빈에게 강극의 역할은 사랑이라기보단 좀더 포괄적 의미의 희망에 가깝다. 영상화에서는 강극과 용빈이 이어지기도 하지만.[13] 눈썹은 짙으나 양 미간이 좁아서 고생상이라는 서술이 등장한다.[14] 용옥때부터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기 때문에 언니들처럼 화려한 혼례는 올리지 못했다.[15] 서기두는 아내의 사망소식을 알고 후회한다. 용옥의 시아버지이자 서기두의 부친인 서 영감은 자신의 죄가 들키지 않을거라 여겨 안도하나 나중엔 자책한다.[16] 작품 중반부 용빈이 자기가 재직하던 여학교에 입학시켰다가 김약국이 학업을 중단하고 본가로 내려오게 했다.[17] 작중 후반부 남편을 만나러 거지꼴로 통영행 배를 탄 용옥이 대갓댁 마나님이 된 정국주의 부인과 그 딸들을 마주치고 엄청난 수치심을 느낀다.[18] 아예 진심으로 정이 떨어지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19] 그것도 하필 자기 아버지가 아내 용옥을 강간하려드는걸 피하기 위해서였다.
이 문서의 r1~7 버전에 (주)아이엠비씨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