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나이에 걸맞지 않은 유치한 언행을 하는 사람. 남들에게 따돌림당하기 쉬운 유형이다.2. 설명
단순히 감성이나 취향이 어린이와 비슷한, 키덜트와 다른 점은 나이에 맞는 사회의 통념이나 규율이나 행동양식을 무시하는 철없는 언행을 한다는 것이다. 이는 타인에게서 받는 비난과 푸대접의 빈도가 더 증가한다. 이와 반대로 어린아이가 아이답지 않게 과하게 성숙하다거나 고령층에 걸맞은 행동과 언행을 보이는 사례도 존재한다. 이런 아이들이 애어른[1]이다. 보통 나이 먹을 만큼 먹은 중년과 노인이 나잇값을 못하는 모습이 연상되지만, 진짜로 나이가 어린 미성년자가 자신보다 더 어린 동생들에게 민폐를 끼치기도 한다.나잇값 못하고 한심하다고 남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지만, 그래도 좋게 바라보면 백치다. 철이 들지 않아서 나이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발달장애나 지적장애 등 정신적으로 타고난 문제가 있어서 이러는 경우는 그 사람 또는 부모의 잘못이라 할 수 없으며, 뇌가 육체적 나이를 못 따라가는 것이기에 사실 어쩔 수 없다. 이런 장애가 있는 경우는 빨리 병원에 데려가 진단받아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그나마 최악을 면할 길이다. 예를 들면 아이가 또래에 비해 말을 늦게 떼거나 학령기에 접어듬에도 불구하고 똥오줌을 못 가리거나 벽이나 아무 물건에 대놓고 똥칠한다거나 사춘기를 지나 철이 들 만한 나이임에도 스스로 욕구를 통제하지 못해 잦은 식탐, 성충동, 폭력성을 표출하거나 어리광을 부리면 빨리 정신과에서 진단과 치료[2]를 받는 것이 좋다. 그래야 그나마 상태를 낫게 만들 수 있다.
게임기, 스마트폰 등 물건이면 얘기가 다른데, 시간이 흐를수록 성능과 유행을 떠나 나잇값을 못하는 건 순리다. 관련 표현으로 '계획적 구식화', '새로움에 호소하는 오류' 따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