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3:15

김종호(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김경수
제2대
신현경
제3대
강주진
제4대
김종호
제5대
송효순
제6대
조종현
제7대
김주봉
제8대
박종일
제9대
배중섭
제10대
이현구
제11대
민병석
제12대
최문휴
제13대
김윤태
제14대
정호영
제15대
배용수
제16대
문용주
제17대
유종필
제18대
유재일
제19대
황창화
제20대
이은철
제21대
허용범
제22대
현진권
제23대
이명우
}}}}}}}}}
대한민국 제4대 국회도서관장
김종호
金鍾浩 | Kim Chong-ho
파일:Screenshot_20211102-180753_Chrome.jpg
<colbgcolor=#005c9f><colcolor=#fff> 출생 1919년 6월 9일 (생존 중일 경우 [age(1919-06-09)]세)[1]
강원도 양양군 서면 상평리[2]
본관 김해 김씨
가족 배우자[3]
학력 양양공립보통학교 (졸업)
만주 길림중학교 (졸업)
건국대학 (중퇴)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6, 7
경력 한국마사회 서울경마장장
대한시보 부사장
수도의과대학 사무처장 및 상무이사
서울여자의과대학 사무처장
대한민국 국회의원 (6대・7대)
국회 문교공보위원
국회 문교공보위원장 대리
민주공화당 강원도 제7지구당위원장
민주공화당 강원도당 부위원장
민주공화당 중앙당 당기위원 및 정책위원
민주공화당 교육문화분과위원장
민주공화당 당기위부위원장
아세아의회연맹 제1회총회 한국대표
대한화랑도 협회 회장
숙명여자대학교 재단 상무이사
4대 국회도서관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

1919년 6월 9일 강원도 양양군에서 태어났다. 양양공립보통학교, 만주 길림중학교를 졸업하고, 1940년 만주국 건국대학에 입학하여 다니다가 중퇴하였다.

8.15 광복 이후 대한시보(大韓時報) 부사장, 수도의과대학(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사무처장 겸 상무이사, 서울여자의과대학(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사무처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강원도 양양군-속초시-고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당 함종빈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강원도지부 부위원장에 취임했고,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7대 국회에서는 교육문화분과위원장, 당기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문교공보위원장 대리를 하여 문교공보위원회 소관의 법안을 심사보고하거나 질의응답을 하였다. 다른 활동으로는 자신의 출신구에서 발생한 해군 56함 피침사건에 대해 애도를 표하였고, KAL여객기 납북 사건 당시에는 백선엽의 속초선 취항 금지 정책을 비판하였다. 이에 백선엽은 일시적 조치라고 해명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박정희의 맏사위이자 박재옥의 부군인 한병기에 밀려 공천 탈락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강원도 양양군-속초시-고성군-인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정일권 후보와 친야 무소속 김인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국회도서관 관장에 임명되었다가 1979년에 사임하였다.

이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면서 정치규제를 당했으나 1983년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국국민당에 입당해 속초에서 출마를 하려고 했으나, 당시 66세라는 고령으로 인해 부인이 저금통장과 집문서를 감추는 등의 행위로 본인의 정계 활동을 반대한 탓에 중도 하차하고 탈당하였다.

1987년 신민주공화당 고성 조직책을 신청했고,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양양의 민주정의당 공천 신청자에 이름을 올린 것마지막 근황이다. 그러나 김문기에게 밀려 공천에서 탈락했고, 이후로는 근황이 전해지지 않고 있다.

2022년 7월 6일 김우경 전 의원의 부고 기사에서는 '6대 국회의원 중에는 김 전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1922년생인 장경순 전 국회부의장 1명만 생존해 있고'[4]라는 언급이 있어 사망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만 대한민국헌정회에서는 생존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생존 가능성도 있다.[5]

만약 살아 있다면 현재 [age(1919-06-09)]세로, 대한민국의 전현직 정치인 중 최고령 인사이다.[6] 또한 제6대 국회의원유일한 생존자이자 현재 생존 중인 전현직 정치인들 중 국회의원 대수가 가장 오래된 인물이기도 하다. 사실 김종호 외에도 고령의 정치인들은 정계 은퇴 후 소식이 완전히 끊겼다가 갑자기 부고가 들려오는 것으로 근황이 알려지는 경우가 수두룩한데, 김종호는 무려 1919년생이기에 이런 특징이 더더욱 부각된다. 김종호를 제외한다면 현재 최고령 정치인은 박찬긍으로 [age(1926-03-09)]세이며, 전직 국회의원 중 최고령은 김두현으로 [age(1926-09-25)]세이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민주공화당|
파일:0774.png
]]
1963 - 1973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73 탈당


[[신민당(1967년)|
파일:0767.png
]]
1973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73 - 1985 탈당[7]


[[한국국민당(1981년)|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글자.svg
]]
1985 입당
정계 복귀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5 - 1987 탈당[8]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1.png
]]
1987 - 1988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8 탈당[9]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 - ? 입당
정계 은퇴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양양·속초·고성

[[민주공화당|
파일:0774.png
]]
23,684(41.81%) 당선 (1위) 초선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31,407(47.1%) 재선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양양·속초·고성·인제

[[신민당(1967년)|
파일:0767.png
]]
14,086(15.55%) 낙선 (3위)
역대 선거 벽보[1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종호1.png
파일:김종호2.png
제7대 국회의원 선거벽보 제9대 국회의원 선거벽보 }}}}}}}}}

5. 둘러보기

파일:강원도기(1962-1997).svg 강원도 제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신옥철 박영록 김삼 이승춘 공석
전임자: 엄정주
철원·화천·양구 횡성·평창 삼척 양양·속초·고성
김재순 황호현 김진만 김종호
}}}
}}}}}}

파일:강원도기(1962-1997).svg 강원도 제7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공석 박영록 최익규 이승춘 장승태
철원·양구·화천 횡성·평창 삼척 양양·속초·고성
김재순 이우현 김진만 김종호
* 춘천·춘성 김우영 자격 상실 (1971.3.8.)
}}}
전국구 ·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파일:민주공화당(한국)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민관식 박준규 조시형 예춘호 이종순
김임식 최두고 양극필 류승원 이병희
이백일 서상린 권오석 이돈해 옥조남
신옥철 이승춘 김재순 김종호 황호현
김진만 정태성 신관우 육인수 안동준
김종무 김용태 양순직 김종필 김종갑
이상희 이영진 길재호 김성철 최영두
전휴상 한상준 류광현 이병옥 장경순
정래정 이우헌 조경한 김선주 신형식
길전식 최서일 배길도 박종태 정헌조
이남준 송관수 이원만 이효상 김종환
김장섭 백남억 이상무 김성곤 김봉환
오상직 권오훈 김중한 이활 김준태
송한철 김정근 이동녕 정진동 김창근
구태회 최석림 김주인 김용순 방성출
신영주 변종봉 이재만 노재필 김택수
최치환 민병권 임병수 현오봉 정구영
김성진 이종극 민병기 김동환 신윤창
오치성 박현숙 강상욱 조창대 이종근
오학진 김우경 김병순 서인석 이만섭
조남철 한태연 최정기 차지철 박규상
김호칠 강문봉 최희송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무소속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파일:민주공화당(한국)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박준규 예춘호 최두고 임갑수 이병희
차지철 오치성 이백일 서상린 이윤용
신윤창 김재소 오학진 최익규 이승춘
장승태 김재순 김종호 이우현 김진만
정태성 민기식 이종근 육인수 정직래
오원선 김유택 김용태 양순직 김종익
장영순 이상희 김두현 이민우 김종철
길재호 김용진 차형근 김성철 류범수
전휴상 한상준 류광현 박두선 신용남
이병옥 장경순 김우경 고재필 길전식
윤재명 정간용 김병순 배길도 이호범
윤인식 이남준 이만섭 이원만 이효상
김장섭 백남억 이상무 김성곤 김봉환
김대진 문태준 오준석 이원우 박주현
송한철 김천수 이동녕 정진동 김창근
구태회 김주인 김용순 김창욱 성낙현
김삼상 공정식 노재필 설두하 김택수
최치환 민병권 양정규 현오봉 정구영
윤치영 백두진 최희송 김정렬 윤천주
양찬우 이동원 김동환 이영근 김성희
이원엽 김유탁 박노선 김용호 김영복
이정석 신동욱 김용채 이병주 이매리
이성수 신동준 김익준 이원영 이영호
김성용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통일사회당 · 무소속
}}}}}}



[1] 생사불명.[2] #[3] 한국국민당 탈당 기사에 짧게나마 언급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4] 장경순 역시 12일 후인 7월 18일 향년 100세로 사망했다.[5] 다만 헌정회에서 생존으로 표기하고 있다가 뒤늦게 사망으로 바뀐 사례도 있기 때문에 그리 신뢰하긴 어렵다.[6] 한편 외국으로 귀화한 인물을 포함한다면 [age(1919-03-11)]세인 박갑동도 있다. 박갑동은 1950년 월북했으며, 1957년 북한을 탈출하여 일본으로 귀화했고, 2016년까지 근황을 알렸다.[7]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8]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포기한 뒤 탈당.[9] 민주정의당 합류를 위한 탈당.[10] 제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아니한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5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