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강영은 | 강재형 | 고창근 | 김경화 | 김기덕 | ||||
김민형 | 김보경 | 김성주 | 김소영 | 김수정 | |||||
김완태 | 김용 | 김은주 | 김정근 | 김주하 | |||||
김지은 | 김창옥 | 김충식 | 김태희 | 나경은 | |||||
문지애 | 박나림 | 박미숙 | 박소현 | 박창현 | |||||
박혜진 | 방현주 | 배현진 | 백지연 | 변웅전 | |||||
변창립 | 서현진 | 성경환 | 손석희 | 손정은 | |||||
송인득 | 송재익 | 신동진 | 신동호 | 신현숙 | |||||
안숙진 | 안주희[A] | 양진수 | 오상진 | 오영제 | |||||
오은실 | 왕수현 | 유선경 | 유협 | 이규리 | |||||
이선영[A] | 이윤재 | 이윤철 | 이은주 | 이인숙 | |||||
이장호 | 이재용 | 이주연 | 이창섭 | 이현우 | |||||
이하정 | 이현경 | 임경진 | 임성희 | 임주완 | |||||
임택근 | 정경수 | 정보영 | 정은임 | 정혜정 | |||||
조수현 | 조일수 | 차인태 | 최경미 | 최대현 | |||||
최우철 | 최윤영 | 최율미 | 최재혁 | 최정선 | |||||
최창섭 | 최현정 | 하지은 | 한광섭 | 한선교 | |||||
한준호 | 허일후 | 홍광은 | 홍은철 | 황선숙 | |||||
}}}}}}}}} | |||||||||
현직 아나운서 | 지역 아나운서 |
위 사진에서 왼쪽. 오른쪽은 허구연 해설위원. |
1. 개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대한민국 최초의 야구 전문 캐스터로 알려져 있다.2. 캐스터 경력
대한민국의 스포츠 전문 캐스터로 널리 알려진 한명재, 임용수, 권성욱, 정우영, 이기호 등이 활동하기 이전, 김용 아나운서가 오늘날 야구 중계 캐스터들의 활동 기반을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유수호, 이장우, 이세진, 정도영(이상 KBS), 양진수, 고창근, 임주완 등과 더불어 KBO 리그 초창기 시절을 대표하는 캐스터[1]이자 1980년대 MBC 스포츠를 상징하는 목소리로 유명했다. 김용 아나운서와 주로 호흡을 맞췄던 야구 해설위원으로는 이호헌 씨[2], 김소식 해설위원, 배성서 전 감독[3], 그리고 허구연 위원[4]이 있다.
그가 마이크를 잡았던 경기 중에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경기가 한두 개가 아니다. 대표적으로 꼽자면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와 한대화의 결승 홈런으로 유명한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결승전과 이종도의 끝내기 만루홈런이 터졌던 1982년 KBO 리그 원년 개막전, 최동원의 투혼과 유두열의 역전 홈런으로 빛났던 1984년 한국시리즈 등이다.[5] 심지어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빛나던 순간인 1988 서울 올림픽 개회식 중계 캐스터도 김용이 맡았다.
현역 캐스터로 뛰던 시절에 보여준 특유의 까랑까랑한 목소리와 현장의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하는 역동적 멘트 덕에 그의 중계방송을 기억하는 이들이 많다.
1962년 KBS의 아나운서로 방송 활동을 시작했던 그는 1969년 MBC가 TV 채널을 개국하자 MBC로 이적했다. 이후 MBC에서 아나운서와 방송위원으로 일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했다. 1989년에 현역에서 은퇴하기 전까지 전국을 돌며 프로야구 중계를 했다. 현역 은퇴 후에는 안동MBC 사장과 MBC 아카데미 고문 등을 역임했고, 후임 스포츠 캐스터 양성에도 힘을 썼다. 그가 은퇴한 후에는 임주완 - 양진수 - 송인득 - 한광섭 순으로 MBC 야구 캐스터 계보가 이어졌다.
김용 캐스터의 가장 큰 업적이라면 당시 야구 중계의 고질적 병폐로 남아있던 '외래어식 야구 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6][7] 그는 '피처'를 '투수'로, '포볼'을 '볼넷'으로, '데드 볼'을 '몸에 맞는 볼'로, ‘라이너(일명 '라이나')'를 ‘직선타구’로 고치는 등 외래어 일색인 야구 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데 앞장섰다.
3. 사망
은퇴 후 고령이던 모친의 병 수발을 하다가 2002년 본인도 뇌졸중으로 쓰러져 오랫동안 투병생활을 했고, 2010년 8월 22일 사망했다. 향년 69세.[1] 이 중에서 유수호와 이장우는 동양방송에서 출발해 KBS에서 맹활약한다.[2] 이용일 씨와 더불어 KBO 리그 탄생의 산파 역할을 한 원로 야구인. 그 전에도 야구 해설을 많이 한 것으로 유명하다. KBO 초대 사무차장을 지냈고, 1970년대 KBS에서 오래 해설을 했고 허구연이 1986년 청보 핀토스의 감독을 맡으며 자리를 비웠을 때 MBC에서 야구 해설위원을 했다. 마산상고, 서울대 상대를 졸업했다. 2012년에 지병으로 향년 81세로 별세했다.[3] 1982년 KBO 리그 원년 개막전 중계 때 해설위원으로 나오는 목소리가 그의 목소리.[4] 대표적으로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결승전과 1984년 한국시리즈 당시 중계를 같이 했다.[5] MBC SPORTS+에서 가끔 창고 대방출 식으로 방영하는 옛날 야구 중계 화면 속 캐스터 멘트는 대부분 이 사람의 목소리다.[6] 동시대에 활약한 유수호 아나운서는 영어식 용어를 자주 쓴 것을 볼 수 있다. 누상에 주자가 2루와 3루에 진루한 상황에서 타자가 2루수 키를 넘기는 우익수 방면 안타를 쳤을 상황의 멘트가 대략 이렇다. "(딱!) 쳤습니다. 세칸 오바~ 라이트 방면 안타입니다~ 써드런너 홈인, 세칸런너 써드까지. 볼 세칸까지 옵니다."[7] 김성근이 동양방송에서 고교야구 해설위원을 하던 시절 방송국에서 잘린 사유도 외래어로 된 용어를 중계 도중 남발한다는 이유였다. 재일교포 출신이던 김성근은 당시 한국어가 아주 유창한 편은 아니었는데 중계 도중 하필이면 일본어를 내뱉었다가 잘렸다고(...) 한다. 예를 들어 "좀 전에 공이요? 인코스(몸쪽)로 잇빠이(꽉 차게) 들어왔어요!"(...) 시청자들의 항의를 받아 해설위원에서 물러난 뒤 후임으로 들어온 사람이 바로 하일성이다. 김성근의 후임으로 하일성이 들어온 것은 아니다. 70년대 고교야구 동양라디오의 야구 해설은 김동엽이 담당했다. 박종세, 유수호 아나운서와 함께 했다. 환일고등학교 체육교사였던 하일성은 김동엽의 후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