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1:05:47

나찰(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나찰(붕괴: 스타레일)
1. 개요2. 목록
2.1. 게임 내2.2. 게임 외

1. 개요

나찰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2.1. 게임 내

파일:붕스타_폰케이스_나찰.png
스마트폰 케이스
그리고 1.3 개척임무에서 정말로 나부에 스텔라론을 들인 범인이라는게 밝혀졌다. 그 이유는 나부를 해코지하려는 것이 아닌 자신이 섬겨야 하는 에이언즈 약사를 치기 위해서이다.
}}}

2.2. 게임 외

파일:나찰 화이트데이.png
2024 화이트데이 기념 일러스트

2.2.1. 모티브 캐릭터 관련


[1] 붕괴 세계관 내에서도 손에 꼽는 악역이자 안티 히어로였다.[2] 프로듀서인 David Jiang은 ATLUS 본사에도 방문한 적이 있다.[3] 공통적으로 '말이 통하지 않으니 어쩔수 없이 결투에 들어가는' 뉘앙스의 대사들인데 유독 한판만 '상대가 말하려던 것도 무시하고 냅다 검부터 휘두르는' 뉘앙스로 말하고 있다.[4] 2017년 붕괴3rd오토 아포칼립스 역으로 미호요 작품 첫 출연이 생긴 이후 처음으로 참여한 게임외 콘텐츠이다.[5] 아이러니하게도 백화흑연은 치유능력을 가진 신의 열쇠다.[6] 아야토와 오토 쪽의 관계성 고찰은 항목 참조.[7] 나찰: 꽃의 의미는 꽃잎이나 향기, 뿌린 씨앗에 있는 게 아니라 꽃이 피는 시기에 있어요 / 아야토: 떨어진 꽃을 난로에 올려두면 뜨거운 열기 위에서 잠시나마 생기를 되찾고, 마지막에 불길보다도 찬란한 붉은 빛을 내뿜어요. 짧지만 후회 없는 삶이 아닐까요?(음성자료:하고 싶은 이야기...)[8] 이 책이름은 동행임무 후 열차에 방문해서 랜덤하게 언급될 때가 있다.[9] 주마등처럼 지나가던 컷신에는 붕괴후서의 부분만 있었기 때문에 오토 자체는 등장하지 않으며, 허공만장만 등장한다. 하지만 직후 “난 나찰과 닮은 사람을 봤어. 그리고 그들이... 결코 착한 부류는 아니었지”라며 두명 다 언급을 한다.[10] 전작의 외전작인 신주절검록에서 이소상이 그의 이름은 발음하기 어렵다보니 이름으로 안 부르고 나찰인이라고 불렀다.[스포일러] 실제로 아케론의 본명이 라이덴 메이로 밝혀지면서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