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5:38:04

내친왕부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주와 관계 남성 여성 배우자(여성) 기타
전임 군주 태상황 | 태상왕 태상황후 | 태상왕비 태황태후 | 대왕대비
상황 | 상왕 상황후 | 상왕비 황태후 | 왕대비
군주 황제 | 여제 | 여왕 황후 | 왕비 국서
후궁 남총
후계자 황태자 | 왕세자 황태녀 | 왕세녀 태자비 | 세자빈 원자
황태손 | 왕세손 태손비 | 세손빈 원손
자녀 황자 | 왕자 황녀 | 왕녀
(공주 · 옹주)
황자비 | 왕자비 부마
형제 황제(皇弟) | 왕제(王弟) 장공주 황태제 | 왕세제
삼촌 황숙 | 왕숙 대장공주
외척 국구 국태부인
왕족(서양) 프린스 프린세스
궁인 내시 · 환관 궁녀
군주와의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 어휘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황실 및 왕실 어휘가 구별되는 경우 ' | ' 표시로 구분하였다.
왕족이 수여하는 봉작은 왕족의 칭호 문서 참조.
}}}}}}}}} ||


1. 개요

내친왕부(內親王夫)는 일본 왕실에서 내친왕의 남편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내친왕부는 천황의 직계 여성 자손인 내친왕과 혼인한 남성을 지칭하며, 왕실과 국가 체계에서 중요한 상징적 및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는 일본 왕실의 독특한 혼인 제도와 권력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2. 역사적 배경

내친왕부라는 개념은 헤이안 시대부터 공식화되기 시작했다. 내친왕은 왕실 내부 또는 외부의 고위 귀족과 혼인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통해 왕실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거나 권력 균형을 조정하였다. 내친왕부는 이러한 혼인 관계 속에서 왕실 내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3. 내친왕부의 자격과 지위

4. 하는 일

5. 대표적 내친왕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6. 몰락

일본 메이지 시대 이후, 왕실 체제가 개편되면서 내친왕부라는 개념은 점차 사라졌다. 현대 일본에서는 내친왕부라는 공식적 지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분류